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85014 | |
005 | 20161018141027 | |
007 | ta | |
008 | 161018s2016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28508730 ▼g 94380 | |
020 | 1 | ▼a 9788928503599 (Set) |
035 | ▼a (KERIS)BIB000014033562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070.509519 ▼2 23 |
085 | ▼a 070.50953 ▼2 DDCK | |
090 | ▼a 070.50953 ▼b 2016 | |
100 | 1 | ▼a 이윤석 ▼0 AUTH(211009)54607 |
245 | 1 0 | ▼a 조선시대 상업출판 : ▼b 서민의 독서, 지식과 오락의 대중화 / ▼d 이윤석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朝鮮時代商業出版 |
246 | 1 1 | ▼a Commercial publications of the Joseon dynasty |
260 | ▼a 서울 : ▼b 민속원, ▼c 2016 | |
300 | ▼a 326 p. : ▼b 천연색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x Minsokwon archebooks ; ▼v 059 |
500 | ▼a 부록: 세책과 방각본 한글소설 목록 | |
500 | ▼a 조선시대 상업출판에 관한 최초의 단행본 | |
504 | ▼a 참고문헌(p. 309-318)과 색인수록 | |
900 | 1 0 | ▼a Lee, Yoon-suk,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 | 등록번호 5110312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 | 등록번호 5110312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070.50953 2016 | 등록번호 1513421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 | 등록번호 5110312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 | 등록번호 5110312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070.50953 2016 | 등록번호 1513421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조선시대 상업출판에 관한 최초의 단행본
한국에서 인쇄나 출판에 관해서 얘기할 때면, 먼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직지』나 방대한 양의 불교 경전을 목판에 새긴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을 언급하고, 다음으로 수많은 유교 경전과 개인문집 그리고 다양한 족보가 있다는 사실을 말한다. 이러한 문화유산은 자랑스러운 것임에 틀림없으나, 서적문화 전체의 한 부분만을 보여줄 뿐이다. 이 책은 이제까지 한국의 책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별로 주목하지 않았던 상업출판에 관한 것이다. 18세기 중반부터 조선에서는 상업출판물이 나타나고, 19세기에 들어와서 여러 가지 상업출판물이 활발하게 간행되는데, 이 상업출판물의 주된 독자는 서민이다. 조선시대 서적문화 전체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민들이 주된 독자였던 상업출판물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다. 이 책이 이 방면의 지식을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한글소설 연구의 의의
1930년대 근대적인 학문 연구가 시작된 이래, 한글소설의 연구자들은 한글소설의 우수성이 무엇인가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홍길동전』의 작자를 허균이라고 말하거나, 『춘향전』을 판소리계소설이라고 하는 것은 이러한 노력의 결과이다. 그러나 『홍길동전』의 작자는 허균이 아니고, 『춘향전』도 판소리 가사를 옮겨놓은 것이 아니라 『홍길동전』과 마찬가지로 이름을 알 수 없는 조선시대 어떤 작자가 쓴 작품이다. 거의 모든 조선시대 한글소설의 작자와 창작시기를 알 수 없다는 점을 한글소설의 단점으로 본 기존의 시각을 바꾸지 않으면, 한글고소설은 단지 열등한 서사물일 뿐이다. 그러나 작자를 알 수 없다는 점이나 조선시대 한글소설 독자들이 작자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는 점이야말로 한글고소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이를 잘 연구하는 것이 연구자가 해야 할 일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 4 화보 = 17 서장 = 33 1부 세책과 방각본 1장 세책 = 49 1. 세책이란 무엇인가 = 49 2. 세책은 언제부터 있었나 = 51 3. 20세기 초 세책 = 61 4. 현재 남아 있는 세책 = 73 5. 세책의 낙서와 대출장부 = 77 2장 방각본 = 87 1. 방각본이란 무엇인가 = 87 2. 최초의 방각본 논의 = 91 3. 인쇄물을 판매한 기록 = 98 4. 방각본의 시대 = 104 5. 방각본 연구의 과제 = 115 2부 상업출판물의 꽃, 한글소설 3장 한글 고소설의 탄생과 유통 = 121 1. 한글 글쓰기와 고소설 = 121 2. 중국소설의 모방과 번역 = 125 3. 한글소설의 탄생 = 131 4. 고소설의 상업적 유통 = 135 5. 한글 고소설의 의의 = 143 4장 홍길동전, 왕이 된 서자 이야기 = 149 1. 허균이 홍길동전 작자가 아닌 이유 = 150 2. 홍길동전의 작자가 허균이라고 알려진 때는 언제인가 = 153 3. 홍길동전 작자 연구 과정 = 158 4. 홍길동전의 작자는 누구인가 = 163 5장 민족의 고전, 춘향전 = 167 1. 춘향전 이해를 위한 전제 몇 가지 = 167 2. 춘향전의 생성과 유통 = 169 3. 완판84장본이 중요한 이본이 된 과정 = 177 4. 소설 춘향전과 판소리 춘향가의 관계 = 180 5. 춘향전 연구의 과제 = 185 3부 지식의 축약, 한문방각본 6장 한문방각본의 성격 = 191 1. 한시를 짓는 데 도움이 되는 책 = 191 2. 격식을 위한 서적 = 198 3. 초보자의 학습서 = 203 7장 한문방각본 사요취선, 고사성어고, 문자류집 = 209 1. 사요취선 = 210 2. 고사성어고 = 218 3. 문자류집 = 227 4. 사요취선, 고사성어고, 문자류집의 의의 = 234 4부 시간과 공간을 읽는다, 지도와 책력 8장 김정호가 제작한 상업출판물 = 241 1. 전주에서 간행된 서울 지도 = 241 2. 김정호 = 243 3. 김정호가 만든 지도 = 248 4. 춘향전과 김정호의 지도 = 262 5. 김정호 연구의 과제 = 264 9장 판매용 달력, 관판본 시헌서와 방각본 책력 = 267 1. 관판본 시헌서 = 269 2. 방각본 낱장 책력 = 273 종장 = 281 부록 : 세책과 방각본 한글소설 목록 = 297 1. 세책 목록 = 299 2. 한글방각본 목록 = 305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