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72545 | |
005 | 20160525143711 | |
007 | ta | |
008 | 160524s2015 ulka b 010c kor | |
020 | ▼a 9788998468521 ▼g 93830 | |
035 | ▼a (KERIS)BIB000013749699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0 | ▼a kor ▼b jpn |
082 | 0 4 | ▼a 418.02 ▼2 23 |
085 | ▼a 418.02 ▼2 DDCK | |
090 | ▼a 418.02 ▼b 2015z3 | |
110 | ▼a 한일비교문학연구회 | |
245 | 1 0 | ▼a 번역과 문화의 지평 / ▼d 한일비교문학연구회 편 |
260 | ▼a 서울 : ▼b 박문사, ▼c 2015 | |
300 | ▼a 316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한일비교문학·문화 총서 ; ▼v 2 |
500 | ▼a 저자: 최재철, 성혜경, 양동국, 이한정, 권정희, 이응수, 김효숙, 정응수, 이예안, 김성은 | |
500 | ▼a 도쿄대학 명예교수 다케우치 노부오(竹内信夫)의 고희를 기념하여 펴낸 책임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00 | 1 4 | ▼a 竹内信夫, ▼c 1945- |
700 | 1 | ▼a 최재철 ▼g 崔在喆, ▼e 저 ▼0 AUTH(211009)5468 |
700 | 1 | ▼a 성혜경 ▼g 成惠卿, ▼e 저 ▼0 AUTH(211009)4364 |
700 | 1 | ▼a 양동국 ▼g 梁東國, ▼e 저 ▼0 AUTH(211009)11346 |
700 | 1 | ▼a 이한정 ▼g 李漢正, ▼e 저 ▼0 AUTH(211009)25501 |
700 | 1 | ▼a 권정희 ▼g 權丁熙, ▼e 저 ▼0 AUTH(211009)78744 |
700 | 1 | ▼a 이응수 ▼g 李應壽, ▼e 저 |
700 | 1 | ▼a 김효숙 ▼g 金孝淑, ▼e 저 ▼0 AUTH(211009)50285 |
700 | 1 | ▼a 정응수 ▼g 鄭應洙, ▼e 저 ▼0 AUTH(211009)27632 |
700 | 1 | ▼a 이예안 ▼g 李禮安, ▼e 저 |
700 | 1 | ▼a 김성은 ▼g 金成恩, ▼e 저 ▼0 AUTH(211009)35143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8.02 2015z3 | 등록번호 1117569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일비교문학.문화'의 두 번째 총서로, 저자들은 다케우치 노부오 교수와 학문적 대화, 인간적 교류를 나눈 한국의 연구자들이다. 그의 고희를 축하하기 위해 '번역'이라는 주제로 글을 모았는데, 타자에 대한 관심과 언어에 대한 민감함이라는 지점에서 그와 근본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보았다.
책의 구성은 문제의식에 따라 제1부 '문학의 세계성과 번역의 시야', 제2부 '합일과 일탈로서의 번역', 제3부 '번역과 문화적 교섭'으로 나뉜다. 이 책을 통해 한국과 일본에서 번역의 행위와 사상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번역에 의해 옮겨지는 텍스트들이 두 나라의 문학장과 사상계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다시 생각하기를 촉구하고 있다.
이 책은 <한일비교문학.문화>의 두 번째 총서로, 필자들은 ‘다케우치 노부오(竹内信夫) 교수’와 학문적 대화, 인간적 교류를 나눈 한국의 연구자들이다. 그의 고희를 축하하기 위해 ‘번역’이라는 주제로 글을 모았는데, 타자에 대한 관심과 언어에 대한 민감함이라는 지점에서 그와 근본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보았다.
<번역과 문화의 지평>의 구성은 문제의식에 따라 「제1부, 문학의 세계성과 번역의 시야」, 「제2부, 합일과 일탈로서의 번역」, 「제3부, 번역과 문화적 교섭」으로 나뉜다. 이 책을 통해 한국과 일본에서 번역의 행위와 사상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번역에 의해 옮겨지는 텍스트들이 두 나라의 문학장과 사상계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다시 생각하기를 촉구하고 있다.
[저자 소개]
편자/ 한일비교문학연구회
최재철/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부 교수
성혜경/ 서울여자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양동국/ 상명대학교 일본어문학과 교수
이한정/ 상명대학교 일본어문학과 조교수
권정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교수
이응수/ 세종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김효숙/ 세종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겸임교수
정응수/ 남서울대학교 일본어과 교수
이예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
김성은/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정보제공 :

목차
<머리말> <제Ⅰ부> 문학의 세계성과 번역의 시야 제1장 일본문학의 특수성과 국제성 ?오에 켄자부로(大江健三?)를 중심으로? (최재철) 제2장 무라카미 하루키의 「하나레이 만」론 ?한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성혜경) <제Ⅱ부> 합일과 일탈로서의 번역 제1장 이바라기 노리코와 번역 ?『한국현대시선』을 중심으로? (양동국) 제2장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번역 ?문체 혁신과 일본적 주체성의 재구축? (이한정) 제3장 「고향」에서 「조선의 얼굴(朝鮮の顔)」로 ?현진건 단편소설의 구축과 일본어 번역? (권정희) <제Ⅲ부> 번역과 문화적 교섭 제1장 『계림정화 춘향전(?林情話 春香?)』의 번역 양상 (이응수ㆍ김효숙) 제2장 김동인의 번역·번안 작품 연구 서설 (정응수) 제3장 근대한국의 루소 『사회계약론』 번역과 수용 ?1909년 「盧梭民約」을 중심으로? (이예안) 제4장 근대 기독교 사상 번역과 한자 (김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