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7384 | |
005 | 20160729171420 | |
007 | ta | |
008 | 160728s2016 ggkag 000c kor | |
020 | ▼a 9788966852666 ▼g 93670 | |
035 | ▼a (KERIS)BIB000014132186 | |
040 | ▼a 244007 ▼c 244007 ▼d 211009 | |
082 | 0 4 | ▼a 781.64 ▼2 23 |
085 | ▼a 781.64 ▼2 DDCK | |
090 | ▼a 781.64 ▼b 2016 | |
100 | 1 | ▼a 민은기 ▼0 AUTH(211009)108154 |
245 | 1 0 | ▼a 대중음악의 이해 = ▼x Popular music A to Z / ▼d 민은기 지음 |
260 | ▼a 파주 : ▼b 음악세계, ▼c 2016 | |
300 | ▼a 286 p. : ▼b 삽화(일부천연색), 악보 ; ▼c 24 cm | |
440 | 0 0 | ▼a Eumse academic ; ▼v 006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4 2016 | 등록번호 1117597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EUMSE Academic 시리즈 6권. 팝음악, 블루스, 컨트리, 재즈, 뮤지컬, 댄스음악, 월드뮤직 등 총 12개의 장르별로 나누어 대중음악의 개념과 특성, 역사적 흐름 등을 다루고 있다. 대중음악의 속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팝음악부터 세계 각국의 대중음악 등을 차례대로 설명하고 있다.
대중음악에서의 장르란, 실제로는 그 경계가 모호하며 장르와 장르가 만나 혼종을 낳고 하위 장르를 파생시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장르의 구분을 따라 책을 구성한 것은 대중음악의 역사와 특징을 이해하는 데 가장 익숙하고 효과적인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핵심 키워드를 제시함으로써 대중음악의 주요 개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고, 대표적인 대중음악 작품 42곡을 위한 감상 가이드를 수록하고 있으며, 악보, 사료, 아티스트 등의 여러 자료들을 올 컬러로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더욱 도와준다.
팝의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한눈에!
대중음악 ‘그 자체’를 다룬 대중음악 입문서
음악적인 관점에서 살펴본 대중음악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돌풍을 일으키면서 전 세계가 말춤으로 들썩였다. <강남스타일>의 뮤직비디오는 순식간에 유튜브 조회수 10억을 넘어섰으며, 빌보드 차트에서는 7주 연속 2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그 어느 때보다 문화산업이 국가경쟁력인 시대이다. 특히 K-POP이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요즘 대중음악에 대한 관심은 아주 높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중음악을 그저 소비하고 향유하는데 그칠 뿐 학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대중음악을 아무리 많이 들어도 대중음악에 대해 이해하거나 학습하지 않는다면 (저자의 말처럼) 자신의 취향을 확립하지 못한 채 자본의 논리에 의해 움직이는 ‘호구 고객’으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대중음악 연구 역시 보다 큰 대중문화 연구의 일부로서, 여러 인문과학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직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학문으로 형성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지금까지의 대중음악 연구는 주로 경제, 산업, 수용자, 테크놀로지, 세대, 젠더 등 주변적 담론 안에서의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이 책은 기존의 대중음악 연구가 가진 한계를 보완하고자 대중음악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대중음악에 대한 모든 논의를 리듬과 사운드, 스타일, 사운드의 내적 관계, 음악적인 기법과 표현 등의 음악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 대중음악이 초래한 영향이나 현상을 논하기 전에 시대별로 다양하게 등장한 대중음악의 소리나 스타일을 음악적인 방법에 기초하여 분석한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자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라 할 수 있다.
대중음악의 12개 장르를 풍부한 자료를 통해 제시
이 책은 팝음악, 블루스, 컨트리, 재즈, 뮤지컬, 댄스음악, 월드뮤직 등 총 12개의 장르별로 나누어 대중음악의 개념과 특성, 역사적 흐름 등을 다루고 있다. 대중음악의 속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팝음악부터 세계 각국의 대중음악 등을 차례대로 설명하고 있다. 대중음악에서의 장르란, 실제로는 그 경계가 모호하며 장르와 장르가 만나 혼종을 낳고 하위 장르를 파생시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장르의 구분을 따라 책을 구성한 것은 대중음악의 역사와 특징을 이해하는 데 가장 익숙하고 효과적인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핵심 키워드를 제시함으로써 대중음악의 주요 개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고, 대표적인 대중음악 작품 42곡을 위한 감상 가이드를 수록하고 있으며, 악보, 사료, 아티스트 등의 여러 자료들을 올 컬러로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더욱 도와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민은기(지은이)
서울대학교 작곡과 교수 서울대학교 작곡과에서 음악 이론을 전공하고 파리 소르본 대학에서 프랑스 음악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1995년부터 지금까지 서울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이론 연구와 후학 양성에 집중해왔다. 프랑스혁명, 바로크 오페라 등의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술과 번역에도 힘써 한국에서 클래식음악과 관련된 책을 가장 많이 낸 음악학자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중앙일보와 경향신문 등 여러 매체에 음악과 관련된 글을 정기적으로 연재하고 있기도 하다. 피아니스트였던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한 다섯 살부터 내내 숨 쉬듯 곁에 음악을 두고 살아왔다. 음악을 사랑하는 한 사람이자 한국의 1세대 음악학자로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힘을 보태고 싶어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의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 1~7, 『음악과 페미니즘』, 『대중음악 강의』, 『Classics A to Z: 서양음악의 이해』, 『서양음악사: 피타고라스부터 재즈까지』, 『독재자의 노래: 그들은 어떻게 대중의 눈과 귀를 막았는가』, 『서양음악사』 1~2, 『대중음악의 이해』 외에 다수가 있다. * 외부 활동 ● 경향신문 ‘문화비평’ 연재 (2012~2013년) ● 중앙일보 ‘삶의 향기’ 연재 (2017~2018년) ● ㈔음악사연구회와 네이버 악기백과, 다음 클래식백과 책임집필 ●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출연 (2019년 11월 20일)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 음악 레슨’ 시리즈 기획 (2020년)

목차
저자서문 Chapter 1 팝 1. 팝 사운드 2. 팝과 음악산업 3. 테크놀로지와 미디어 Chapter 2 컨트리 음악 1. 남부 시골뜨기 2. 컨트리 앤드 웨스턴 3. 컨트리 음악 크로스오버 Chapter 3 블루스 1. 블루스의 탄생 2. 블루스 음악의 특징 3. 블루스의 진화 Chapter 4 재즈 1. 재즈의 시작 2. 재즈의 발전 3. 재즈의 진화 Chapter 5 뮤지컬 1. 브로드웨이 뮤지컬 2. 뮤지컬 영화 3. 뮤지컬의 확장 4. 한국의 뮤지컬 Chapter 6 흑인음악 1. 가스펠 2. 두왑 3. 소울 4. 알앤비 Chapter 7 록 1. 로큰롤, 젊음의 일탈 2. 반항과 자유 3. 록의 분화와 증식 Chapter 8 포크 1. 민중의 노래 2. 포크 록 3. 한국의 포크 Chapter 9 댄스 음악 1. 훵크 2. 디스코 3. 테크노 4. 힙합 Chapter 10 월드뮤직 I - 라틴 아메리카 1. 월드뮤직이란 2. 레게 3. 살사 4. 탱고 5. 삼바 Chapter 11 월드뮤직 II - 아프리카 1. 남아프리카 공화국 2. 서아프리카 3. 콩고 Chapter 12 월드뮤직 III- 유럽 1. 유로팝 2. 켈트 음악 3. 플라멩코 4. 파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