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제개발협력 :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한 소중한 첫걸음

국제개발협력 :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한 소중한 첫걸음 (23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한국국제협력단. ODA교육원
서명 / 저자사항
국제개발협력 :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한 소중한 첫걸음 / KOICA ODA교육원 엮음
발행사항
성남 :   Sigong media :   i-Scream media,   2016   (2020 7쇄)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59290015 ([v.1]) 9791159290022 ([v.2]) 9791159290039 (세트)
일반주기
부록수록  
입문편은 타출판사에서 출간되었던 도서의 개정판임  
권별감수: [1] - 안동원, 이해균, 장현식, 한영태, [2] - 이유리, 김창엽, 허장, 권혁주, 이찬우, 정금나, 민경일  
내용주기
[1]. 입문편 / 조한덕, 손혁상, 임소진, 곽재성, 김상태, 강연화 집필 (474 p.) -- [2]. 심화편 / 어규철, 오충현, 이효정, 김은주, 임소영, 강선미, 이성훈, 정우진, 이상급 집필 (746 p.)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72776
005 20230116132727
007 ta
008 160526s2016 ggkad b 000c kor
020 ▼a 9791159290015 ([v.1]) ▼g 03300
020 ▼a 9791159290022 ([v.2]) ▼g 03300
020 1 ▼a 9791159290039 (세트)
035 ▼a (KERIS)BIB000014070880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82 0 4 ▼a 338.91 ▼2 23
085 ▼a 338.91 ▼2 DDCK
090 ▼a 338.91 ▼b 2016
110 ▼a 한국국제협력단. ▼b ODA교육원 ▼0 AUTH(211009)149022
245 1 0 ▼a 국제개발협력 : ▼b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한 소중한 첫걸음 / ▼d KOICA ODA교육원 엮음
260 ▼a 성남 : ▼b Sigong media : ▼b i-Scream media, ▼c 2016 ▼g (2020 7쇄)
300 ▼a 2책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부록수록
500 ▼a 입문편은 타출판사에서 출간되었던 도서의 개정판임
500 ▼a 권별감수: [1] - 안동원, 이해균, 장현식, 한영태, [2] - 이유리, 김창엽, 허장, 권혁주, 이찬우, 정금나, 민경일
504 ▼a 참고문헌 수록
505 0 0 ▼n [1]. ▼t 입문편 / ▼d 조한덕, ▼e 손혁상, ▼e 임소진, ▼e 곽재성, ▼e 김상태, ▼e 강연화 집필 ▼g (474 p.) -- ▼n [2]. ▼t 심화편 / ▼d 어규철, ▼e 오충현, ▼e 이효정, ▼e 김은주, ▼e 임소영, ▼e 강선미, ▼e 이성훈, ▼e 정우진, ▼e 이상급 집필 ▼g (746 p.)
910 0 ▼a KOICA. ▼b ODA교육원, ▼e
910 0 ▼a KOICA. ▼b ODA Education Center,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117572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11795907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7572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7958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8312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8337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8644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212463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310515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310515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513336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513336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117572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11795907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7572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7958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8312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8337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118644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212463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310515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310515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8.91 2016 1 등록번호 1513336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8.91 2016 2 등록번호 1513336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제개발협력의 정의부터 방향, 역사, 최근 동향과 이슈,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그리고 한국의 위상과 비전까지 촘촘히 다루고 있는 개괄서이자 안내서다. 무엇보다 KOICA, 개발NGO, UN, 세계은행 등, 국제개발협력으로 진로를 정하고 자신의 꿈을 펼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어떻게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지를 안내한다.

아직도 국제개발협력을 단지 물질적 원조, 국가 차원의 원조, 선진국과 공여국의 일방적인 관계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국제개발협력은 물질적 원조만을 뜻하지 않으며, 국가 차원에서 만큼이나 민간 부문의 역할과 원조도 중요하다. 게다가 일방적인 주고받음이 아니라 상생을 위한 상호 협력 관계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오해와 편견을 극복하고 국제개발협력의 본질과 의의를 깨치는 첫걸음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활용 가이드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발간 의의


빠르게 변하고 있는 세상처럼 국제개발협력의 오늘도 날마다 새로워지고 있다. 오늘날 국제개발협력의 패러다임은 지속가능개발이다. 과거의 공여국-수원국 양자 관계를 넘어 지금은 사람과 국가, 지구 모두에게 이로운 상생의 길을 모색하려 한다. 따라서 모두가 내일을 위해 함께 희망을 심고 싹을 틔어야 할 때다. KOICA ODA교육원에서 엮은『국제개발협력 입문편』은 국제개발협력의 정의부터 방향, 역사, 최근 동향과 이슈,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그리고 한국의 위상과 비전까지 촘촘히 다루고 있는 개괄서이자 안내서다. 무엇보다 KOICA, 개발NGO, UN, 세계은행 등, 국제개발협력으로 진로를 정하고 자신의 꿈을 펼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어떻게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지를 안내한다. 이 책은 처음 국제개발협력을 접하는 모든 이들이 빼놓지 말아야 할 필독서라 할 수 있다.

- 모두의 더 나은 내일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첫걸음

1945년 국제연합(유엔, UN) 창설에 따라 본격적으로 시작된 국제개발협력의 역사는 어느덧 반세기를 훌쩍 넘겼다. 긴 시간만큼이나 국제개발협력의 주체, 방향, 과제, 비전 등도 수많은 부침을 겪었다. 하지만 “왜 가난한 나라를 도와야 하는가?”, “한국에도 빈곤 때문에 고통을 겪는 이들이 많은데 어째서 다른 나라 사람들까지 도와야 하는가?” 등, 우리의 인식과 이해는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아직도 국제개발협력을 단지 물질적 원조, 국가 차원의 원조, 선진국과 공여국의 일방적인 관계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국제개발협력은 물질적 원조만을 뜻하지 않으며, 국가 차원에서 만큼이나 민간 부문의 역할과 원조도 중요하다. 게다가 일방적인 주고받음이 아니라 상생을 위한 상호 협력 관계라 할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은 이러한 오해와 편견을 극복하고 국제개발협력의 본질과 의의를 깨치는 첫걸음이다.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활용 가이드

국제개발협력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기존의 국제개발협력은 원조 공여국과 수원국을 중심으로 국가가 주도하는 성격이 짙었다. 그러나 시민사회가 성숙함에 따라 ‘모두가 잘 사는 세상’, ‘빈곤 없는 지구’를 향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민간 기업들도 사회 공헌 사업에 적극 동참하기 시작했다. 앞으로의 국제개발협력은 ‘국가’와 ‘민간’이라는 두 축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확대될 전망이다.

2015년 UN 총회에서는 2000년 발의된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계승하는 새로운 글로벌 목표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채택했다. SDGs는 경제, 사회, 환경, 평화와 안보라는 4대 핵심요소를 바탕으로 차세대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이는 인류 전체의 평화와 조화로운 발전을 내세운다는 점이 핵심이다.

『국제개발협력 입문편』은 지속가능 개발을 위해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할 국제개발협력의 의의와 비전, 역사, 동향과 이슈, 다양한 주체, 한국의 위상과 과제, 그리고 국제개발협력 분야로의 진로 등을 꼼꼼하게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국제개발협력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음은 물론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한 소중한 첫걸음을 뗄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1996년 세계적인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자 마이클 슈만이 해외 특파원 자격으로 대한민국에 입국했다. 그는 한국을 냉장고 같은 기본적인 편의시설조차 기대할 수 없는, 가난하고 불결한 나라인 줄 알고 왔다 깜짝 놀라고 말았다. 불과 20년 전 일이다. 이 짤막한 일화를 통해 대한민국이 어떤 나라인지가 단번에 설명된다. 물론 그가 놀란 것은 전쟁 후 불과 40년 만에 이토록 완벽하게 과거의 상처를 지우고 경제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나라가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경의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원조 수원국이었다.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모두가 회생 불가능한 파탄 상태라고 단언했다. 하지만 1970년대부터 시작된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1996년에는 경제개발협력기구인 OECD에 가입했다. 13년 후인 2009년 11월 25일에는 OECD 국가 중에서도 선진국이자 원조 공여국만 가입할 수 있는 DAC의 2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이 결정되어서 2010년부터 정식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DAC 설립 이래 최초로 개발도상국 출신 회원국이 되었다.

- 국제개발협력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국제개발협력 입문편』은 국제개발협력을 처음 접하는 이들이 궁금해 하는 모든 것을 알기 쉽고 보기 편하게 다루고 있다.
제1장 국제개발협력과 ODA는 국제개발협력의 궁극적인 목표인 ‘빈곤 퇴치’를 위한 기본 개념과 이해를 돕는다. 불평등의 원인과 문제점, 국제개발협력이 시작된 이유, 규모와 지원 동향, 그리고 성과와 과제까지 다룸으로써 국제개발협력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 준다.
제2장 국제개발협력의 역사는 세계대전이 끝나고 UN이 설립된 1940년대부터 시작하여 1960년대, 1970년대, 1980~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로 나누어 각 시기별 국제개발협력의 당면과제와 주요 담론에 대해 상세히 살피고 있다. 이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현안을 한눈에 보고 이해할 수 있다.
제3장 국제개발협력 최근 동향과 이슈는 2000년 이전의 패러다임이었던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이후의 패러다임인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로의 변화 과정과 비전을 다룬다. 전 세계가 지구의 안녕과 미래를 위해 무엇을 고민하고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는 장으로, 운명 공동체로의 인류의 미래를 고민해 볼 수 있다.
제4장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는 과거 공여국과 수원국의 양자 관계부터 시작하여 UN, OECD, 세계은행 등의 다자개발기구, 수원국, 그리고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주요 원조 주체인 민간 부문의 시민사회, 민간재단, 기타 전문가 집단 등의 다양한 주체들의 역할과 그 의의를 골고루 살피고 있다.
제5장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은 전쟁 후 세계 최빈국에서 선진국이자 원조 공여국으로 성장한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역사와 비전, 과제 등을 설명한다. 세계 여러 개발도상국들이 한국을 ‘살아 있는 희망’으로 삼고 있는 만큼 국제개발협력에서 대한민국이 갖는 위상과 의의는 특별하다.
부록 국제개발협력 진로 탐색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관심이 있거나 진로를 정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특별히 마련되었다. 국제개발협력 분야로 나아갈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과 가이드는 물론 자신의 꿈을 이룬 이들의 생생한 경험담도 담고 있다. 인류의 희망에 자신의 내일을 건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KOICA ODA 교육원(엮은이)

국제개발협력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KOICA가 설립한 국내 최초의 국제개발협력 전문교육기관이다. 교육원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국제개발협력 이론과 실무지식을 제공하고 원조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돕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권]

제1장 국제개발협력과 ODA 
1. 지구촌 빈곤의 이해 
2. 국제개발협력과 ODA 이해 
3. 국제개발협력의 규모와 지원 동향 
4. 국제개발협력의 성과와 과제 

제2장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1. 들어가며 
2. 1940~1950년대 : 국제개발협력의 태동 
3. 1960년대 : 국제개발협력의 도약 
4. 1970년대 : 국제개발협력의 정체 
5. 1980~1990년대 : 국제개발협력의 위기 
6. 2000년대 : 국제개발협력의 재도약 
7. 총평과 전망 

제3장 국제개발협력 최근 동향과 이슈 
1. 들어가며 
2.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로의 변화 
3. 개발재원의 확대 및 다각화 
4. 원조효과성에서 효과적 개발협력으로 
5. 기타 주요 이슈 

제4장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1. 양자 공여국 
2. 다자개발기구 
3. 수원국 
4. 개발협력 주체의 다양화 

제5장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1. 들어가며 
2.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3. 공적개발원조(ODA) 공여국으로서의 대한민국 
4.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체제 및 정책 
5. 국제개발협력과 대한민국의 위상 및 역할 
6. 향후 과제 
7. 통일과 국제사회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비전 

부록 국제개발협력 진로 탐색 
1. 국제개발협력 진로 방향 
2. 국제개발협력 분야별 진로 탐색 
3. 국제개발협력 진로 개발 사례 
4. 국제개발협력 진로 설정 시 고려할 점 
5. 국제개발협력 진로 전망

[2권]

제1장 교육 
1. 교육의 중요성 
2. 세계 교육현황 
3. 교육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교육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과 전략 
5.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6.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교육 분야 성과와 과제 

제2장 보건 
1. 보건의 중요성 
2. 국제보건 현황 
3.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보건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 
5.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6.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보건 분야 성과와 과제 

제3장 농림수산 
1. 농림수산업의 중요성 
2. 세계 농업 현황 
3. 농림수산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농림수산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과 전략 
5.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6.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농림수산 분야 성과와 과제 

제4장 거버넌스 
1. 거버넌스의 이해 
2. 거버넌스의 발전 
3. 거버넌스 측정지표 
4. 거버넌스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과 전략 
5. KOICA의 지원 현황과 전략 
6. 거버넌스 원칙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거버넌스 분야 성과와 과제 

제5장 환경 
1. 들어가며 
2. 환경과 국제개발협력의 중요성 
3. 환경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환경 분야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대응전략 
5.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6. 환경 분야 성과와 과제 

제6장 젠더 
1. 들어가며 
2. 개발과 젠더 논의의 등장배경과 전개과정 
3. 21세기 국제개발협력과 성 주류화의 진전 
4. 21세기 성 주류화 규범과 원칙 
5. 국제개발협력 프로그램과 사업의 성 주류화 추진 도구들 
6. 성 인지적 관점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제7장 인권 
1. 인권의 이해 
2. 인권과 국제개발협력 
3. 인권기반 접근 국제개발협력 
4. 인권기반 접근 프로그래밍 
5. 나오며 

제8장 빈곤 
1. 들어가며 
2. 빈곤의 이해 
3. 국제 빈곤 분석 
4. 국제 빈곤 현황 및 동향 
5. 빈곤과 국제개발협력 
6. 빈곤 감소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7. 빈곤층 친화적 성장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8. 나오며 

부록 과학·기술·혁신 
1. 개발도상국 발전에서 과학기술의 역할 
2. 과학·기술·혁신과 국제개발협력 
3. 한국의 발전 경험 
4. ODA 사업에서의 과학·기술·혁신 
5. SDGs 목표 관련 적정기술 및 KOICA 사업 사례 
6. 국제개발협력에서 과학·기술·혁신의 강조: 기회와 한계

관련분야 신착자료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22)
백인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