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85085 | |
005 | 20161019144922 | |
007 | ta | |
008 | 161018s2016 ulkad b AK 001c kor | |
020 | ▼a 9788952117588 ▼g 94330 | |
020 | 1 | ▼a 9788952114754(세트) |
035 | ▼a (KERIS)BIB000014051622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338.95 ▼2 23 |
085 | ▼a 338.95 ▼2 DDCK | |
090 | ▼a 338.95 ▼b 2016z1 | |
100 | 1 | ▼a 임현진 ▼0 AUTH(211009)31718 |
245 | 1 0 | ▼a 글로벌 패러독스 : ▼b 아시아의 도전과 과제 / ▼d 임현진, ▼e 서문기, ▼e 윤상우 지음 |
246 | 1 1 | ▼a Global paradox : ▼b the developmental challenges in Asia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6 | |
300 | ▼a xv, 330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총서 기초연구 ; ▼v 4 |
504 | ▼a 참고문헌(p. 296-322)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기초연구사업 연구비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 |
700 | 1 | ▼a 서문기, ▼e 저 ▼0 AUTH(211009)108920 |
700 | 1 | ▼a 윤상우, ▼e 저 ▼0 AUTH(211009)35989 |
900 | 1 0 | ▼a Lim, Hyun-chin, ▼e 저 |
900 | 1 0 | ▼a Suh, Moon-gl, ▼e 저 |
900 | 1 0 | ▼a Yoon, Sang-woo,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95 2016z1 | 등록번호 5110314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95 2016z1 | 등록번호 5110314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총서 기초연구시리즈 4권. 국가 간 비교분석 전략을 바탕으로 총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각 장은 독자적인 완결성을 지니면서도 전체적인 틀과 그에 상응하는 논리와 체계를 갖도록 발전의 이론과 경험의 적실성을 논의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에서는 세계화의 진행과정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발견적(heuristic) 범주로서 세계화의 논리와 발전의 의미를 탐구한다. 제2부에서는 세계화의 구조와 전개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신자유주의의 '보이지 않는 손'과 민주화 과정의 '빛과 그림자'를 경험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이에 따라 세계화와 사회발전의 불평등구조를 이해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색한다.
제3부에서는 세계화 과정에 따른 발전의 위기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지구촌 시대의 시대정신으로 간주되는 글로벌 발전의 전망과 함께 한국의 역할과 과제를 다룬다.
세계화에 따른 사회발전의 논리와 의미 규명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의 틀 제시
지난 세기 서구 세계는 세계화 과정을 통해 발전의 밑그림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이 그림을 따라가기 위해 훈련됐지만, 오늘날 여러 국가가 발전의 대가를 지급하면서 기존 틀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는 상황이다. 변화의 중요성은 신(新)자유주의에 의한 자본주의 발전의 딜레마와 이를 풀기 위한 국가, 시장, 시민사회의 상호관계에 대한 성찰과 재조명이 필요하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국가 간 비교분석 전략을 바탕으로 총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각 장은 독자적인 완결성을 지니면서도 전체적인 틀과 그에 상응하는 논리와 체계를 갖도록 발전의 이론과 경험의 적실성을 논의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에서는 세계화의 진행과정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발견적(heuristic) 범주로서 세계화의 논리와 발전의 의미를 탐구한다.
제2부에서는 세계화의 구조와 전개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신자유주의의 ‘보이지 않는 손’과 민주화 과정의 ‘빛과 그림자’를 경험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이에 따라 세계화와 사회발전의 불평등구조를 이해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색한다.
제3부에서는 세계화 과정에 따른 발전의 위기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지구촌 시대의 시대정신으로 간주되는 글로벌 발전의 전망과 함께 한국의 역할과 과제를 다룬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임현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정회원, 동아시아사회학회(EASA) 회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장, 사회과학대학장, 기초교육원장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을 비롯하여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사회학회, 한국NGO학회, 국제개발협력학회, 전국사회대학장협의회,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등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교육부로부터 인문사회 분야 ‘국가석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전공 분야는 사회발전론, 정치사회학, 비교사회학이다.
윤상우(지은이)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워싱턴대학교 박사후연구원과 한림대학교 강의전담교수 및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전공 분야는 사회발전론, 비교정치경제, 동아시아 연구이며,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교연구와 세계화시대의 자본주의 변동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서문기(지은이)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사회과학대학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대학원에서 Senior Associate Member로 활동했다.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과 한국사회학회, 한국정보사회학회,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등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Korean Honor Scholar, 인촌기념펠로우, 매경비트펠로우, Best Teacher에 선정되는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다. 전공 분야는 사회발전론, 정보사회학, 사회정책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발전이란 무엇인가? 제1장 서론: 세계화의 논리와 발전의 성찰 1. 글로벌 패러독스 2. 발전이론의 발전을 위하여 3. 세계화와 발전의 위기 제2장 근대화이론과 종속이론 1. 제3세계의 발전연구 2. 근대화이론 3. 종속이론 제3장 신제도주의와 조절이론 1. 발전에 대한 제도주의적 접근 2. 조절이론의 자본주의 변동 분석 3. 자본주의 다양성론의 자본주의 유형 분석 4. 비판적 평가와 최근의 이론적 발전 제4장 세계체제론과 세계사회론 1. 세계화의 본질 2. 세계화 이론과 관점 3. 모델과 담론 제2부 발전의 정치경제: 세계화의 구조와 역학 제5장 현대자본주의 위기와 재구조화 1. 자본주의 발전과 제도주의적 접근 2. 자본주의의 발전동학: ‘호황-위기-재구조화’의 순환주기 3. 전후(戰後) 자본주의의 축적구조: 황금시대의 정치경제학 4. 1970년대 자본주의 체제의 위기 5. 위기에 대한 대응방식: 1980년대 이후 재구조화의 다차원성 제6장 세계화 시대의 신자유주의 패러다임 1. 메가트렌드로서 세계화 2. 신자유주의 패러다임 제7장 세계화와 반세계화 1. 복합위기의 시대 2. 세계화의 명암 3. 대안세계화 제3부 아시아 자본주의 가능성과 한계 제8장 자본주의 다양성과 동북아 공동체 1. 아시아의 부상 2. 세계 속의 아시아 3. 동북아공동체를 향하여 제9장 신자유주의 시대의 대만 발전국가 1.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최근 동향 2. 대만 발전국가의 역사적 변천과정 3. 신자유주의 시대의 발전국가: 잡종적 진화? 4. 대만 발전모델의 성과와 한계 제10장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사회발전의 함수관계 1. 발전의 딜레마 2. 비교연구의 분석 틀 3.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4. 사회발전과 삶의 질 5. 복지국가의 미래 제11장 결론: 한국의 현재적 좌표와 과제 1. 세계화의 역설 2. 세계화 시대 자본주의의 다양성 3. 한국의 발전에 대한 비교분석 4. 자본주의 안팎의 발전모델: 비교발전론적 검토 5. 21세기 한국의 강중국 발전모델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