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어의 역사적 연구

국어의 역사적 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한재영 韓在永
서명 / 저자사항
국어의 역사적 연구 / 한재영
발행사항
성남 :   신구문화사,   2016  
형태사항
486 p. ; 26 cm
ISBN
9788976682208
서지주기
참고문헌(p. 453-484)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79300
005 20160824163852
007 ta
008 160824s2016 ggk b 001c kor
020 ▼a 9788976682208 ▼g 93710
035 ▼a (KERIS)BIB000014147680
040 ▼a 224010 ▼c 224010 ▼d 211009
082 0 4 ▼a 495.709 ▼2 23
085 ▼a 497.09 ▼2 DDCK
090 ▼a 497.09 ▼b 2016
100 1 ▼a 한재영 ▼g 韓在永
245 1 0 ▼a 국어의 역사적 연구 / ▼d 한재영
260 ▼a 성남 : ▼b 신구문화사, ▼c 2016
300 ▼a 486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453-484)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16 등록번호 1117608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30년이 넘게 공부하여온 저자가 국어의 역사와 변화에 관해 생각들을 놓칠까 싶어 적어본 논문을 한 자리에 묶어 만든 책이다. 이 책에서의 수록 대상은 국어의 역사와 관련한 내용들로 한정하였다.

이 책은 국어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30년이 넘게 공부하여온 저자가 국어의 역사와 변화에 관해 생각들을 놓칠까 싶어 적어본 논문을 한 자리에 묶어 만든 책이다. 이 책에서의 수록 대상은 국어의 역사와 관련한 내용들로 한정하였다.
오랜 시간 국어의 소중함을 알고 역사적 흐름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 산물로서 전공분야의 학자에게는 보탬이 되는 전문서가 될 것이고, 일반 독자들에게도 이 책을 통해 이해의 폭이 넓어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 본다.

[머리말]

국어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여온 지도 어느새 30년이 훌쩍 넘었다. 국어의 역사와 변화에 관한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지내온 것이다. 때로는 서투르고, 때로는 어설픈 생각의 단편이기는 하나 그러한 생각들을 놓칠까 싶어 적어본 글들은 어쭙잖은 논문의 얼굴을 하고 있다.
단어와 조사에 관한 문제라든가, 선어말 어미 ‘-오/우-’와 ‘-거/어-’와 관련한 문제 또는 시제와 대우, 피사동 등의 문법 범주와 관련한 문제 등에 관하여 관심을 가져왔었고, 공부를 하다 보니 국어사 자료라든가, 사전 그리고 표기와 문자 등의 문제에도 자연스럽게 생각이 미치게 되었다.
돌아보면 그 미숙함에 민망하고, 그 치기만만(稚氣滿滿)함에 송구하기도 한데, 간혹 글을 찾아 읽으려 하는데 구하기가 어렵다며 도움을 청하는 이들이 있었다. 민망하고 송구하여 주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지면에 실었던 까닭이다. 그나마 오래 전에 쓴 글의 경우에는 주변에서도 구하기가 어려워 불편하다고 이야기 하는 이들이 있어 이렇게 한 자리에 묶어볼 용기를 내게 되었다.
이 책에서의 수록 대상은 국어의 역사와 관련한 내용들로 한정하였다. 수록 논문이 실렸던 원래의 지면과 발표 시기 그리고 원래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01 1999. 3. 중세국어 복합동사의 구성에 관한 연구, 어학연구 35.1. pp.123-149
02 1997. 11. 어간교체형의 변화, 국어사연구, 송민‧전광현교수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pp.777-813
03 2015. 3. ‘老乞大’類의 종합적 검토(Ⅰ)-副詞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61, 중앙어문학회. pp.1-49
04 1996. 4. 조사 중첩 원리의 모색, 이기문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신구문화사. pp.774-801
05 2001. 11. 中世國語 ‘-으란’ 小考,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 이광호교수 회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태학사. pp.313-322
06 1990. 12. 先語末語尾 -오/우-, 國語硏究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pp 435-441
07 2002.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363-383
08 1995. 7. 鄕歌 ‘良’字 小考, 國語史와 借字表記, 소곡남풍현선생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pp.85-99
09 1986. 12. 中世國語 時制體系에 對한 管見 : 先語末語尾 {더}의 位置定立을 중심으로, 언어 제11권 제2호. pp.258-284
10 2002. 6. 16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와 변화 양상 연구, 진단학보 93. pp.199-219
11 2005. 2. ‘엇’과 ‘더’의 통합관계, 우리말연구 서른아홉 마당, 태학사. pp.709-725
12 1998. 6. 16세기 국어의 대우 체계 연구, 국어학 31 pp.121-164
13 1992. 2. 중세국어의 대우 체계 소고 -‘’을 중심으로-, 울산어문논집 제8집. pp.1-22
14 2006. 4. 尊稱體言 小考,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pp.491-507
15 1998. 5. 님금과 임금님, 국어 어휘의 기반과 역사, 심재기 선생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pp.719-735
16 2000. 9. 대우와 격식, 21세기 국어학의 과제(솔미 정광교수 화갑기념논문집), 도서출판 월인. pp.491-508
17 1985. 12. 中世國語 聲調에 關한 一考察 : 특히 피동사와 사동사의 파생을 중심으로, 國語學 14. pp.237-263
18 1993. 2. 원각경언해, 국어사 자료와 국어사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 기념 논문집, 문학과 지성사. pp.145-158
19 2004. 12. 한글 옛 文獻 情報 調査 硏究 -16世紀의 國語資料를 中心으로-, 어문연구 124. pp.7-36
20 2000. 3. 17세기 국어자료와 국어연구의 현황, 문헌과 해석 10. pp.10-33
21 1989. 9. 15세기 국어 사전 편찬에 관한 몇 문제 -‘고어사전’과 ‘이조어 사전’의 검토를 중심으로 -, 語學硏究 第25卷 第3號. pp.523-547
22 1992. 5. 국어대사전과 우리말 큰사전, 문학과 사회 18(1992년 여름, 제V권 제2호). pp.718-738
23 1994. 10. 사전편찬과 품사분류, 주시경학보 12, 보고사. pp.74-96
24 1990. 5. 방점의 성격 구명을 위하여, 姜信沆敎授 回甲紀念 國語學論文集. pp.241-262
25 1991. 8. 향가의 부정 표현에 관련된 몇 문제, 김완진선생회갑기념논총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민음사. pp.414-437

생각의 단편들을 글로 옮기며 취하였던 일관된 태도는 단 한 줄이라도 다른 이들과는 달리 새로운 생각이나 사실을 담아보자는 것이었다. 새로운 생각이나 사실이 아닐 경우에는 자료를 대하는 시각이라도 달리하여 보고자 하였지만, 수록된 모든 글들에서 그러한 태도가 충분히 읽힐 수 있을지는 아직 자신이 없다. 그 중에는 글을 썼을 때와는 생각이 다소 바뀐 부분도 있지만, 당시에는 그런 생각을 하고 지냈고, 그런 생각을 한 데에는 그만한 근거가 있었으리라는 소박한 믿음을 가지고 발표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이렇게 모아놓고 보니 보다 더 깊이 고민하여야 할 문제와 보다 더 넓게 살펴야 할 문제가 정리되는 듯하다. 주어진 시간 동안 꾸준히 고민하고 살펴갈 일이다.

2016. 6. 15.
더불어 지내온 모든 분들과 주어진 모든 것들에 감사하며,
한재영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한재영(지은이)

한신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16世紀 國語 構文의 硏究』(1996) 『국어정서법』(1998, 공저) 『한국어 발음 교육』(2003, 공저) 『한국어 교수법』(2004, 공저) 『한국어 문법 교육』(2008, 공저) 『한국어 어휘 교육』(2008, 공저) 『국어의 역사적 연구』(2016) 『보정 한글 맞춤법 강의』(2017, 공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펴내며	3 
01. 중세국어 복합동사의 구성	9 
02. 어간교체형의 변화 양상	34 
03. ‘老乞大’類의 종합적 검토(Ⅰ)	61 
04. 조사 중첩 원리의 모색	99 
05. 中世國語의 ‘-으란’	118 
06. 先語末語尾 -오/우-	125 
07.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131 
08. 鄕歌 ‘良’字 小考	145 
09. 中世國語 時制體系에 對한 管見	156 
10. 16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와 변화 양상	178 
11. ‘엇’과 ‘더’의 통합관계	195 
12. 16세기 국어의 대우 체계	206 
13. 중세국어의 대우표현 체계 소고	236 
14. 존칭체언 소고	253 
15. 님금과 임금님	265 
16. 대우와 격식	277 
17. 중세국어 피동사와 사동사의 성조	290 
18. ''원각경언해''	303 
19. 16세기 한글 옛 문헌 정보 조사	315 
20. 17세기 국어자료와 연구의 현황	343 
21. 15세기 국어사전의 편찬	357 
22. 국어대사전과 우리말 큰사전	378 
23. 국어사전과 품사분류론	395 
24. 방점의 성격 구명을 위하여	415 
25. 향가의 부정 표현	434 
참고문헌	453 
찾아보기	48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