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제3의 개국 : 누가 이끌 것인가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조한규 趙澣圭
Title Statement
제3의 개국 : 누가 이끌 것인가 / 조한규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드림온,   2016  
Physical Medium
292 p. ; 23 cm
기타표제
한자표제: 第三開國
ISBN
9791195807529
General Note
부록: 1. 홍석현 회장의 서강대 강연 요지, 2. 홍석현 회장의 경희대 강연 전문, 3. 홍석현 회장의 포스텍 명예공학박사 수락연설 전문  
주제명(개인명)
홍석현   洪錫炫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83737
005 20161017140510
007 ta
008 161004s2016 ggk 000c dkor
020 ▼a 9791195807529 ▼g 03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4.22 ▼2 23
085 ▼a 324.22 ▼2 DDCK
090 ▼a 324.22 ▼b 2016
100 1 ▼a 조한규 ▼g 趙澣圭
245 1 0 ▼a 제3의 개국 : ▼b 누가 이끌 것인가 / ▼d 조한규 지음
246 0 ▼i 한자표제: ▼a 第三開國
246 3 ▼a 제삼의 개국
260 ▼a 파주 : ▼b 드림온, ▼c 2016
300 ▼a 292 p. ; ▼c 23 cm
500 ▼a 부록: 1. 홍석현 회장의 서강대 강연 요지, 2. 홍석현 회장의 경희대 강연 전문, 3. 홍석현 회장의 포스텍 명예공학박사 수락연설 전문
600 1 4 ▼a 홍석현 ▼g 洪錫炫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22 2016 Accession No. 1117622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한민국이 직면한 작금의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다음 대권주자에 대한 책이다. 미국과 중국, 동북아 권세 사이에 낀 작은 반쪽짜리 나라를 넘어 국제적 주도권을 지켜 낼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가 누구인가?'에 대한 화두로 시작됐다. 20년 이상 정치부 기자로, 또 대통령선거 분석가로 활동해온 저자는 자발적인 취재를 통해 얻게 된 사실에 입각해 책을 집필했다.

저자가 우리 국민에게 화두로 던진 제3의 대선주자, 홍석현. 저자는 그의 흠집과 과오까지도 서슴없이 실었다. 바로 보고 듣고 내린 올바른 판단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흔히 생각하는 홍석현 개인을 위해 집필한 책이 아니다. 저자는 책에서 집필기간 동안 홍석현과 단 한 번의 접촉도 없음을 직접 언급한다. 언론인으로 한 평생을 살아온 그가 향후 10년의 국내 정치에 대한민국의 명운이 달려있다는 판단으로 시작됐음을 밝히고 있다. 대신 그의 지난 행로를 적극적으로 뒤쫓고 있다.

위기의 대한민국
홍석현을 소환하라!


“아시아 최고 수준의 자유와 개방으로 세계의 인재와 자본 기술을 끌어들여야 합니다. 나는 그것을 제 3의 개국이라고 부릅니다. 해방 이후 남쪽은 북쪽과 달리 개방을 통해서 이만큼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이정도 가지고는 안돼요. 규제와 문화, 또 기업하기 어려운 환경을 혁파할 수 있는 제3의 개국을 해야 합니다. 나는 ‘세계가 먹여 살리는 대한민국을 꿈꾸고 있습니다.”

책 소개

백척간두(百尺竿頭)에 서 있는 한반도,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는 누구인가?


이 책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작금의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다음 대권주자에 대한 이야기다. 미국과 중국, 동북아 권세 사이에 낀 작은 반쪽짜리 나라를 넘어 국제적 주도권을 지켜 낼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가 누구인가?”에 대한 화두로 시작됐다.
20년 이상 정치부 기자로, 또 대통령선거 분석가로 활동해온 저자는 자발적인 취재를 통해 얻게 된 사실에 입각해 책을 집필했다.
그가 우리 국민에게 화두로 던진 제3의 대선주자, 홍석현.
저자는 그의 흠집과 과오까지도 서슴없이 실었다. 바로 보고 듣고 내린 올바른 판단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흔히 생각하는 홍석현 개인을 위해 집필한 책이 아니다. 저자는 책에서 집필기간 동안 홍석현과 단 한 번의 접촉도 없음을 직접 언급한다. 언론인으로 한 평생을 살아온 그가 향후 10년의 국내 정치에 대한민국의 명운이 달려있다는 판단으로 시작됐음을 밝히고 있다. 대신 그의 지난 행로를 적극적으로 뒤쫓아 갔다. 그의 행사들, 그와 대화를 했던 사람들, 그의 말을 좆을 수 있는 자취, 글로 남은 흔적들을 놓치지 않으려 했다.
이 책은 현재 우리나라가 직면한 수많은 문제를 해결해 줄 리더를 찾기 위한 여정의 시작이다. 청년실업과 저출산, 1천만 비정규직 문제, 당장 먹고 살기 어려워 허덕이는 현실을 뒤로하고 케케묵은 지역주의와 종북논쟁 같은 시대착오적 문제를 답습하는 정치에 대한 분노다. 그는 책 서두를 통해 이렇게 제안한다.
“도래하는 인공지능시대를 맞아 국가개조, 산업재편을 추진할 수 있는 비전과 리더십을 가진 지도자가 있다면 국민소환운동을 전개해서라도 나라를 맡겨야한다”고 말이다.

출판사 리뷰

누가 이끌 것인가?


지금 대한민국이 직면한 현실은 어떤가? 민심이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혁명전야다. 국민의 분노가 거대한 태풍으로 변화하기 직전 단계에 와 있다. 이런 위기의 본질은 단연 리더십의 빈곤이다. 철학의 빈곤이고 혜안의 빈곤에 그 이유가 있다. 영남과 호남이라는 지역주의에도 신물이 난다. 보수와 진보 갈등, 비리와 야합으로 부정부패는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국제 정세 또한 이렇게 커다란 위기에 직면했던 때가 없다. ‘매일 좌절하며 통곡하는 젊은 청년들, 하루가 멀다 하고 문을 닫는 자영업자들의 삶을 누가 구할 것인가?’ 말이다.
어느 한 개인이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리 만무하다. 그런 기적을 바라는 것 또한 아니다. 그러나 비전을 갖고 있는 새로운 지도자가 나라를 맡게 된다면, 지난 근대사에 커다란 저력을 보인 우리 국민성이 다시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는 믿음만큼은 과하지 않다. 글로벌 리더십과 소통 그리고 경청의 리더십을 갖춘, 특히 남북통일을 견인할 수 있는 큰 지도자가 나온다면 국민의 삶은 분명 바뀔 수 있다고 책은 밝히고 있다.
물론 국민적 저항도 예상된다. 재벌가이자 언론사 사장 또 삼성이라는 거대 기업에 적(籍)을 두고 있는 홍석현을 마냥 달게 볼 리 만무하다. 더불어 그의 흠결 또한 적지 않다. 저자는 그 모든 과오를 있는 그대로 담아내면서도 지금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리더로 홍석현을 소개한다. 그가 주창하는 제3의 개국이 중국 시진핑 주석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를 뛰어 넘어 대한민국이 세계의 중심에 서게 만들 분명한 대안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더불어 세계의 기업과 세계인이 찾는 ‘매력국가’로 대한민국이 거듭날 때 ‘세계가 먹여 살리는 대한민국’을 꿈꾸는 홍석현의 바람은 실현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과연 지금 대한민국을 믿고 맡길 리더로 홍석현은 충분한가?
이 책을 통해 그 답을 발견해볼 일이다.

홍석현의 제3의 개국이란 무엇인가?

홍석현 회장은 대한민국이 아시아 최고 수준의 자유와 개방을 통해 세계의 인재와 자본을 끌어들이는 것을 ‘제3의 개국’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의 자본과 기술, 미국과 유럽에 있는 인재들을 유치하는 것, 더불어 아시아 최고 수준 개방으로 전 세계 인재, 자본을 끌어들이는 것을 제3의 개국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 밑바탕으로 매력국가 - 즉, 향기가 나는 국가 건립이라는 비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것을 매력국가론이라고 불렀다. 향기 나는 매력국가라는 비전을 추구할 때 청년실업, 노인빈곤, 양극화, 벼랑 끝 인구, 국민소득 3만 달러의 벽 등 당면한 위기를 돌파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기회를 살릴 수 있는 국가전략으로 꼽은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시대를 여는 하나의 수단, 하나의 꿈이 될 수 있다.
매력이란 무엇인가? 단편적으로 말해 결국 ‘끌리는 것’이다. 꼭 군사력, 경제력이 강한 나라가 향기가 나는 나라가 아니다. 김구 선생이 ??백범일지??에서 밝힌, 문화 향기가 나는 국가도 매력국가가 될 수 있는 하나의 방법 아니겠는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일어났을 때 미국, 유럽의 글로벌 기업 아시아 본부 70%는 싱가포르로, 30%는 홍콩으로 이전했다. 서울 도심 건물이 텅텅 비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오지 않았다. 그들의 눈에 우리 대한민국이 매력 없어서 아니겠는가? 한국의 문화와 기술력을 보고 한국에서 창업할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한다는 이야기다.
평화 없는 매력국가 또한 있을 수 없다. 남북의 평화는 우리 손으로 만들어갈 숙제다. 우리의 평화를 왜 남의 손에 맡겨야 하는가 말이다.
결국 제3의 개국론은 매력국가론과 함께 평화오디세이를 이끌 홍석현의 꿈과 도전이라 할 수 있다.
이제 독자는 이 책을 통해 분명한 답을 발견할 것이다. 국제적인 정세를 이해하며 지금 국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치 모습이 얼마나 시대착오적 행위인가를 말이다. 홍석현이란 인물을 조망하기 위해 그가 지금까지 걸어온 행적들을 담다 보니 중국과 미국을 포함한 국제적 사실들을 포함했다. 그로부터 국민 누구라도 보다 넓은 해안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다음 리더관을 갖게 되기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조한규(지은이)

정치부기자 출신으로 칼럼니스트이다. 세계일보 사장을 지냈다. 경희대 영문학과와 연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과를 졸업한 뒤 경남대 대학원에서 <한국 대통령선거의 연합정치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통령선거와 대권주자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매일경제 프리미엄 정치뉴스 <레이더 P>에 ‘조한규의 맥’을 연재하고 있다. 세계일보 정치부기자.정치부장.논설위원, 스포츠월드 편집국장 겸 총괄본부장(CEO), MBN 해설위원 등을 지냈다. 국회의원 보좌관, 도지사 비서실장,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자문위원, 방송위원회?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문위원,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위원도 역임했다. 경희대 겸임교수와 호서대 벤처대학원 강사로 ‘기업홍보론’ 등을 강의했다. 현재 억울한 사람들을 위해 법적 조력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무죄네트워크(INK)’의 공동대표, 매주 세미나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는 정책포럼 ‘백가공명(百家共鳴)’의 공동대표 등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제3의 개국》, 《무엇이 인생을 바꾸는가》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부 홍석현 대망론 

1장 시대정신과 2017년 대선 
홍석현은 ‘시대정신’에 적합하나 16 
북극항로를 행해서 25 
제3의 개국과 매력국가론 30 
반기문 대망론 vs 홍석현 대망론 36 

2장 통일대통령의 꿈 
비닐하우스 성자, 통일대통령이 돼라 44 
DJ로부터 받은 ‘통일과외’ 
평양을 방문하다 51 
주미대사의 꿈과 좌절 54 
평화오디세이 61 

3장 홍석현과 제3후보 
대권수업 70 
물거품이 된 창 -홍 라인 73 
정치권 인맥 77 
제 3의 후보론 81 

4장 홍석현 캠프 
홍석현의 인재풀 88 
도올 김용옥과 손석희 앵커 95 
홍석현의 싱크탱크 99 
홍석현의 외곽조직 105 

5장 지천명과 68세 도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112 
김대중 정부와의 갈등 115 
18년의 준비와 68세의 실천 120 
대통령의 조건 123 
대망론과 호남 126 


2부 홍석현과 제3의 성공조건 

1장 홍석현 스토리 
법과대학은 가지 마라 138 
김완희 박사와 전자공학, 그리고 경제학 144 
세계은행 -재무부- 청와대 147 
사랑과 야망 152 
2장 독서와 수행 
이 사람아 공부해 158 
서예로 내공을 쌓다 163 
다산과 홍석현 167 
원불교와 수행 171 

3장 홍석현의 가계를 말하다 
아버지 홍진기 180 
홍석현과 형제들 186 
홍석현의 자녀들 191 
홍라의와 삼성, 그리고 홍라영 193 
외가(外家) 김신석의 사람들 199 
처가(妻家) 신직수의 사람들 202 

4장 홍석현의 ‘신언론경영’ 
제2창간과 신언론경영 208 
JTBC에 승부를 걸다 213 
유일체제 리더십 217 
토론하는 ‘어전회의’ 222 
실천의 속도가 빠르다 226 
나눔 경영 229 

5장 제3의 성공조건 
어디를 가나 주인이 돼라 234 
콘트래리언 리더십 239 
글로벌 리더십 40년 243 

에필로그 자비를 베플 때가 됐다 250 
부록1 홍석현 회장의 서강대 강연 요지 255 
부록2 홍석현 회장의 경희대 강연 전문 259 
부록3 홍석현 회장의 포스텍 명예공학박사 수락연설 전문 28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이재명 후보비서실. 메시지팀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