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69934 | |
005 | 20160419113447 | |
007 | ta | |
008 | 160418s2014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541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607567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8.92/85889 ▼2 23 |
085 | ▼a 618.9285889 ▼2 DDCK | |
090 | ▼a 618.9285889 ▼b 2014 | |
245 | 0 0 | ▼a 신경과학과 학습장애 : ▼b 진단과 교육을 위한 새 지평 / ▼d Elaine Fletcher-Janzen, ▼e Cecil R. Reynolds 편저 ; ▼e 김동일 역 |
246 | 1 9 | ▼a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era of RTI : ▼b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and intervention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 |
300 | ▼a 486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SNU SERI 연구총서 ; ▼v 2 |
504 | ▼a 참고문헌(p. 423-481)과 색인수록 | |
536 | ▼a 2013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g (NRF-2013S1A3A2055007) | |
650 | 0 | ▼a Learning disabilities ▼x Diagnosis |
650 | 0 | ▼a Learning disabled children ▼x Education |
650 | 0 | ▼a Remedial teaching |
650 | 0 | ▼a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children |
650 | 0 | ▼a Response to intervention (Learning disabled children) |
700 | 1 | ▼a Fletcher-Janzen, Elaine, ▼e 편 ▼0 AUTH(211009)135644 |
700 | 1 | ▼a Reynolds, Cecil R., ▼d 1952-, ▼e 편 ▼0 AUTH(211009)118829 |
700 | 1 | ▼a 김동일, ▼e 역 ▼0 AUTH(211009)121096 |
900 | 1 0 | ▼a Kim, Dong-il,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8.9285889 2014 | 등록번호 1117551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금까지 교육 연구자들은 인간의 뇌 안에서의 인지 활동을 연구하기 위해 인지 활동 그 자체보다도 그러한 인지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행동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을 통해 신경과학(신경심리학) 분야는 인지 활동의 주체인 뇌 자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깊은 이해에 접근해 가고 있다. 특히 주어진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어느 뇌 영역이 가장 활성화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기능적 뇌영상(functional neuroimaging) 기법이 개발되고 발전함에 따라 뇌 활동과 행동 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 뇌의 복잡한 구조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기억 그리고 행동 기제들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관련 연구들이 축적됨에 따라 신경과학이 교육과 학습의 과학을 진전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교육 연구자 및 교사들은 학습, 기억 그리고 행동의 주체인 뇌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하고, 그간에 이루어진 뇌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특성 연구들은 교육 현장에 주는 실천적 의미가 약하다. 그러나 실제로 교육적 실제에 연결될 수 있는 인지신경과학 연구 결과들이 확산되고 있고, 뇌 연구에 따른 정보들을 교육에 적용해 보려는 시도인 뇌 기반 연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하에서 학습에서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데에도 뇌 활동 분석의 정당성이 제기되면서 뇌와 학습의 연관성 연구를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특히 학습장애 학생들의 인지 활동에 대해 제공해 주는 인지신경심리학적 발견들이 교육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숙고하여야 하는 기회이자 과제를 부여한다.
이 책은 중재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RIT) 모형이 제시된 현 상황에서 신경과학의 눈을 가지고 학습장애에 대한 진단과 교육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 본격적인 개설서다. 이 책을 통하여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다양한 진단과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볼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Elaine Fletcher-Janzen(지은이)
1993년 윌리엄 앤 메리 대학에서 학교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4년째 공립학교의 학교심리학자 및 신경정신병 입원환자 병동에서 일하고 있다. 14권의 책과 참고서들을 저술 및 공동 편집했다.
Cecil R. Reynolds PhD(지은이)
300개 이상의 학술 출판물의 저자이며,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과 Handbook of Clinical Child Neuropsychology를 포함하여 45권의 책을 저술 혹은 편집했다. 11년간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의 편집장이었으며, 현재는 Applied Neuropsychology의 편집장이다. 또한 BASC-2와 RIAS 등 널리 이용되는 성격검사, 행동검사 등을 만들었다. 현재 텍사스 A&M 대학교의 교육심리학, 신경과학 교수이자 저명한 연구 학자다.
김동일(옮긴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교육부 학술상(상장 20-1075),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2022)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연구사업단 단장, 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 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 상담학 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 전문학술논문(SSCI/KCI)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하여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목차
역자 서문 편저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신경과학과 특정학습장애 -최근 논쟁과 미래 임상적 개입에 대한 지침으로서의 역사적 배경 특정학습장애에 대한 Godstein-Strauss-Werner의 시각적 접근 특정학습장애에 대한Orton-Hinshelwood의 발달적 문어 접근 통합적 모형을 제안한 Sam Kirk 특정학습장애: 연방정부의 정의 신경심리학 연구와 특정학습장애 제2장 중재반응(RTI) 모형, 신경과학, 감각 -학습장애 진단과 중재에서의 혼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제3장 신경과학과 RTI -상보적 역할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인지신경과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요약 제4장 학습장애 분야에서 교육(전문가) 중심 접근 -RTI가 학습장애 분야에서 신경심리학 및 신경과학을 대체할 것인가 여섯 가지 질문 결론 제5장 학습장애의 진단과 중재에서 유전-환경 논쟁 -균형 잡힌 시각을 위하여 큰 그림: 전체적 조망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6장 학습장애의 진단과 평가(사정)에서 신경심리학과 RTI의 호환 가능성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신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논의 제7장 평가(사정) 대 검사 -학습장애 진단에서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RTI와 임상심리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8장 RTI에서 종합적 평가의 역할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9장 RTI 모형에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하의 통합 필요성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하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0장 학습장애 평가(사정)에서 신경심리학적 평가와 RTI는 상호 배타적인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1장 신경과학, 신경심리학, 보건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습장애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신경심리학적 접근과 공중 보건 모형 요약 및 결론 제12장 교육에 과학과 실제를 통합하기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3장 RTI에 대한 신경심리학의 관점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4장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의 기여 -과학과 문화적 측면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5장 학습장애 판별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서의 측면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6장 학습장애 평가에서 RTI와 인지신경과학의 통합 신경과학은 학습장에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7장 신경심리학과 RTI -학습장애에 관한 정책, 진단, 중재에 대한 시사점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18장 신경과학, 신경심리학 그리고 교육 -함께 공부하고 서로 어울려 지내기 위한 학습을 위하여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제19장 소수 집단에서의 학습장애 진단 -비신경심리학적 접근의 적용상 난점에 대하여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21장 학습장애 평가(사정)에서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의 역할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22장 RTI와 신경심리학 -변증법적 통합의 가능성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제23장 학습장애에 대한 진단과 효과적 중재 계획의 기회로서 RTI 활용하기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RTI 맥락에서의 중재 설계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제24장 신경심리학, 신경과학, 학습장애 -뇌와 행동의 연관성에 대한 시사점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판정에 관한 법률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가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제25장 맺음말 -적용해야 제대로 아는 것이다. 행동으로 보여야 제대로 의지를 지닌 것이다 신경과학은 학습장애 평가(사정)와 판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향후 신경과학의 발달은 학습장애의 분류와 중재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 방법으로서 RTI와 임상신경과학 지식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학습장애 진단에서 신경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