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6438 | |
005 | 20160715104356 | |
007 | ta | |
008 | 160715s2014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84114623 ▼g 04150 | |
020 | 1 | ▼a 9788984113503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01.3 ▼a 181.11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09z1 ▼c 36 | |
100 | 1 | ▼a 정인재 ▼g 鄭仁在 ▼0 AUTH(211009)94192 |
245 | 1 0 | ▼a 양명학의 정신 / ▼d 정인재 지음 |
260 |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4 | |
300 | ▼a 547 p. ; ▼c 23 cm | |
440 | 0 0 | ▼a 석학人文강좌 ; ▼v 36 |
500 | ▼a 부록: 양명학의 정신과 하곡학에 대한 문답 | |
504 | ▼a 참고문헌(p. 519-529)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한국연구재단 주관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의 지원을 받아 출판된 책임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09z1 36 | Accession No. 11175919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1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창출판사 석학인문강좌' 36권. '이 시대에 양명학은 왜 필요한가?', '양명학의 연원', '양명학과 주자학은 무엇이 다른가?', '격물치지란 무엇인가?', '양지란 무엇인가', '양지의 실천이 바로 지행합일', '치양지', '정감의 알맞음과 어울림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사구교에 집약된 양명 철학의 정신' 등 모두 12강으로 구성되었다.
양명학 강의를 하면서 잃어버린 덕성(德性)의 회복이란 화두를 제시하고 싶다.
덕성이란 한마디로 말해 감성(感性: aesthetics)과 영성(靈性: spirituality)을 모두 포함한 도덕적 생명의 이성[生理: vital reason]을 말하며 마음의 본체인 양지(良知)를 의미한다. 그것은 옳고 그름[是非]을 판단하는 도덕적 경지, 좋음과 싫음[好惡]을 느끼는 심미적 경지 그리고 영명성을 드러내는 종교적 경지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덕성이 없는 감성[aesthetics]은 감각적 욕구에 내맡겨 향락과 퇴폐에 빠질 수 있고, 덕성이 없는 이성은 도구적 이성으로 전락하여 부정을 저지르는 도구 역할을 할 우려가 있으며, 덕성이 없는 영성은 맹목적 구복의 신앙에 빠질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에 파생하여 덕성이 없는 개발은 자연파괴와 생명경시로 나아가기 쉬우며, 덕성이 없는 이데올로기는 열광적 추종자만 양산할 것이고, 덕성이 없는 교육은 이기적 경쟁자만 키울 것이며, 덕성이 없는 언론은 분별력과 자제력이 떨어진 막말[댓글이 사람을 죽인 경우도 있다]을 쏟아내는 저속한 사회를 만들고, 덕성이 없는 정치는 진흙탕 속의 상대를 흑색선전 하는 투쟁만을 하게 되고, 덕성이 없는 경제는 위아래 모두 자기 이익만을 챙기는[上下交征利] 욕심만 낳게 될 것이며, 덕성이 없는 실용실학은 얼[實心]이 빠진 실학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정인재(지은이)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타이완 중국문화대에서 맹자 심학의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는 양명학 연구의 기초적 작업이 되었다. 그후 귀국하여 영남대, 중앙대 철학과를 거쳐 서강대에서 중국철학, 한국철학, 철학개론, 윤리학 등을 강의하였다. 두 차례(1989, 2001) 토론토 대학 방문교수를 다녀왔으며 현재는 서강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철학회, 동양철학회, 한국현상학회, 한국해석학회, 한나아렌트학회 등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현상학회와 해석학회 고문과 한국양명학회 회장을 역임(2003~2005)하였다. 고려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1970) 펑유란의 『중국철학소사(A Short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를 번역하였으며(1977), 중국철학사 강의를 하면서 라오 스꽝(勞思光)의 4권으로 된『중국철학사』를 번역하였다(1987~1992). 이 업적을 인정받아 서우철학상을 받았으며(1993), 2014년『양명학의 정신』을 출간하여 벽사학술상을 수상하였다. 그 밖에 다수의 역서와 공저 그리고 중국 철학과 양명학에 관한 논문들이 있다.

Table of Contents
_ 머리말ㆍ5 제1강 이 시대에 양명학은 왜 필요한가? 1. 들어가기ㆍ19 2. 백암 박은식의 유교구신론ㆍ21 3.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연론ㆍ26 4. 오늘날 양명학이 왜 필요한가?ㆍ28 5. 하곡학의 실심실학과 근대화론의 실용실학ㆍ34 제2강 양명학의 연원 1. 유학의 르네상스: 신유학(양명학과 주자학)ㆍ49 2. 신유학의 철학 사상적 배경ㆍ51 3. 신유가를 이해하기 위한 5가지 기본 틀ㆍ58 제3강 양명학과 주자학은 무엇이 다른가? 1. 주자[憙]와 왕자[守仁]의 삶과 학문ㆍ75 2. 정치지향적 관학(官學)과 사회지향적 민학(民學)ㆍ79 3. 이업동도(異業同道)의 사민(四民)ㆍ82 4. 친민과 신민ㆍ89 5. 심즉리(心卽理)와 성즉리(性卽理)ㆍ92 6. 정리(定理)와 조리(條理)ㆍ95 7. 도덕심과 인식심ㆍ98 8. 존덕성과 도문학ㆍ100 9. 거경(居敬)과 성의(誠意)ㆍ103 10. 본성[性體]과 본심[心體] 그리고 정감ㆍ105 제4강 격물치지란 무엇인가? 1. 들어가기ㆍ113 2.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 해석에 대한 양명의 회의(懷疑)ㆍ115 3. 용장에서의 깨달음과 마음이 곧 이치[心卽理]ㆍ124 4. 주희의 격물치지에 대한 비판과 왕양명의 새로운 해석ㆍ130 5. 『대학문(大學問)』의 격물치지ㆍ136 제5강 양지란 무엇인가 1. 양지와 지각(知覺)의 관계ㆍ147 2. 양지의 여러 의미ㆍ157 3. 양지와 양심ㆍ178 제6강 양지의 실천이 바로 지행합일 1. 앎[知]과 행위[行]의 관계ㆍ185 2. 왕양명의 지행합일ㆍ189 제7강 치양지 1. 양지를 실행하는 것이 치양지ㆍ217 2. 사상마련(事上磨鍊)ㆍ234 3. 발본색원(拔本塞源) ―치양지의 이상경지ㆍ247 제8강 정감의 알맞음과 어울림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정감론ㆍ265 2. 치중화(致中和)론ㆍ279 3. 미발 이발론ㆍ286 제9강 사구교에 집약된 양명 철학의 정신 1. 사구교(四句敎) 그리고 본체와 공부 문제ㆍ303 2. 견재설(見齋說)ㆍ315 3. 엄탄(嚴灘)문답ㆍ317 4. 사구교에 대한 해석ㆍ322 제10강 양지에 의한 심미적 도덕 교육 1. 왕양명의 교육철학 ㆍ339 2. 아동교육론ㆍ341 3. 입지(立志)ㆍ349 제11강 양지의 종교적 특성 1.영성(靈性)과 내재 초월적인 양지ㆍ365 제12강 양명학의 도입과 하곡학 1. 시대 배경ㆍ399 2. 양명학 수용ㆍ403 3. 어둠 속에서 횃불을 높이 든 하곡 정제두ㆍ408 4. 하곡의 실심실학ㆍ413 5. 하곡학파의 사상가들ㆍ424 부 록 양명학의 정신과 하곡학에 대한 문답 _ 토론 1 (토론자: 송재운)ㆍ470 _ 토론 2 (토론자: 이승환)ㆍ475 _ 토론 3 (토론자: 김수중)ㆍ485 _ 강연 참가 청중의 질문ㆍ490 _ 참고문헌ㆍ519 _ 찾아보기ㆍ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