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치료놀이

치료놀이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ooth, Phyllis B., 1926-, 편저 Jernberg, Ann M. (Ann Marshak), 1928-1993, 편저 윤미원, 역 김윤경, 역 신현정, 역 전은희, 역
서명 / 저자사항
치료놀이 / Phyllis B. Booth, Ann M. Jernberg 편저 ; 윤미원 [외] 공역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1  
형태사항
571 p. ; 26 cm
원표제
Theraplay : helping parents and children build better relationships through attachment-based play.3rd ed
ISBN
9788963307213
일반주기
부록: 1. 마샥 상호작용 평가: 추천 기본과제 목록, 2. 차원에 따른 치료놀이 활동  
공역자: 김윤경, 신현정, 전은희, 김유진  
서지주기
참고문헌(p. 533-544)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lay therapy Family psychotherap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71853
005 20160518112615
007 ta
008 160516s2011 ulk 001c kor
020 ▼a 9788963307213 ▼g 93180
035 ▼a (KERIS)BIB000012525715
040 ▼a 241018 ▼c 241018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8.92891653 ▼2 23
085 ▼a 618.92891653 ▼2 DDCK
090 ▼a 618.92891653 ▼b 2011
245 0 0 ▼a 치료놀이 / ▼d Phyllis B. Booth, ▼e Ann M. Jernberg 편저 ; ▼e 윤미원 [외] 공역
246 1 9 ▼a Theraplay : ▼b helping parents and children build better relationships through attachment-based play.3rd ed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1
300 ▼a 571 p. ; ▼c 26 cm
500 ▼a 부록: 1. 마샥 상호작용 평가: 추천 기본과제 목록, 2. 차원에 따른 치료놀이 활동
500 ▼a 공역자: 김윤경, 신현정, 전은희, 김유진
504 ▼a 참고문헌(p. 533-544)과 색인수록
650 0 ▼a Play therapy
650 0 ▼a Family psychotherapy
700 1 ▼a Booth, Phyllis B., ▼d 1926-, ▼e 편저
700 1 ▼a Jernberg, Ann M. ▼q (Ann Marshak), ▼d 1928-1993, ▼e 편저
700 1 ▼a 윤미원, ▼e
700 1 ▼a 김윤경, ▼e
700 1 ▼a 신현정, ▼e
700 1 ▼a 전은희, ▼e
900 1 0 ▼a 부스, 필리스 B., ▼e 편저
900 1 0 ▼a 전버그, 앤 M., ▼e 편저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8.92891653 2011 등록번호 1513302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에 치료놀이가 소개된 지 어언 10년이 지났다. 그동안 치료놀이는 많은 발전과 성숙을 통해 이제는 사회복지 실천기법, 아동복지 실천기법으로 사회의 곳곳에서 환영받으며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이 책은 Theraplay, 3rd Edition으로, Theraplay : Helping Parents and Children Build Better Relationships Through Attachment -Based Play를 번역한 것이다.

이번 3판은 전 세계의 재능 있는 임상가들에 의한 지난 10년간의 치료 실제에 근거한 새로운 통찰들을 담고 있는 한편, 애착의 본질에 대한 가장 최근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새로운 연구는 부모-영아의 관계가 두뇌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과 건강한 발달에서의 접촉과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저자들은 치료놀이의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전 세계적으로 치료놀이를 이용한 여러 가지 혁신적인 방식들을 소개하고자 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로 구성되어, 제1부는 치료놀이의 방식과 연구의 기초에 대한 개요를 담았고, 제2부는 치료놀이 치료의 전략을 서술하고 실천지침으로 활용하도록 고안되었다. 제3부에서는 다양한 행동적, 정서적, 관계적 문제를 가진 아동의 욕구에 대해 치료놀이 치료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서술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Ann M. Jernberg(지은이)

PhD는 1969년부터 1993년 사망할 때까지 The Theraplay Institute의 임상 디렉터였다. 독일에서 태어난 그녀는 1939년 미국으로 건너왔으며, 1960년 시카고 대학에서 인간발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Phyllis B. Booth(지은이)

LCPC, LMFT(Licensed Marriage Family Therapist), RPT/S는 시카고 The Theraplay Institute의 임상 디렉터다. 그녀는 1966년 시카고 대학에서 인간발달과 임상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김유진(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 경기과학기술대학 아동영어과 교수 공인 치료놀이 치료사, 사회복지사

윤미원(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 한국치료놀이협회 회장 윤치료놀이상담센터 소장 공인 치료놀이 치료사, 슈퍼바이저, 트레이너 및 사회복지사

김윤경(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교수 공인 치료놀이 치료사, 슈퍼바이저 및 사회복지사

신현정(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안양과학대 사회복지과 교수 공인 치료놀이 치료사, 수련 슈퍼바이저 및 사회복지사

전은희(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공인 치료놀이 치료사, 사회복지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한국어판 발간을 축하하며 
3판 서문 
감사의 말 

제1부 치료놀이 기법의 개관 
제1장 치료놀이 기법의 기초 
치료과정의 이해 
건강한 부모 - 자녀 관계 모방하기 
치료놀이가 필요한 근거 이해하기 
치료놀이가 사용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제2장 치료놀이의 핵심개념을 설명하는 이론과 연구의 이해 
변화는 가능하다 
치료놀이는 상호작용적이며 관계에 기초를 둔다 
치료놀이는 직접적이며 지금 - 여기 경험을 제공한다 
치료놀이는 성인이 안내한다 
치료놀이는 반응적이고 조율적이며 공감적이고 반영적이다 
치료놀이는 전언어적, 사회ㆍ정서적, 우뇌 수준의 발달에 맞춰져 있다 
치료놀이는 다감각적이다 
치료놀이는 즐겁다 

제3장 치료놀이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 
애착장애 
성격변인: 외현화 및 내재화 특성 
자폐증 
이중진단 

제2부 치료놀이의 전략 
제4장 치료놀이의 구조화 
환경 구성하기 
치료사의 역할 조직화하기 
사정하기 
치료놀이 회기의 순서 계획하기 
치료하기: 1~4회기 
치료하니: 5~10회기 
추후 방문하기 

제5장 아동과 함께하기 
치료 단계에 따른 아동 안내 
개별 아동에 맞춘 치료계획 
아동의 저항 다루기 
치료사의 어려움 다루기 
치료 접근법: 치료사를 위한 지침 

제6장 부모와 함께하기 
치료놀이에서 적극적 개입을 위해 부모를 준비시키기 
부모가 자녀를 더 긍정적이고 공감적으로 이해하도록 돕기 
치료놀이 접근으로 부모의 능력 길러 주기 
부모의 결핍된 욕구 충족시키기 
취약하고 위험도가 높은 부모 상담하기 

제3부 치료놀이의 특별한 적용 
제7장 조절장애 아동을 위한 치료놀이 
두뇌, 애착, 조절 간 발달에서의 상호작용 
어린 아동의 사회ㆍ정서적 발달 
감각 자극을 조절하고 처리하기 
조절장애 이해하기 
조절장애에 접근하기 
특정한 감각 자극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이해하기 
치료놀이가 아동을 더 잘 조절하도록 돕는 방법 
사례 예시 

제8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치료놀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정의 
자폐증의 근원적 문제에 대한 이해 
자폐증의 문제와 치료놀이 치료목표 및 원리 간의 관계 이해하기 
부모의 참여를 지지하기 
아동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치료놀이 원리 활용하기 
다양한 접근을 통해 치료 효과 증대시키기 
사회적 지평 확대: 자폐아동을 위한 집단 치료놀이 

제9장 복합외상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치료놀이 
진단적인 문제의 이해 
외상을 입은 두뇌의 이해 
복합외상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치료놀이 변형 
성적 학대를 받은 아동과 함께하기 
치료놀이를 다른 치료와 통합하기 

제10장 입양 또는 위탁보호 아동을 위한 치료놀이 
아동의 경험 이해하기 
치료놀이가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고려하기 
입양 또는 위탁보호 아동의 욕구 이해하기 
부모와 함께하기 
위탁보호 아동과 함께하기 

제11장 청소년을 위한 치료놀이 
청소년과 함께할 때의 특별한 도전 이해하기 
치료놀이가 제공할 수 있는 것 이해하기 
청소년의 치료놀이와 아동의 치료놀이의 차이 이해하기 
청소년을 위해 치료놀이 원리 적용하기 
청소년의 반항심 다루기 
치료 종결을 위한 준비 
청소년 치료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역전이 문제 
청소년과의 치료놀이 회기에 부모 포함시키기 
다른 치료양식과 치료놀이의 결합 

제12장 집단 치료놀이 
집단 치료놀이 틀을 이해하기 
치료놀이 집단을 조직화하기 
집단 회기 계획하기 
부모에세 정보를 제공하고 참여시키기 
전체 가족 치료놀이 접근 
선샤인 서클 
집단 치료놀이를 비공식적으로 활용하기 
성인에게 집단 치료놀이 활용하기 

부록A: 마샥 상호작용 평가: 추천 기본과제 목록 
부록B: 차원에 따른 치료놀이 활동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