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870160 | |
005 | 20160421103442 | |
007 | ta | |
008 | 160420s2016 ulka 000 kor | |
020 | ▼a 9788960695375 ▼g 93510 | |
035 | ▼a (KERIS)REW000000266566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12.8 ▼2 23 |
085 | ▼a 612.8 ▼2 DDCK | |
090 | ▼a 612.8 ▼b 2016 | |
245 | 0 0 | ▼a 신경해부생리학 워크북 = ▼x Neuroanatomy and Neurophysiology Workbook / ▼d 한종만 외 공저 |
260 | ▼a 서울 : ▼b 정담미디어, ▼c 2016 | |
300 | ▼a 209 p. : ▼b 삽화 ; ▼c 28cm | |
500 | ▼a 공저자:김동현, 김명철, 김용성, 이주상, 이효정 | |
653 | ▼a 신경해부생리학 ▼a 워크북 | |
700 | 1 | ▼a 한종만, ▼e 저 |
700 | 1 | ▼a 김동현, ▼e 저 |
700 | 1 | ▼a 김명철, ▼e 저 |
700 | 1 | ▼a 김용성, ▼e 저 |
700 | 1 | ▼a 이주상, ▼e 저 |
700 | 1 | ▼a 이효정,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2.8 2016 | Accession No. 1310503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신경해부학을 학습하는 방법에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본인이 직접 그려보면서 스스로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은 말하면서 쓰고, 잘못 쓴 것은 스스로 고치며 이것을 반복하고 고착화하는 것이다. 직접 그리고 색칠하는 방법으로 핵심적인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바탕으로 이외의 부분까지도 더불어 학습할 수 있다.
신경해부학을 학습하는 방법에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본인이 직접 그려보면서 스스로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아닐까 생각했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은 말하면서 쓰고, 잘못 쓴 것은 스스로 고치며 이것을 반복하고 고착화하는 것이 기억의 장기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신경해부생리학 워크북은 직접 그리고 색칠하는 방법으로 핵심적인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바탕으로 이외의 부분까지도 더불어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책의 구성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각 장(章)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 각 장(章)의 임상노트를 구성하여 신경해부학과 질환을 연계시켰다.
3. 본문에는 전체 그림에 대해 설명하여 본문을 참고하면서 그릴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4. 색칠을 해야 하는 부분은 테두리를 색으로 구분하여 집중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CHAPTER 1 신경계발달 및 신경세포의 구조 1-1 신경계의 구성 = 2 1-2 수정과 배아 형성 = 4 1-3 신경관 및 신경배 형성 = 6 1-4 뇌의 발달 = 8 1-5 척수의 발달 = 10 1-6 초기 뇌 발달의 여섯 과정 = 12 1-7 신경세포의 구조 및 종류 = 14 1-8 신경아교세표 : 말초신경계, 중추신경계 = 16 1-9 연접의 구조 및 종류 = 18 1-10 세포막의 흥분 = 20 1-11 활동전위의 전파 = 22 CHAPTER 2 말초신경계 2-1 신경섬유의 구성 = 26 2-2 신경섬유막 = 28 2-3 신경섬유의 유형 = 30 2-4 말이집 탈락 후 활동전위전파 = 32 2-5 왈러변성 및 역행변성 = 34 2-6 신경섬유의 변성 및 재생 = 36 2-7 피부수용기 = 38 2-8 근육방추의 구조 = 40 2-9 근육방추의 기능 = 42 2-10 골지힘줄기관의 구조 = 44 2-11 골지힘줄기관의 기능 = 46 CHAPTER 3 척수와 척수신경 3-1 척수의 외형 = 50 3-2 척수의 구성 = 52 3-3 척수의 렉시드층판 = 54 3-4 척수 반사 = 56 3-5 척수의 혈관 = 58 3-6 척수 손상 = 60 CHAPTER 4 뇌줄기와 뇌신경 4-1 뇌줄기의 구조 = 64 4-2 뇌줄기의 구조(중간뇌) = 66 4-3 뇌줄기의 구조(다리뇌) = 68 4-4 뇌줄기의 구조(숨뇌) = 70 4-5 뇌줄기의 뇌신경핵 = 72 4-6 뇌신경의 기능적 분류 = 74 4-7 후각신경 = 76 4-8 시각신경 = 78 4-9 눈돌림ㆍ도르래ㆍ갓돌림신경 = 80 4-10 삼차신경 = 82 4-11 얼굴신경 = 84 4-12 속귀신경 = 86 4-13 혀인두신경(설인신경) = 88 4-14 미주신경 = 90 4-15 더부신경(부신경) = 92 4-16 혀밑신경(설하신경) = 94 CHAPTER 5 사이뇌 5-1 사이뇌의 구조 = 98 5-2 시상의 기능 = 100 5-3 시상하부의 구조 및 기능 = 102 5-4 시상하부의 구조 및 기능 = 104 5-5 시상밑부의 구조 및 구조 = 106 5-6 기타 시상의 신경로들 = 108 CHAPTER 6 바닥핵 6-1 바닥핵의 구분 = 114 6-2 입-축력 및 자체회로 = 116 ① 입력부 = 117 ② 자체회로 = 118 ③ 출력부 = 119 6-3 평행회로 = 120 CHAPTER 7 소뇌 7-1 소뇌의 바깥구조 = 124 7-2 소뇌의 속구조 = 126 7-3 소뇌다리 = 128 7-4 각 부위별 들신경경로 = 130 ① 대뇌겉질과 아래올리브핵의 입력 = 131 ② 안뜰핵의 입력 = 132 ③ 척수의 입력(뒤척수소뇌로, 쐐기소뇌로) = 133 7-5 각 부위별 날신경경로 = 134 ① 치아핵의 출력 = 135 ② 중간위치핵의 출력 = 136 ③ 꼭지핵과 안뜰핵의 출력 = 137 CHAPTER 8 둘레계 8-1 둘레계의 구조와 기능 = 140 8-2 해마형성체의 구조와 기능 = 142 8-3 편도체의 구조와 기능 = 144 8-4 사이막영역의 구조와 기능 = 146 8-5 둘레계의 기능적 연결 = 148 CHAPTER 9 대뇌 9-1 대뇌반구의 표면 = 152 9-2 대뇌반구의 엽 = 154 9-3 대뇌겉질의 기능적 영역 1 = 156 9-4 대뇌겉질의 기능적 영역 2 = 158 9-5 대뇌겉질의 기능적 영역 3 = 160 9-6 대뇌겉질의 기능적 영역 4 = 162 9-7 대뇌의 혈관 = 164 CHAPTER 10 신경전도로 10-1 뒤기둥/안쪽섬유띠로 = 168 10-2 새척수시상로 = 170 10-3 옛척수시상로 = 172 10-4 뒤척수소뇌로 = 174 10-5 쐐기소뇌로 = 176 10-6 앞척수소뇌로 = 178 10-7 입쪽척수소뇌로 = 180 10-8 가쪽겉질척수로 = 182 10-9 적색척수로 = 184 10-10 그물척수로 = 186 10-11 겉질숨뇌로 = 188 10-12 안쪽겉질척수로 = 190 10-13 덮개척수로 = 192 10-14 안쪽그물척수로 = 194 10-15 안쪽안뜰척수로 = 196 10-16 가쪽안뜰척수로 = 198 10-17 청색반점척수로 = 200 10-18 솔기척수로 = 202 CHAPTER 11 자율신경계 11-1 자율신경(교감신경) = 206 11-2 자율신경(부교감신경) =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