제1장 서론
Ⅰ. 소아과학의 특징 = 12
Ⅱ. 소아기의 구분 = 12
Ⅲ. 소아 인구의 동태 = 13
Ⅳ. 소아의 사망률 및 사망 원인 = 13
Ⅴ. 우리나라 소아 질병의 변천 = 14
Ⅵ. 소아과에 있어서 의료 윤리의 문제 = 14
제2장 성장과 발달
Ⅰ.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0
Ⅱ. 성장 = 21
Ⅲ. 발달 = 29
제3장 아동기 정신 장애
1. 정신 사회적 문제들 = 54
2. 정신 신체 장애 = 54
3. 정신지체 = 55
4. 학습 장애 및 언어 장애 = 55
5. 자폐 장애와 기타 전반적 발달 장애 = 57
6. 주의력 결핍 과다 활동 장애 = 58
7. 습관 장애 = 60
8. 뚜렛 장애와 틱 장애 = 60
9. 행동 문제 = 61
10. 행동 장애 = 62
11. 불안 장애 = 62
12. 강박 장애 = 64
13. 섭식 장애 = 64
14. 배설 장애 = 66
15. 수면 장애 = 67
16. 기분 장애 = 68
17. 정신분열병 = 70
18. 자살 = 70
19. 아동 학대와 방임 = 71
20. 입원, 수술에 대한 준비 = 72
21. 만성 질환아 또는 신체 장애아 = 72
22. 죽음을 앞둔 환아 = 73
제4장 소아의 영양
Ⅰ. 영양 필요량 = 74
Ⅱ. 영아의 영양 = 78
Ⅲ. 이유기 영양 = 87
Ⅳ. 질병 시의 특수한 영양 문제 = 90
Ⅴ. 비타민 = 90
Ⅵ. 영양실조 = 95
Ⅶ. 비만 = 97
Ⅷ. 총정맥영양 = 103
제5장 예방 소아과학
Ⅰ. 예방의 개념 = 108
Ⅱ. 출생 전 예방 = 108
Ⅲ. 출생 후 예방 = 108
Ⅳ. 정기적 건강 검진 = 109
Ⅴ. 선별 검사 = 111
제6장 소아의 치료 원칙
Ⅰ. 일반 요법 = 112
Ⅱ. 약물 요법 = 113
Ⅲ. 기타 흔히 사용되는 약 = 120
제7장 수분 및 전해질 평형
Ⅰ. 소아의 생리적 특징 = 124
Ⅱ. 산-염기 평형의 조절 = 125
Ⅲ. 산-염기 대사 이상 = 127
Ⅳ. 수액 요법 = 129
Ⅴ. 전해질 대사 장애 = 136
제8장 유전
Ⅰ. 염색체 = 142
Ⅱ.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 = 145
Ⅲ. 성 결정 = 145
Ⅳ. 염색체 이상 = 146
Ⅴ. 피문학 = 149
Ⅵ. 염색체 이상에 의한 임상 증후군 = 150
Ⅶ. 분자 유전학 = 162
Ⅷ. 유전자 치료 = 169
Ⅸ. 유전 형식 = 173
Ⅹ. 유전 상담 = 176
제9장 유전성 대사 질환
Ⅰ. 총론 = 178
Ⅱ. 아미노산 대사 이상 = 183
Ⅲ. 지질 대사 이상 = 191
Ⅳ. 탄수화물 대사 이상 = 201
Ⅴ. 점액 다당류증 = 210
Ⅵ. Purine/Pyrimidine 대사 이상 = 213
Ⅶ. 금속의 대사 이상 = 214
Ⅷ. 포르피린증 = 215
제10장 면역학
Ⅰ. 면역 결핍증 = 223
1. 체액 면역 결핍증 = 226
2. 세포 면역 결핍증 = 229
3. 복합 면역 결핍 질환 = 231
4. 식세포 이상증 = 235
Ⅱ. 보체계와 결핍 질환 = 242
제11장 신생아 질환
Ⅰ. 출생 전 관리 = 244
1. 고위험 인신 = 244
2. 태아 곤란 = 247
3. 임산부의 질환과 태아 = 249
4. 임산부의 약물 사용 및 방사선 노출과 태아 = 250
5. 태아 질환의 진단 = 250
6. 태아 질환의 치료 및 예방 = 255
7. 기형 발생 물질 = 255
Ⅱ. 정상 신생아 = 255
1. 신생아의 생리 = 255
2. 신생아의 진찰 = 262
3. 신생아의 관리 = 266
Ⅲ. 신생아 질환 = 275
1. 저체중 출생아 = 275
2. 자궁 내 성장 지연 = 284
3. 과숙아 = 287
4. 과체중아 = 288
5. 분만 손상 = 288
6. 선천 기형 = 290
7.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 298
8. 신생아의 소화기 질환 = 320
9. 신생아 용혈 질환 = 328
10. 신생아 감염 = 331
11. 신생아의 대사 장애 = 343
제12장 감염병
Ⅰ. 총론 = 350
Ⅱ. 그람 양성균 감염 = 373
Ⅲ. 그람 음성균 감염 = 387
Ⅳ. 혐기 세균 감염 = 408
Ⅴ.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 411
Ⅵ. 스피로헤타 감염 = 425
Ⅶ. 마이코플라스마 감염 = 431
Ⅷ. 클라미디아 감염 = 432
Ⅸ. 리케차 감염 = 434
Ⅹ. 진균 감염 = 437
XI. 바이러스 감염 = 444
XII. 예방 소아과학 = 483
제13장 소화기 질환
Ⅰ. 소화기의 주요 증상 = 500
Ⅱ. 위장관 질환 = 513
Ⅲ. 간 및 담도 질환 = 548
Ⅳ. 췌장 질환 = 575
Ⅴ. 복막 질환 = 578
제14장 호흡기 질환
Ⅰ. 호흡기의 발달 = 586
Ⅱ. 방어 기능의 발달 및 연관된 질환 = 588
Ⅲ. 호흡 조절의 발달 및 연관된 질환 = 591
Ⅳ. 영·유아 호흡기의 특성 = 594
Ⅴ. 기도 폐쇄의 종류와 임상적 의의 = 596
Ⅵ. 호흡기 질환의 진단 = 598
Ⅶ. 호흡기 관리 = 610
Ⅷ. 호흡 곤란 및 호흡부전 = 617
Ⅸ. 선천 호흡기 질환 = 626
Ⅹ. 호흡기 감염 = 630
XI. 비감염 질환 = 655
XII. 흉막 질환 = 662
제15장 심혈관 질환
Ⅰ. 심혈관 질환의 진단 = 666
Ⅱ. 태아 및 신생아 순환 = 667
Ⅲ. 선천 심질환 총론 = 679
Ⅳ .비청색증 선천 심질환 = 687
Ⅴ. 청색증 선천 심질환 = 704
Ⅵ. 기타 선천 심혈관 기형 = 720
Ⅶ. 후천 심질환 = 722
Ⅷ. 부정맥 = 732
Ⅸ. 심질환의 치료 = 738
Ⅹ. 기타 순환계 문제 = 742
제16장 혈액 질환
Ⅰ. 총론 = 750
Ⅱ. 적혈구 질환 = 753
Ⅲ. 백혈구 질환 = 794
Ⅳ. 출혈 질환 = 797
제17장 종양 질환
Ⅰ. 총론 = 814
Ⅱ. 각론 = 831
1. 백혈병 = 831
2. 악성 림프종 = 838
3. 뇌종양 = 842
4. 신경모세포종 = 851
5. 신종양 = 853
6. 연부 조직 육종 = 857
7. 악성 골종양 = 860
8. 망막모세포종 = 863
9. 간종양 = 865
10. 생식 세포 종양 = 867
11. 조직구 증식 증후군 = 869
12. 기타 양성 종양 = 873
제18장 신ㆍ요로 질환
Ⅰ. 신질환의 임상적 및 검사상 평가 = 874
Ⅱ. 신질환 = 879
Ⅲ. 요로 질환 = 910
Ⅳ. 선천성 신장, 요로 기형 = 918
Ⅴ. 외성기 질환 = 921
Ⅵ. 배뇨 장애 = 923
제19장 내분비 질환
Ⅰ. 서론 = 928
Ⅱ.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장애 = 929
Ⅲ. 성장 장애 = 938
Ⅳ. 갑상샘 질환 = 941
Ⅴ. 부갑상샘 질환 = 951
Ⅵ. 부신 질환 = 956
Ⅶ. 성선 질환 = 966
Ⅷ. 당뇨병 = 977
Ⅸ. 저혈당증 = 987
제20장 중추 신경계 질환
Ⅰ. 신경학적 평가와 진단 = 992
Ⅱ. 혼수 = 998
Ⅲ. 발작 질환 = 1001
Ⅳ. 지능 장애/정신지연 = 1019
Ⅴ. 뇌성마비 = 1021
Ⅵ. 소아 두통 = 1024
Ⅶ. 중추 신경계의 발달 이상 = 1027
Ⅷ. 중추 신경계의 유전 대사 질환 = 1036
Ⅸ. 퇴행 뇌질환 = 1037
Ⅹ. 중추 신경계의 감염 질환 = 1042
XI. 뇌종양 = 1148
XII. 뇌혈관 질환 = 1148
XIII. 두부 외상 = 1152
XIV. 척수 질환 = 1154
제21장 말초 신경-근육 질환
Ⅰ. 말초 신경-근육 질환과 Floppy 영아의 평가 = 1058
Ⅱ. 근 디스트로피 = 1060
Ⅲ. 선천 및 대사 근병증과 Channel 이상 질환 = 1067
Ⅳ. 중증 근무력증 = 1072
Ⅴ. 말초 신경 질환 및 자율 신경병증 = 1076
Ⅵ. 소아기의 운동 신경세포병 = 1081
제22장 골격계 질환
Ⅰ. 골격계 유전 질환 = 1084
Ⅱ. 대사 골질환 = 1091
Ⅲ. 골격계 선천 기형 = 1091
Ⅳ. 국소적 정형외과 질환 = 1097
Ⅴ. 소아 골절 = 1105
제23장 알레르기 질환
Ⅰ. 총론 = 1110
1. 과민성 면역 반응의 종류 = 1110
2. 알레르기의 발생 = 1111
3. 알레르기 질환의 임상적 특성 = 1114
4. 알레르기 질환의 분류 = 1116
5. 역학과 환경 요인 = 1117
6. 알레르겐 = 1119
7.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 = 1123
8.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원칙 = 1128
Ⅱ. 각론 = 1132
1. 기관지 천식 = 1132
2. 알레르기 비염 = 1144
3. 눈의 알레르기 = 1151
4. 아토피 피부염 = 1152
5. 두드러기와 혈관 부종 = 1157
6. 아나필락시스 = 1162
7. 혈청병 = 1164
8. 식품 알레르기 = 1165
9. 약물 알레르기 = 1169
10. 곤충 알레르기 = 1171
제24장 결체 조직 질환
1. 소아기 류마티스모양 관절염 = 1174
2. 강직 척추염 = 1177
3. 전신 홍반성 루푸스 = 1178
4. 소아기 피부근염 = 1181
5. 경피증 = 1182
6. 베체트병 = 1183
7. 셰그렌 증후군 = 1183
8. 가와사키병 = 1184
9. 혈관염 증후군 = 1185
제25장 피부 질환
1. 영아기 피부의 특성 = 1190
2. 신생아의 일과성 병변 = 1190
3. 혈관 장애 = 1191
4. 수포 질환 = 1192
5. 인설 질환 = 1193
6. 감염 질환 = 1194
7. 색소 질환 = 1195
8. 습진성 질환 = 1196
9. 여드름 = 1196
10. 원형 탈모증 = 1197
11. 기타 질환 = 1197
제26장 소아 안과
1. 시력 검사 = 1198
2. 안저 검사 = 1198
3. 눈떨림 = 1199
4. 시신경 질환 = 1199
5. 사시 = 1200
6. 눈꺼풀 질환 = 1201
7. 누기 질환 = 1202
8. 결막 질환 = 1203
9. 각막 질환 = 1203
10. 백내장 = 1204
11. 녹내장 = 1204
12. 망막 질환 = 1205
제27장 손상과 중독
Ⅰ. 손상의 역학 = 1206
Ⅱ. 손상 각론 = 1207
Ⅲ. 중독 = 1210
Ⅳ. 손상 예방 = 1216
Ⅴ. 식중독 = 1216
Ⅵ. 환경 오염 = 1217
Ⅶ. 영아 급사 증후군 = 1219
Ⅷ. 심폐 소생술 = 1219
부록
Ⅰ. 병력 청취와 진찰 = 1226
Ⅱ. 문제 지향식 진료 기록 = 1234
Ⅲ. 한국 소아의 성장 표준치 = 1238
Ⅳ. 한국 소아의 체중, 키, 머리둘레 백분위수 = 1240
Ⅴ. 정상 검사치 = 1280
Ⅵ. 소아의 약용량표 = 1298
참고 문헌 = 1351
찾아보기 = 1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