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태교신기 [개정판]

태교신기 [개정판]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사주당이씨 師朱堂李氏, 1739-1821 이연재 李演載, 역
서명 / 저자사항
태교신기 / 사주당 이씨 지음 ; 이연재 옮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안티쿠스,   2014  
형태사항
118 p. ; 19 cm
총서사항
안티쿠스 classic ;07
원표제
胎敎新記
ISBN
978899280133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83531
005 20161004105057
007 ta
008 160930s2014 ulk 000c kor
020 ▼a 9788992801331 ▼g 03590
035 ▼a (KERIS)BIB000013626734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a chi ▼h chi
082 0 4 ▼a 618.24 ▼2 23
085 ▼a 618.24 ▼2 DDCK
090 ▼a 618.24 ▼b 2014
100 0 ▼a 사주당이씨 ▼g 師朱堂李氏, ▼d 1739-1821 ▼0 AUTH(211009)59896
245 1 0 ▼a 태교신기 / ▼d 사주당 이씨 지음 ; ▼e 이연재 옮김
246 0 9 ▼a 胎敎新記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안티쿠스, ▼c 2014
300 ▼a 118 p. ; ▼c 19 cm
440 0 0 ▼a 안티쿠스 classic ; ▼v 07
546 ▼a 韓漢對譯
700 1 ▼a 이연재 ▼g 李演載, ▼e▼0 AUTH(211009)107337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24 2014 등록번호 1117620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안티쿠스 Classic 7권. 단편적으로 전해지던 태교의 내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서술한 지혜의 기록을 담은 책이다. 어진 스승의 십년 가르침도 아직 어미의 열 달 동안 가르침만 못하다는 사실을 알아야 된다. -<태교신기 서>에서

단편적으로 전해지던 태교의 내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서술한 지혜의 기록
어진 스승의 십년 가르침도 아직 어미의 열 달 동안 가르침만 못하다는 사실을 알아야 된다. -<태교신기 서>에서

태아는 오직 임산부 혼자서만 기르는 것이 아니다. 온 집안사람들 모두가 항상 행동을 조심해서 기르는 것이다.(…) 잠잘 때에는 엎드려 자지 않는다. 누울 때에는 천장을 올려다보며 똑바로 눕지 않는다. 몸을 굽혀서 누워도 안 되고 문틈을 향해서 누워도 안 된다.
-<제4장 태교의 방법> 중에서

임신부의 도리는 삼가는데 있다. 삼가는 마음은 어미의 마음에 달려있다. 혹 사람을 해친다든가, 생물을 죽인다든가, 간사함, 탐욕, 절도, 질투, 훼손 등의 생각을 갖는다거나 그러한 생각으로 말미암아 가슴속에 사악함을 싹틔워서는 안 된다. 그렇게 삼간 뒤라야 입에서는 망언(妄言)이 나올 수 없고, 얼굴에는 파렴치가 있을 수 없다. 만약 잠깐이라도 삼감을 잊는다면 이미 피(血)를 잃는 것과 같을 것이다.
-정인보의 「태교신기 음의 서략」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사주당(지은이)

목천현감(木川縣監) 유한규(柳漢奎)의 아내. 아들 유희(柳僖, 1773~1837)를 비롯하여 자녀 넷을 키우며 여러 문헌에서 발췌하고 체험한 바를 정리하여 조선시대 유일한 태교서적인 『태교신기』(1801)를 저술하였다. 사주당 이씨는 조선시대 현모양처이자 최고 여류 지성으로 꼽혔던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에 버금갈 만큼 학식과 부덕이 뛰어나 여성군자로 불린다. 성리학 수준이 일정한 경지에 올라 영조의 경연관(經筵官)이었던 한원진(韓元震, 1682~1751), 송명흠(宋明欽, 1705~1768) 같은 호서(湖西) 거유(巨儒)의 칭찬을 받았고, 동해모의(東海母儀, 해동 어머니의 모범)라는 호칭을 받기도 했다. 사주당은 경사(經史)를 주로 연구했으며, 결혼 직후에는 당호를 희현당(希賢堂)으로 했다가 ‘주자(朱子)를 배운다’는 뜻인 사주당으로 바꿨다. 아들 유희가 사주당의 사후에 쓴 「선비숙인이씨가장(先?淑人家狀)」가 발견, 번역되어 자세히 알 수 있게 되었다. 저서에는 『태교신기』 이외에 『교자집요(敎子輯要)』, 『가편어집(家編語集)』이 있다.

이연재(옮긴이)

경기도 여주 능서 출생. 호 여촌麗村.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한양대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문학박사. 건국대, 광운대, 단국대, 한국외국어대 강사. 한양대 교수. 저서: 『고려한시의 신선사상 이해』, 『수다쟁이론』, 『골목길을 쓰는 마음』. 역서: 『태교신기』(사주당 이씨 지음) 논문: 「동국여지승람의 문학적 가치」, 「정몽주의 사상과 시세계」, 「임춘의 가전구조와 주제의식」, 「고려한시의 선적 초세지향」, 「고려 선적 한시와 무위자연의 주제적 전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개정판 | 머리글 
글머리에 
태교신기 서 
태교신기 
제1장 태교의 이치 
제2장 태교의 효능 
제3장 태교의 필요성 
제4장 태교의 방법 
제5장 태교의 중요성 
제6장 태교의 당위성 
제7장 사술의 경계 
제8장 태교의 비유 
제9장 옛사람들의 태교 
제10장 태교의 목적 
발문 1 
발문 2 
발문 3 
태교신기 음의 서략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