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노동, 성, 권력 : 무엇이 인류의 역사를 바꾸어 왔는가 (2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Thompson, Willie 우진하, 역
서명 / 저자사항
노동, 성, 권력 : 무엇이 인류의 역사를 바꾸어 왔는가 / 윌리 톰슨 지음 ; 우진하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문학사상,   2016  
형태사항
531 p. : 연대표 ; 23 cm
원표제
Work, sex and power : the forces that shaped our history
ISBN
9788970129587
일반주제명
Socialism
주제명(개인명)
Marx, Karl,   1818-1883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77611
005 20160801160227
007 ta
008 160729s2016 ulkj 000c kor
020 ▼a 9788970129587 ▼g 03900
035 ▼a (KERIS)BIB000014119880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5.4 ▼2 23
085 ▼a 335.4 ▼2 DDCK
090 ▼a 335.4 ▼b 2016z2
100 1 ▼a Thompson, Willie ▼0 AUTH(211009)1583
245 1 0 ▼a 노동, 성, 권력 : ▼b 무엇이 인류의 역사를 바꾸어 왔는가 / ▼d 윌리 톰슨 지음 ; ▼e 우진하 옮김
246 1 9 ▼a Work, sex and power : ▼b the forces that shaped our history
260 ▼a 서울 : ▼b 문학사상, ▼c 2016
300 ▼a 531 p. : ▼b 연대표 ; ▼c 23 cm
600 1 0 ▼a Marx, Karl, ▼d 1818-1883
650 0 ▼a Socialism
700 1 ▼a 우진하, ▼e▼0 AUTH(211009)127564
900 1 0 ▼a 톰슨, 윌리,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 2016z2 등록번호 1117600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류 문명의 흥망성쇠가 노동, 성 그리고 권력이라는 완전한 구조 안에서 발전한 것이며, 이 세 가지 핵심 동력은 ‘역사의 씨줄과 날줄’에서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역사를 관념이 아닌 물질에서 찾는 유물사관의 입장에서 인류 문명의 발전과 쇠락의 역사를 철저히 분석하고 파악한다. 인류 문명의 진화과정을 담고 있는 톰슨의 주장은 논증이 불가능한 가설을 배제하고 역사의 원인과 결과를 객관적이고 적확하게 밝혀내고 있다.

《총, 균, 쇠》와 견줄 만한 인류 문명사의 대작!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의 기계 문명까지,
인류의 운명을 바꾼 원동력은 무엇인가?
세계적 석학 윌리 톰슨 박사가 그려낸 인류 문명사의 모든 것!

거대한 인류 문명의 수레바퀴에 대한 찬란한 기록-!


“모든 문명의 기록은 야만의 기록이다”
─발터 벤야민

지금으로부터 약 20만 년 전, 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 호모 사피엔스가 출현했다. 1만 년 전 인류는 자연을 다스리며 농사를 짓기 시작했으며, 그로부터 4000년 후에 비로소 도시가 건설되고 최초의 문명이 시작되었다. 인류 문명은 찬란한 흥망과 엄혹한 쇠락을 거듭하면서 발전해왔다. 문명의 역사는 찬란한 문화와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더불어 광기와 폭력의 역사를 기록했다. 인류 문명이라는 거대한 수레바퀴 안에서 역사를 추동시키고 지탱해간 그 핵심 동력은 무엇일까. 윌리 톰슨은 앞서 제기된 에릭 홉스봄, 마이클 만,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주장을 정리하면서 새롭고 뜨거운 화두를 우리에게 제시한다.
톰슨은 인류 문명의 흥망성쇠가 노동, 성 그리고 권력이라는 완전한 구조 안에서 발전한 것이며, 이 세 가지 핵심 동력은 ‘역사의 씨줄과 날줄’에서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톰슨은 역사를 관념이 아닌 물질에서 찾는 유물사관의 입장에서 인류 문명의 발전과 쇠락의 역사를 철저히 분석하고 파악한다. 인류 문명의 진화과정을 담고 있는 톰슨의 주장은 논증이 불가능한 가설을 배제하고 역사의 원인과 결과를 객관적이고 적확하게 밝혀내고 있다.
인류 문명을 지탱하고 역사를 역동적으로 추동시켰던 힘, 《노동, 성, 권력》을 통해 이제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으며 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거대한 물음 앞에 서게 될 것이다.

1. ‘노동’의 탄생 그리고 문명의 발전
톰슨은 역사의 흐름 속에서 노동이 어떻게 탄생했고 발전했는지 분석한다. 톰슨의 관점에서 노동은, 역사를 통해 탄생된 산물이며 사회와 필연적 관계를 맺고 있다. 톰슨은 노동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며 사회의 발전과 그 성격을 파악한다. 19만 년 가까운 세월 동안 수렵과 목축 노동을 하던 인류는 기술 발전과 함께 문명의 창조와 그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지난 200여 년 동안의 급격한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노동의 모습과 문명을 만들어냈으며 인류 역사의 거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무엇보다 인류의 역사는 노동을 하는 자와 그 노동력을 착취하는 자들의 대립으로 요약할 수 있다. 더 많이 가져가려는 자와 자기 것을 지키려는 자들의 투쟁이 사회 문명의 발전을 불러일으켰으며, 계급과 집단의 형성과 함께 폭력과 학살이 발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2. ‘성’과 차별 그리고 사회적 억압과 폭력
톰슨은 ‘성’을 권력과 차별의 역사로 규정하고 먼저 그 생물학적 진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성의 생식과 종의 문제가 어떻게 인류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관련지어 왔는지 주목한다. 톰슨은 사회적 구조 안에서 다뤄진 ‘성’과 그 차별의 양상들을 꼼꼼히 기록하고 분석하는데 생물학적 측면에서 불리했던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어떻게 종속적인 존재로 규정되었고 차별의 모습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응해왔는지 설명한다. 나아가 톰슨은 성과 권력, 성과 종교 등을 통해 성 역할에서 비롯된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밝혀낸다.

3. ‘권력’과 계급 그리고 불안한 미래
톰슨은 권력관계, 즉 계급의 차이에서 발생되는 행위와 폭력이 어떻게 작용하며 문화와 문명을 발전시켜왔는지 주목한다. 집단과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권력관계가 진보하는 역사의 원동력으로 또는 폭력과 광기의 역사로 빚어지게 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어떤 집단에서든 ‘권력관계’는 반드시 발생하고 유지되는 역사의 필연적 요소다. 또한 역사의 발전 과정에서 빚어진 현대 사회의 모순들을 지적한다. 노예제와 임금 노동, 진보된 기술에 의한 대량 살상 무기의 개발과 같은 역사적 발전이나 진보의 과정에서 예상치 못하게 빚어진 불안한 미래에 대한 진단을 빼놓지 않는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윌리 톰슨(지은이)

스코틀랜드 출신의 역사학자. 글래스고 캘리도니언대학에서 현대사 교수로 재직했으며, 노섬브리아대학의 객원교수였다. 1962년 영국공산당에 가입하여 1991년 공산당이 해체될 때까지 활발하게 활동했다. 이후 에릭 홉스봄, E. P. 톰슨 등과 함께 공산당역사가그룹의 명맥을 잇고자 사회주의역사학회 창립을 주도했고, 현재는 이 학회의 명예 부회장직을 맡고 있다. 《인류 역사에 일어난 사건들(What Happened to History?)》, 《노동, 성, 권력(Work, Sex, Power)》을 비롯한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우진하(옮긴이)

성균관대학교 번역테솔대학원에서 번역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성디지털대학교 실용외국어학과 외래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출판번역 에이전시 베네트랜스에서 전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폐허 속의 신』 『라이트 위 로스트』 『구스타프 소나타』 『노동, 성, 권력』 『배틀그라운드』 『2030 축의 전환』 『존 나이스비트 미래의 단서』 『다크 머니』 『폭군 이야기』 『빌리지 이펙트』 『성난 군중으로부터 멀리』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추천의 글 -- 5 
서문 및 일러두기 -- 14 
연대표 -- 16 

들어가는 글 역사의 씨줄과 날줄 -- 20 
제1장 우주, 생명체, 그리고 자각 -- 36 
제2장 협동, 돌, 뼈, 그리고 분산 -- 56 
제3장 신석기 시대의 변화: 정착과 재산의 축적, 그리고 사회적 분화 -- 68 
제4장 성의 차이, 성관계와 혈연의 문제 -- 83 
제5장 신분의 차별과 계급, 그리고 주도권 -- 121 
제6장 착취와 폭력 -- 165 
제7장 윤리, 야망, 범죄, 그리고 처벌 -- 205 
제8장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믿음의 기원과 최초의 구원 종교 -- 230 
제9장 일신교 -- 264 
제10장 상상 속의 공동체: 표시와 상징, 정체성과 민족 -- 294 
제11장 더 넓은 시각-제국의 순환 -- 331 
제12장 변화하는 인간의 현실: 근대의 인간, 이주, 그리고 노동 -- 353 
제13장 비인간적인 권력: 자본주의, 산업화, 그리고 그에 따른 결과들 -- 374 
제14장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 균형, 기회비용,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따른 역학 관계 -- 402 
제15장 사회적 비평 -- 431 
제16장 사회주의: 그 약속과 역설 -- 449 
제17장 의미에 대한 간절한 추구 -- 474 
옮긴이의 글 -- 489 
주석 -- 49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