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3172 | |
005 | 20160602155943 | |
007 | ta | |
008 | 160602s2016 ulka 001c kor | |
020 | ▼a 9791185298900 ▼g 03670 | |
035 | ▼a (KERIS)BIB000014076657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781.6509519 ▼2 23 |
085 | ▼a 781.650953 ▼2 DDCK | |
090 | ▼a 781.650953 ▼b 2016 | |
100 | 1 | ▼a 박성건 |
245 | 1 0 | ▼a 한국 재즈 100년사 = ▼x Korean jazz : 100 years of history / ▼d 박성건 지음 |
246 | 3 | ▼a 한국 재즈 백년사 |
260 | ▼a 서울 : ▼b 이리 : ▼b 리젬, ▼c 2016 | |
300 | ▼a 407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50953 2016 | Accession No. 1117574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2년부터 저자는 두 발로 직접 뛰어다니며 자료를 모으고, 인터뷰를 하며 본격적으로 한국 재즈를 연구하여 2013년부터는 월간 <재즈피플>에 한국 재즈에 관한 연재를 시작했다. 그 후 과거 60~70년대 많은 자료들을 보강하고, 한국 재즈의 대표적인 60여 장의 앨범 컬렉션을 수록하여 2016년 새롭게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수백 가지의 사진과 신문 자료를 실어 한국 재즈의 역사를 생생하게 들려주며 열악했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지금껏 한국 재즈 역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었다. 이 책은 몇 년에 걸쳐 오랫동안 연구한 결과물로 해방 이전부터 현재를 아우르는 한국 재즈의 역사를 총망라하였다. 따라서 홍난파의 후손으로부터 시작하여 손목인, 김해송을 거쳐, 길옥윤, 이봉조로 잇는 한국 재즈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한국 재즈 100년사>는 새롭게 밝혀진 대중음악사는 물론, 재즈사적으로 지니고 있는 의미를 풀어내 역사적 깊이를 더하고 있다.
시대별 한국 재즈의 흐름을 파악하며 당시 대표적인 음악가들과 그들에 얽힌 일화뿐만 아니라, 악기별 계보사, 재즈 관련 서적, 재즈페스티벌 약사까지 어느 하나 놓칠 수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장의 앨범 컬렉션은 시기별로 대표 음악인들의 앨범을 소개하여 듣고 싶은 한국 재즈 음반을 골라보는 재미도 있다.
한국 재즈의 역사를 집대성하다!
먼지에 쌓인 LP판 재즈를 다시 듣다!
복고 열풍이 하나의 문화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문화 전반계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이나 소재, 재개봉하는 영화, 초판본 디자인의 도서 등 복고 열풍은 쉬이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 분위기에 더해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일깨우는 또 다른 것이 바로 음악이다. 특히 LP판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턴테이블만의 음색을 다시 느끼고자 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유행이 급변하고 빠르게 발전해가는 현대 생활에서 옛것의 향수를 그리워하고 내면의 공허함을 채우려는 움직임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과거 해방 이후 미8군이 주둔하던 시절까지 대중가요의 대부분이 재즈였다. 오랜 역사만큼이나 재즈는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기기에 중장년층의 추억을 넘어 젊은 세대에게도 새로운 문화로 다가오고 있다. 그런데 1926년 홍난파가 조직한 ‘코리안재즈밴드’부터 현재 가수 나윤선이 외국에서 활약하기까지 수많은 한국 재즈계의 사연은 그대로 구전되어 내려오기만 했다. 이러한 한국 재즈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 없어 아쉬움이 컸던 저자 박성건은 재즈를 즐기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집필을 하기로 결심했다. 참고할 만한 책이 없는 만큼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글을 쓰기란 결코 쉽지 않았다.
2012년부터 저자는 두 발로 직접 뛰어다니며 자료를 모으고, 인터뷰를 하며 본격적으로 한국 재즈를 연구하여 2013년부터는 월간 『재즈피플』에 한국 재즈에 관한 연재를 시작했다. 그 후 과거 60~70년대 많은 자료들을 보강하고, 한국 재즈의 대표적인 60여 장의 앨범 컬렉션을 수록하여 2016년 새롭게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한국 재즈 100년사』는 수백 가지의 사진과 신문 자료를 실어 한국 재즈의 역사를 생생하게 들려주며 열악했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한국 재즈의 존재를 발견하다!<.b>
지금껏 한국 재즈 역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었다. 이 책은 몇 년에 걸쳐 오랫동안 연구한 결과물로 해방 이전부터 현재를 아우르는 한국 재즈의 역사를 총망라하였다. 따라서 홍난파의 후손으로부터 시작하여 손목인, 김해송을 거쳐, 길옥윤, 이봉조로 잇는 한국 재즈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한국 재즈 100년사』는 새롭게 밝혀진 대중음악사는 물론, 재즈사적으로 지니고 있는 의미를 풀어내 역사적 깊이를 더하고 있다.
시대별 한국 재즈의 흐름을 파악하며 당시 대표적인 음악가들과 그들에 얽힌 일화뿐만 아니라, 악기별 계보사, 재즈 관련 서적, 재즈페스티벌 약사까지 어느 하나 놓칠 수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장의 앨범 컬렉션은 시기별로 대표 음악인들의 앨범을 소개하여 듣고 싶은 한국 재즈 음반을 골라보는 재미도 있다.
저자의 헌신과 열정으로 새롭게 출간된『한국 재즈 100년사』는 재즈라는 음악, 역사, 철학을 동시에 담아낸 걸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성건(지은이)
스스로를 ‘비평하는 사람’이 아니라 ‘덕질하는 사람’이라고 외치는 음악인류학자.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IT회사에서 10여 년간 서비스기획자로 근무했다. 당시 외국에서 들린 한 레코드숍에서 재즈와 사랑에 빠진 것을 계기로 음악 불모지 한국에서 직장을 관두고 오선지 위에 뛰어들었다. ‘좋은 음악이 세상을 구한다’는 일념 하나로 멜로디가 흐르는 곳이라면 어디든 달려가 플레이리스트를 들려주고 있다. 보유한 LP부터 CD, 카세트테이프만 무려 1만 장에 달하는 ‘음악애호가’로 각종 TV 및 라디오, 강연에서 다방면에 걸친 지식을 공유하고 있다. 현재는 KBS ‘라디오 매거진 위크앤드’에 고정 출연하며, 한국대중가요연구소 전문연구위원으로 활약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박성건의 1페이지 팝콘서트》 《한국 댄스뮤직 100년사》 《케이팝 인문학》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4 01 한국 재즈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1926~1945) 백만장자의 아들 백명곤, 한국 재즈의 시작을 열다 17 황실 악단과 우리나라 최초의 색소포니스트 백우용 27 1928년, 미국의 폴 화이트먼 앨범의 국내 첫 출시 28 재즈 레코드의 취입과 재즈 가수의 등장 30 홍난파와 재즈 그리고 재즈 평론가 34 〈다방의 푸른 꿈〉과 작곡가 김해송 45 〈타향살이〉, 〈목포의 눈물〉의 손목인과 재즈 51 8.15 해방 전까지의 재즈 57 적성국 음악과 일본 레코드 편곡자들 62 02 미군의 주둔과 한국적 재즈의 태동(1946~1980) 댄스홀과 경음악단의 탄생 67 미8군의 주둔과 재즈 77 탱고 밴드와 김광수 악단 85 클라리넷의 명수 엄토미 89 전설의 재즈 뮤지션들 94 방랑자 길옥윤과 패티김 106 이봉조와 박춘석 116 김영순과 재즈 비즈니스 120 전국 남녀 대학생 재즈페스티벌과 정성조 122 구도의 길을 걸었던 타악기 연주자 김대환 126 재즈 이론가 이교숙과 이판근 136 빅밴드 지휘자이자 편곡자 맹원식 142 한국재즈음악동우회를 조직한 최세진과 퍼커셔니스트 류복성 145 재즈 클럽 올댓재즈의 진낙원과 야누스의 박성연 153 야누스재즈동우회의 멤버들 158 김상희와 윤복희 166 시대의 조류와 함께한 재즈 내한 공연 172 한국 프리재즈의 태동을 알린 사람들 176 03 유학 연주자의 귀국과 퓨전 재즈의 탄생(1980년대 이후) 70~80년대 재즈 불황기의 앨범들 183 케니 지와 차인표 그리고 퓨전 재즈의 시작 187 실용음악과의 탄생과 서울재즈아카데미 191 팔리아멘트 슈퍼 밴드로부터 시작된 재즈 아티스트의 내한 공연 195 유학 연주자들의 등장과 토종 재즈 뮤지션들 200 퓨전 재즈와 대중가요 사이에서 발매된 명반들 204 재즈 월간지와 방송 미디어 211 여성 보컬 전성시대의 개막 218 홍대 재즈 클럽 전성시대 221 한국대중음악상과 리더스폴 222 한국재즈협회 발족과 자라섬 재즈페스티벌의 성공 225 프리재즈를 이어가는 연주자들 227 국외/국내/지방에서 활동하는 음악인들 232 재즈/크로스오버 음악들 235 재즈레이블사 239 04 악기별 계보사 기타 245 드럼 247 보컬 248 베이스 249 색소폰 250 피아노 252 트럼펫 254 트럼본 256 05 재즈 서적과 재즈 비평 재즈 책과 대중과의 만남 261 재즈 비평사 264 06 대한민국 재즈 클럽사 카바레, 살롱 그리고 오비스캐빈 271 올댓재즈, 야누스와 재즈 클럽의 중흥기 273 불황 속에서도 늘어나는 재즈 클럽 277 07 재즈페스티벌 약사 281 08 한국 재즈 앨범 컬렉션 1930~1950년대 유성기 시대의 재즈들 291 1960~2000년대 악단의 대부 엄토미와 클라리넷 연주자 이동기 293 낭만의 색소포니스트 길옥윤과 이봉조의 경음악 시대 300 편곡의 명수 맹원식 308 한국식 라틴 재즈의 설립자 류복성 313 김준과 신관웅 재즈콰르텟 319 한국 프리재즈의 선구자 김대환, 박재천, 강태환, 최선배 329 국악과 재즈와의 만남 340 재즈를 노래한 여성들 346 색소폰과 트럼펫 앨범들 359 퓨전 재즈 시대의 음반들 370 재즈와 만난 민요/가요/팝송들 378 OST 재즈 음악 386 찾아보기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