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5324 | |
005 | 20160704155748 | |
007 | ta | |
008 | 160704s2016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86502419 ▼g 94360 | |
020 | 1 | ▼a 9788997472437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006603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a ara ▼h ara |
082 | 0 4 | ▼a 342.5365 ▼2 23 |
085 | ▼a 342.5365 ▼2 DDCK | |
090 | ▼a 342.5365 ▼b 2016 | |
245 | 0 0 | ▼a 바레인 헌법 / ▼d 김종도 [외]옮김 |
260 | ▼a 서울 : ▼b 모시는사람들, ▼c 2016 | |
300 | ▼a 245 p. ; ▼c 20 cm | |
440 | 1 0 | ▼a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중동국가헌법번역HK총서 ; ▼v 06 |
500 | ▼a 기획: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
500 | ▼a 공역자: 정상률, 임병필, 박현도 ; 감수: 김주영 | |
504 | ▼a 참고문헌(p. 239)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역서는 2010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0-362-A00004) | |
546 | ▼a 韓阿對譯 | |
700 | 1 | ▼a 김종도, ▼e 역 ▼0 AUTH(211009)23170 |
700 | 1 | ▼a 정상률, ▼e 역 ▼0 AUTH(211009)53496 |
700 | 1 | ▼a 임병필, ▼e 역 ▼0 AUTH(211009)92540 |
700 | 1 | ▼a 박현도, ▼e 역 ▼0 AUTH(211009)14212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2.5365 2016 | Accession No. 1117586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헌법을 통해 중동 지역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정체성과 삶의 양태까지 읽어내고자 기획된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중동국가헌법번역HK총서> 여섯 번째 책으로 바레인 헌법의 아랍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 바레인에 대한 해설이 실려 있다.
한국과 바레인은 1976년 4월 17일 양국이 외교관계를 수입하고 같은 해 6월 주 바레인 대한민국대사관을 개설함으로써 시작되었다. 한국과 바레인 간 정치 경제 관계는 타 GCC국가들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바레인 경제비전 2030>에 따른 한국 바레인 협력 분야를 적극적으로 찾아 상호 국가이익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 이 책은
헌법을 통해 중동 지역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정체성과 삶의 양태까지 읽어내고자 기획된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중동국가헌법번역HK총서> 여섯 번째 책으로 바레인 헌법의 아랍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 바레인에 대한 해설이 실었다.
■ 출판사 서평
중동국가헌법번역 HK총서시리즈 여섯 번째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HK(Humanities Korea, 인문한국) 해외지역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동국가헌법번역 HK총서> 시리즈 역시 이 사업의 일환으로 현대 중동 국민국가의 정체성과 방향성, 이슬람적 언표(言表)를 정확히 읽어내고자 중동국가의 근간인 헌법을 현지어 원문에서 우리말로 연구, 번역하여 출간하고 있다.
『바레인 헌법』은 『사우디아라비아 통치기본법』, 『쿠웨이트 헌법』, 『아랍에미리트 헌법』, 『카타르 헌법』, 『아랍에미리트 헌법』에 이은 여섯 번째 책이다.
세계 각국의 헌법을 비교·고찰하는 것은 그 나라를 이해하는 첩경이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현재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카타르는 오랜 기간 영국의 지배를 받아왔던 반도국으로 우리나라와 역사와 환경에서 유사한 면이 많기에 한국 헌법과의 비교는 더욱 가치 있다 할 것이다.
바레인과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와 바레인은 1976년 4월 17일 양국이 외교관계를 수입하고 같은 해 6월 주 바레인 대한민국대사관을 개설함으로써 시작되었다. 한국과 바레인 간 정치 경제 관계는 타 GCC국가들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바레인 경제비전 2030>에 따른 한국 바레인 협력 분야를 적극적으로 찾아 상호 국가이익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 중동국가헌법번역HK총서
이 번역 총서는 HK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우리가 흔히 중동이라고 부르는 지역 내 국민국가(Nation-State)의 가장 근간이 되는 헌법을 통해 현대 중동 국민국가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적확하게 읽어내고자 기획되었다. 중동 각국의 헌법을 현지어 원문에서 우리말로 연구·번역하여 출간함으로써 내실 있는 중동 연구에 일조하고, 나아가 국익과 사회적 공익에도 기여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정상률(옮긴이)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HK교수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정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대, 경희대, 연세대, 이화여대, 성공회대 등에서 강의했고 한국외대 중동연구소 초빙연구원,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트루만연구소 객원연구위원, KBS 객원해설위원을 지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중동학회, 한국세계지역학회, 한국반부패정책학회 등의 임원을 역임했다.
김종도(옮긴이)
명지대학교 아랍어과 교수
임병필(옮긴이)
부산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에서 학사학위과정을 마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명지대학교 아랍 중동 관련 연구소에서 연구 및 강의를 하였고, 현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서 시험 및 평가 관련 일을 하고 있다.
박현도(옮긴이)
서강대 종교학과에서 학사학위, 캐나다 매길(McGill)대학교 이슬람연구소에서 이슬람학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마친 후 이란 테헤란대학교 신학·이슬람대학 종교·신비주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인문한국 연구교수로 있다. 그리고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출판위원장, 종교평화국제사업단(IPCR) 영문계간지 Religion & Peace 편집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동연구회 전문위원, 법무부 국가정황정보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외교부 정책자문위원(2012~18)을 지낸 바 있다. 최근 『신학의 식탁??(들녘, 2019)과 Studies in Islamic Historiography (Brill, 2019)를 여러 학자와 함께 썼다.
김주영(감수)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기획)
중동 지역 전반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0년 3월에 설립되었다. 언어, 역사, 종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학제 간 연구를 통하여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통합적인 중동 연구의 견실한 토대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소는 2000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 해외지역 연구분야 연구소로 선정되어, 현재 “사회변동과 호모이슬라미쿠스·샤리아 연구와 중동학 토대 구축”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바레인 헌법 제1편 국가 제2편 사회의 기본구성요소 제3편 공적 권리와 의무 제4편 권력기관 제5편 재정 제6편 총칙과 최종 규정 바레인, 아라비아의 진주, 중동의 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