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새 테마) 행정학 : 행정이론의 주제 중심 학습

(새 테마) 행정학 : 행정이론의 주제 중심 학습 (3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달곤 李達坤 김판석 金判錫, 저 김행범 金幸範, 저
서명 / 저자사항
(새 테마) 행정학 : 행정이론의 주제 중심 학습 = Public administration : themes oriented study / 이달곤, 김판석, 김행범
발행사항
서울 :   법우사,   2015  
형태사항
xxvii, 983 p. ; 26 cm
ISBN
9788997060405
일반주기
부록: 1. 최근 5급 공채(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기출문제, 2. 최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석사과정) 입학시험 기출문제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71228
005 20160509174839
007 ta
008 160509s2015 ulk b 000c kor
020 ▼a 9788997060405 ▼g 93350
035 ▼a (KERIS)BIB000013862305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51 ▼2 23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15z2
100 1 ▼a 이달곤 ▼g 李達坤 ▼0 AUTH(211009)98833
245 2 0 ▼a (새 테마) 행정학 : ▼b 행정이론의 주제 중심 학습 = ▼x Public administration : themes oriented study / ▼d 이달곤, ▼e 김판석, ▼e 김행범
260 ▼a 서울 : ▼b 법우사, ▼c 2015
300 ▼a xxvii, 983 p. ; ▼c 26 cm
500 ▼a 부록: 1. 최근 5급 공채(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기출문제, 2. 최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석사과정) 입학시험 기출문제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김판석 ▼g 金判錫, ▼e▼0 AUTH(211009)13464
700 1 ▼a 김행범 ▼g 金幸範, ▼e▼0 AUTH(211009)60943
900 1 0 ▼a Lee, Dal-gon, ▼e
900 1 0 ▼a Kim, Pan-suk, ▼e
900 1 0 ▼a Kim, Haeng-bum,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5z2 등록번호 1117560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행정학을 총론, 조직, 인사, 재무 4대 핵심 항목으로 분류하여 행정학의 핵심적 이론들을 잘 정리해 주는 표준 행정학 교재이다. 가장 중요하고도 대표적인 테마들만을 선정하여 핵심적 내용을 서술했기 때문에 행정학의 핵심 주제를 신속히 흡수하도록 하여 독자들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효과적으로 공부하도록 구성했다.

최신의 상황에 적합한 최신의 주요 행정 주제들을 포함하였다. 즉,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사회적 정의가 행정이념이 될 수 있는가?” 행정책임 논쟁”. “사회적 기업”, “성과계약 등 평가제도”, “성과급”, “예산결정이론” “정책조정 기구”, “대통령 비서실” 등을 최신 상황의 내용으로 서술했다. 또, 국가재정법, 정부조직법, 국가공무원법 기타 관련 법제도들을 일일이 확인하여 2015. 8월까지의 주요 새 법제도들에 맞추었다.

마지막으로 행정학의 모범적 서브 노트에 동화되도록 했다. 이 주제들을 여러 번 학습함으로써 부지 중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된 이 체제에 익숙해져 행정학 실력 연마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주요 주제들 끝에 그 주제에 관해 추가로 유의할 점을 박스 속에 논평해 두었다. 특히 유의할 세부 내용들과 그 문항에서 더 참고할 만한 문헌도 지적해 두었다.

이 책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행정학자인 이달곤 김판석 김행범 교수 3인이 행정이론을 주제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역작이다. 행정학을 4대 항목(총론, 조직, 인사, 재무 등)으로 분류하여 주요한 핵심적 이론들을 정확하고도 깊이 있고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하고 서술한 국내 가장 수준 높은 행정학 표준적 교재이다.

이 책의 특성은
1. 행정학을 총론, 조직, 인사, 재무 4대 핵심 항목으로 분류하여 행정학의 핵심적 이론들을 잘 정리해 주는 표준 행정학 교재이다.
2. 가장 중요하고도 대표적인 테마들만을 선정하여 핵심적 내용을 서술했기 때문에 행정학의 핵심 주제를 신속히 흡수하도록 하여 독자들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효과적으로 공부하도록 구성했다.
3. 최신의 상황에 적합한 최신의 주요 행정 주제들을 포함하였다. 즉,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사회적 정의가 행정이념이 될 수 있는가?” 행정책임 논쟁”. “사회적 기업”, “성과계약 등 평가제도”, “성과급”, “예산결정이론” “정책조정 기구”, “대통령 비서실” 등을 최신 상황의 내용으로 서술했다.
4. 국가재정법, 정부조직법, 국가공무원법 기타 관련 법제도들을 일일이 확인하여 2015. 8월까지의 주요 새 법제도들에 맞추었다.
5. 행정학의 모범적 서브 노트에 동화되도록 했다. 이 주제들을 여러 번 학습함으로써 부지 중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된 이 체제에 익숙해져 행정학 실력 연마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6. 주요 주제들 끝에 그 주제에 관해 추가로 유의할 점을 박스 속에 논평해 두었다. 특히 유의할 세부 내용들과 그 문항에서 더 참고할 만한 문헌도 지적해 두었다.
7. 테마 관련된 인물 및 이론을 에세이로 보충하였다. 토마스 우드로 윌슨, 허버트 사이먼, 막스 웨버, 공평성이냐, 자유냐?, 앤드류 잭슨,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 규제 개혁 등을 수록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판석(지은이)

아메리칸대학교(American University) 행정학 박사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교수

김행범(지은이)

서울대학교 박사, 조지메이슨대 공공선택연구소 객원교수 부산대학교 명예교수 (현) 공공선택학회 회장 (공공선택학, 계량분석, 자유주의)

이달곤(지은이)

● 출생과 학업: 1953년 9월 11일 경상남도 창원군 대산면 모산리에서 6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1969년 창원대산중학교 졸업 후 동아고등학교에 입학하고 1972년 서울대학교 공업교육학과에 진학하였다. 1977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입학하여 석사 학위를 받고 1987년 미국 Harvard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 주요 경력: 1988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부임하여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를 거쳐 2005년 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제18대 한나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2009년 행정안전부 장관, 2012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등의 공직을 수행하고 현재 가천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 학회 활동: 1995년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장을 거쳐 2007년 제42대 한국행정학회장을 역임하였다. 1993년 한국정치학회 상임이사, 1994년 한국정책학회 총무위원장, 2000년 한국협상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 정부 자문 활동: 1989년 21세기위원회 위원, 1995년 서울특별시 분쟁조정위원회 위원, 1999년 국무총리소속 행정협의조정위원회 위원 및 중앙권한의 지방이양추진위원회 위원, 2004년 국무총리실 정책평가위원회 위원, 2011년 지방행정체제개편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현재 2018창원세계사격선수권대회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다. ● 연구 활동: 주요 저서로 노사협상전략(1990년), 협상론(1995년), 지방정부론(2004년), 지방자치론(2012년,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1992년), 환경갈등관리-입지정책 사례를 중심으로(1993년), 한국 공공갈등의 발생과 해결(2007년, 공저), 다차원 분석모형에 기초한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 정책과정 분석(2011년)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차례(새 테마 행정학) 
제1장 행정학총론 
[행정학총론 가이드]	2 
01. 행정의 의의	3 
02. 행정 과정: 7대 과정론	8 
03. 고전파 행정학(기술적 행정학)	12 
?토마스 우드로 윌슨(Thomas Woodrow Wilson)	17 
04. 정치행정일원론(기능적 행정학)	23 
05. 정치와 행정의 관계	26 
06. 경영과 행정의 관계	34 
07. 행정의 경영화	40 
08. 행정학의 과학성과 기술성	45 
09. 행정학의 접근방법	51 
10. 행정학의 패러다임	64 
11. 신행정론	78 
12. 비교행정론	84 
13. 행태주의 행정학이론	90 
?허버트 사이먼(Herbert A. Simon)	95 
14. 신제도주의적 행정학 연구	110 
15. 공공선택론적 행정학 연구	120 
16. 행정과 공익	131 
17. 사익 중심적 공익론	139 
18. 행정이념: 능률성	150 
19. 행정이념: 효과성	155 
20. 행정이념: 민주성	157 
21. 행정이념: 합법성	161 
22. 행정이념: 공평성	164 
?공평성(Equity)인가, 자유(Liberty)인가? 172 
23. 한국의 행정 이념 사례-1: 공정 사회론	176 
24. 한국의 행정 이념 사례-2: 경제민주화	187 
25. 사회적 정의(Social Justice)가 행정 이념이 될 수 있는가?	195 
26. 신공공관리론	200 
27. 뉴거버넌스론(New Governance)	211 
28. 피터스(B. G. Peters)의 거버넌스 모형과 행정개혁	219 
29. 시장주의적 행정개혁	227 
30. 참여주의적 행정개혁	238 
31. 심의 민주주의적 행정결정	244 
32. 행정 윤리의 기준	254 
33. 행정책임	263 
34. 행정통제	276 
35. 사회적 자본	284 
36. 행정문화	291 
37. 시민참여와 민주행정	299 
38. 행정개혁	308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 319 
▣ 참고문헌	328 

제2장 행정조직론 
[행정조직론 가이드]	334 
01. 조직 이론의 계보	335 
02. 행정조직의 목표	349 
03. 조직 유형(6대 유형론)	356 
04. 네트워크(Network) 조직	366 
05. 공공부문에 대한 팀(Team)제 조직 도입	372 
06. 학습 조직 이론	381 
07. 관료제 이론	386 
?막스 웨버(Max Weber)	399 
08. 관료제의 병리	408 
09. 관료제와 민주주의	414 
10. 관료제와 마르크스주의 이념	417 
11. 준정부조직(QUANGO)	421 
12. 공기업	426 
13. 공기업의 민영화	435 
14. 사회적 기업	444 
15. 총체적 품질관리(TQM)	451 
16. 책임운영기관	454 
17. 위원회 제도	462 
18. 계선과 막료	472 
19. 정책 조정 기구	483 
20. 대통령 비서실	491 
21. 리더십 이론	501 
22. 상황 적합적 리더십	513 
23. 조직과 인간관	518 
24. 최고 정책 결정권의 분담	525 
25. 조직발전(OD)	530 
?규제개혁	534 
▣ 참고문헌	537 

제3장 인사행정론 
[인사행정론 가이드]	542 
01. 엽관주의	543 
?앤드류 잭슨(Andrew Jackson)	548 
02. 실적주의	553 
03. 직업공무원 제도	561 
04. 대표관료제	567 
05. 공직분류 제도-1: 공무원의 분류체계	571 
06. 공직분류 제도-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576 
07. 중앙인사기관	590 
08.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595 
09. 성과계약 등 평가 제도 603 
10. 근무성적평정	610 
11. 교육 훈련	626 
12. 모 집	636 
13. 퇴직관리	641 
14. 보 수	650 
15. 성과급 제도	661 
16. 동기부여 이론	671 
17. 공무원단체와 노동조합	686 
18.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697 
19. 다면평가제	704 
20. 개방형 임용제	711 
21. 고위공무원단 제도	716 
22. 정치적 임명	724 
23. 공무원 연금 제도	732 
▣ 참고문헌	739 


제4장 재무행정론 
[재무행정론 가이드]	744 
01. 예산의 기능	745 
02. 예산 원칙	751 
03. 예산과 법률의 관계	757 
04. 예산의 법적 기초	761 
05. 예산의 종류	768 
06. 기금 제도	781 
07. 중기재정계획	789 
08. 중앙예산기구	794 
09. 예산 편성 799 
10. 예산 편성 (사례 연구) 809 
11. 예산 심의 (사례 연구)	817 
12. 예산결정 이론들	830 
13. 예산 집행의 신축성 확보제도	848 
14. 예산 집행상의 재정 통제 확보제도	857 
15. 결산 과정	862 
16. 품목별 예산 제도(LIBS)	868 
17. 성과주의 예산 제도(PBS)	873 
18. 성과지향적 예산제도	880 
19. 계획예산 제도(PPBS)	889 
20. 영기준 예산 제도(ZBB)	895 
21. 자본예산 제도(Capital Budget)	901 
22. 복식부기와 발생주의 회계 제도	905 
23. 조달 행정	910 
24. 재정 민주주의	915 
25. 총액배분?자율편성(Top-down) 예산 제도	925 
26. 공공 사업에 대한 민자 유치	930 
▣ 참고문헌	934 
부 록 
Ⅰ. 최근 5급 공채(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기출문제(행정학 정책학) 
Ⅱ. 최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입학시험 기출문제(석사과정)(행정학 정책학)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