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1
Ⅰ. 서 론 25
1. 연구배경과 목적 25
2. 연구범위와 방법 26
Ⅱ. 선행연구 및 해외사례 29
1. 선행연구 29
2. 해외사례 35
가. CalPERS 35
나. CalSTRS 42
Ⅲ. 통화오버레이 전략의 정의, 특징 및 유형 47
1. 통화오버레이 전략의 정의 및 장단점 47
가. 통화오버레이의 정의 47
나. 통화오버레이의 장단점 49
2. 통화오버레이 전략의 특징 51
가. 다양한 자산에 대한 통화 익스포져의 통합 51
나. 파생상품의 활용 54
다. 다양한 위험규제 부과 55
3. 통화오버레이 전략의 유형 61
가. 패시브 통화오버레이 61
나. 액티브 통화오버레이 64
다. 통화 순수 알파 오버레이(currency-pure-alpha) 66
Ⅳ. 국민연금 통화오버레이 벤치마크 헤지비율의 설정 69
1. 벤치마크 헤지비율의 종류 70
가. 유니터리 헤지비율 70
나. 동태적 헤지비율 71
다. Black의 유니버셜 헤지비율 72
라. 최소-분산 헤지비율 73
2. 국민연금 통화오버레이 벤치마크 헤지비율의 설정 75
가. Dales & Meese 평균-분산 최적화 헤지비율 76
나. 최적 통화수요 추정을 통한 헤지비율 추정 83
다. 통화오버레이 벤치마크 헤지비율 설정 87
Ⅴ. 국민연금 통화오버레이 전략의 추진방향 89
1. 통화오버레이 전략의 기본 방향 89
2. 세부 통화오버레이 전략 92
가. 외부위탁 액티브 통화오버레이 92
나. 내부운용 액티브 통화오버레이 99
다. 해외채권 대상 내부 패시브 통화오버레이 102
3. 통화오버레이 매니저의 선정 104
가. 매니저 선정 5단계 105
나. 정량적 스코어링 106
다. 정성적 스코어링 108
라. 최종 매니저 포트폴리오 구성 109
4. 위험관리 110
가. 위험예산배분 111
나. 세부적 위험한도 관리 112
다. 거래상대방 신용위험 관리 114
Ⅵ.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17
참고문헌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