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5927 | |
005 | 20160711131134 | |
007 | ta | |
008 | 160708s2014 ulka 001c kor | |
020 | ▼a 9788977757745 ▼g 93470 | |
035 | ▼a (KERIS)BIB000013412890 | |
040 | ▼a 221016 ▼d 221016 ▼d 222001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2.8 ▼2 23 |
085 | ▼a 612.8 ▼2 DDCK | |
090 | ▼a 612.8 ▼b 2014z2 | |
100 | 1 | ▼a Churchland, Patricia Smith |
245 | 1 0 | ▼a 신경 건드려보기 : ▼b 자아는 뇌라고 / ▼d 패트리샤 처칠랜드 지음 ; ▼e 박제윤 옮김 |
246 | 1 9 | ▼a Touching a nerve : ▼b the self as brain |
260 | ▼a 서울 : ▼b 철학과현실사, ▼c 2014 | |
300 | ▼a 401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Neuropsychology ▼x Philosophy |
650 | 0 | ▼a Cognitive science ▼x Philosophy |
650 | 0 | ▼a Brain |
700 | 1 | ▼a 박제윤, ▼e 역 ▼0 AUTH(211009)34358 |
900 | 1 0 | ▼a 처칠랜드, 패트리샤,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2.8 2014z2 | Accession No. 1117590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패트리샤 처칠랜드(지은이)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철학과 명예교수이다. 신경철학(Neurophilosophy)을 개척한 공로로 맥아더학회상(MacArthur Fellowship)을 수상했다. 샌디에이고에서 살고 있다.
박제윤(옮긴이)
현재 인천국립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이다. 처칠랜드 부부의 신경철학을 주로 연구하며,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저서 「뇌과학과 철학(Neurophilosophy)」(1986), 「신경 건드려보기(Touching a Nerve)」(2013), 「뇌처럼 현명하게(Brain-Wise)」(2002)를 번역하였다. 논문으로 처칠랜드의 표상 이론과 의미론적 유사성 (인지과학회, 2012), 창의적 과학방법으로서 철학의 비판적 사고: 신경철학적 해명 (과학교육학회, 2013)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감사의 말 1장 나, 자아, 나의 뇌 뇌에 질겁하는 사람들 오차드 런 실용주의 전망 2장 영혼 찾아보기 육체와 영혼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아내기가 왜 그리 어려운가? 부정하기는 과학적 설명보다 쉽다 우리의 자아 개념 확장하기 3장 나의 천국 뇌에서 웃기는(?)일이 일어날 수 있다 환각이지, 망상은 아니다 믿음으로 받아들이기 4장 도덕성의 근거, 뇌 가치는 어디에서 나오는가? 포유류의 사랑 이야기 인간은 일부일처제를 갖는가? 도덕성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나? 종교와 도덕은 왜 필요했는가? 긴장과 균형 맞추기 5장 공격성과 성(sex) 증오하는 즐거움 공격성을 위한 신경회로 최고의 짝을 얻기 위한 경쟁 남자 뇌와 여자 뇌 인간 성적(sexual) 발달의 다양한 경로 성적 매력과 그 생물학 테스토스테론과 공격성 공격성의 조절과 억제 6장 그렇게도 멋진 전쟁 인간이 대량학살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가? 제도적 규범이 행동 패턴을 어떻게 형성하였는가? 제7장 자유의지, 습관, 그리고 자기조절 자기조절을 위한 뇌의 장치 자유의지 죄와 처벌 8장 은닉된 인지기능 무의식적으로 똑똑해져라 당신의 무의식이 말하는 주체이다 습관 형성 나 그리고 무의식적인 뇌 ''나''와 ''나 아님''의 구별에 대해서 네가 한 것인가? 자아-개념을 잘못 가지기 의사결정, 무의식 작용, 그리고 자기조절 9장 의식적 삶 돌아보기 수면과 의식경험의 상실 잘 자라 내 아기, 밤새도록 편안하게 의식에 대한 과학적 연구 ''아무것에 대한 의식''과 ''특별한 것에 대한 의식''사이의 관련 인간이 아닌 다른 포유류와 조류 모두의 의식에 대하여 한마디 작업기억 후기 균형 잡힌 행동 뇌에 익숙해지기 주석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