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6661 | |
005 | 20160718164052 | |
007 | ta | |
008 | 160718s2015 sjkd b 000c kor | |
020 | ▼a 9791159321153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32.6327 ▼2 23 |
085 | ▼a 332.6327 ▼2 DDCK | |
090 | ▼a 332.6327 ▼b 2015z4 | |
100 | 1 | ▼a 구자현 ▼0 AUTH(211009)135774 |
245 | 1 0 | ▼a 상시적 구조조정을 위한 과제 : ▼b 사모투자펀드 활성화를 중심으로 / ▼d 구자현 |
246 | 1 1 | ▼a Private equity fund's role in ex-ante Korea's corporate restructuring |
260 | ▼a 세종 : ▼b 한국개발연구원, ▼c 2015 | |
300 | ▼a 97 p. : ▼b 도표 ; ▼c 24 cm | |
490 | 1 0 | ▼a 정책연구시리즈 ; ▼v 2015-14 |
500 | ▼a 부록: 1. 우리나라 기업구조조정 제도 현황, 2. 우리나라 사모투자펀드에 대한 인식조사 | |
504 | ▼a 참고문헌: p. 79-84 | |
830 | 0 | ▼a 정책연구시리즈 (한국개발연구원) ; ▼v 2015-14 |
900 | 1 0 | ▼a Koo, Ja-hyun,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2.6327 2015z4 | Accession No. 11175937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발간사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사후적 기업구조조정의 한계와 사전적 접근의 필요성 제1절 사후적 기업구조조정의 한계 1. 사회ㆍ경제적으로 큰 비용 초래 2. 적극적 추진 주체 미비 및 이해갈등 조정자 부재: 워크아웃 3. 기존 경영인의 도덕적 해이 가능성 및 장기간 소요: 법정관리 제2절 사전적 접근의 필요성 1. 사전적 구조조정의 장점 2. 기업환경 악화에 따른 구조조정 필요성 증가 제3장 사모투자펀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제1절 우리나라의 사모투자펀드 현황 1. 사모투자펀드 개념 2. 우리나라의 사모투자펀트 현황 3. 해외 사모투자펀드 투자 현황 제2절 사전적 기업구조조정 기구로서 현행 사모투자전문회사의 제도적 한계 1. 투자운용규제에 따른 자율성 제약 2. 기업구조조정 기구의 분절화에 따른 실효성 부족 3. 사모투자펀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제3절 사모투자펀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1. 사모투자펀드(PEF) 운용규제의 최소화 2. 기업구조조정 기구의 단순화 제4장 사모투자펀드 투자유치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및 시사점 제1절 실증분석 목적 및 선행연구 제2장 분석자료 제3절 실증분석 결과 1. 사건연구 분석 결과 제4절 시사점 1. 경영권 인수펀드 vs 성장지원펀드 2. 사모투자펀드의 투자기회 부족 3. 사모투자편드의 기업가치 제고역량 부족 4. 사모투자펀드의 투자대상 기업 확대에 대한 대비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우리나라 기업구조조정 제도 현황 부록 2: 우리나라 사모투자펀드에 대한 인식조사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