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4150 | |
005 | 20160615105648 | |
007 | ta | |
008 | 160614s2015 ggkad 000c kor | |
020 | ▼a 9791155657904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3927799 | |
040 | ▼a 211015 ▼c 243007 ▼d 243007 ▼d 244002 | |
082 | 0 4 | ▼a 323.4 ▼2 23 |
085 | ▼a 323.4 ▼2 DDCK | |
090 | ▼a 323.4 ▼b 2015z2 | |
100 | 1 | ▼a 서창록 |
245 | 1 0 | ▼a 세계 국가인권기구 현황 연구 / ▼d 국가인권위원회 지음 ; ▼e 서창록 연구책임 ; ▼e 정규선 공동연구원 |
260 | ▼a 양평 : ▼b 생각쉼표 : ▼b 휴먼컬처아리랑, ▼c 2015. | |
300 | ▼a 455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Questionnaire to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 |
700 | 1 | ▼a 정규선, ▼e 연구 |
710 | ▼a 국가인권위원회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3.4 2015z2 | 등록번호 1513306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을 포함한 69개국의 인권 기구는 평균적으로 19여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프랑스와 룩셈부르크의 인권 기구는 1947년에 설립되어 가장 오래된 67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설립 년수가 30년이 넘은 구가는 스페인, 캐나다, 뉴질랜드, 포르투갈이다.
국가 인권 기구가 최근에 생긴 국가는 브룬디와 모로코로,2011년에 생겨났다. 한국을 제외한 68개국 중 23개국의 나라가 2000년 이후에 국가 인권 기구가 생겨 났는데 이는 국가 인권 기구의 역사가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그리 길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I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필요성 3 연구 방법 가 문헌조사 나 설문조사 II 국가인권기구의 배경 및 구조 1 배경 2 근거법 3 조직 및 예산 III 세계 각 인권기구의 조사 분석 결과 1 인권위원회의 구성 2 인권 위원의 선정 및 임기 - 독립성, 대표성, 다원성 가 인권위원장의 선정 나 위원장의 임기 다 인권위원의 자격 3 인권기구의 역할-조사 권한의 범위 및 피해자 구제책 4 각 국 인권기구 현황 IV 인권 기구 설문조사 V 인권 개선을 위한 주요 활동 사례 1 나라별 주요 인권 이슈 및 활동사례 가 인도-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India 나 뉴질랜드-Human Rights Commission 다 필리핀-The Commission on Human Rights 2 인권 교육 및 홍보 활동 Ⅳ. 평가 및 결과 활용 방안 1. 한국의 국가인권위원회 2.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조사 권한 가. 긍정적 사례(광주 인화원 성폭행 사건) 나. 부정적 사례(인권위원회 비정규직 문제) 3. 세계 인권 기구 속의 한국의 국가 인권위원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