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Loan 1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곽덕주, 저 강대중, 姜大仲, 1971-, 저 박현정, 저 소경희, 저 이선영, 저 정동욱, 저 조영환, 저
Title Statement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 곽덕주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6  
Physical Medium
354 p. : 삽화 ; 24 cm
Series Statement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총서
ISBN
9788925409771
General Note
공저자: 강대중, 박현정, 소경희, 이선영, 정동욱, 조영환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69268
005 20220425153353
007 ta
008 160407s2016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09771 ▼g 93370
035 ▼a (KERIS)BIB000014033799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71.1 ▼2 23
085 ▼a 371.1 ▼2 DDCK
090 ▼a 371.1 ▼b 2016z1
245 0 0 ▼a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 ▼d 곽덕주 [외]공저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6
300 ▼a 354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총서
500 ▼a 공저자: 강대중, 박현정, 소경희, 이선영, 정동욱, 조영환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곽덕주, ▼e▼0 AUTH(211009)136603
700 1 ▼a 강대중, ▼g 姜大仲, ▼d 1971-, ▼e▼0 AUTH(211009)85559
700 1 ▼a 박현정, ▼e▼0 AUTH(211009)30540
700 1 ▼a 소경희, ▼e▼0 AUTH(211009)21768
700 1 ▼a 이선영, ▼e▼0 AUTH(211009)109314
700 1 ▼a 정동욱, ▼e▼0 AUTH(211009)131969
700 1 ▼a 조영환, ▼e▼0 AUTH(211009)37325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 2016z1 Accession No. 1117547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연구소의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된 책이다. 저자들은 모두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들로 2014년 1월 경 첫 모임을 시작한 이후, 2여년에 걸쳐 공동으로 이루어낸 작업의 성과물이다. 학교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부딪힐 수 있는 실제적 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연구소의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된 것이다. 집필진은 모두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들로 2014년 1월 경 첫 모임을 시작한 이후, 2여년에 걸쳐 공동으로 이루어낸 작업의 성과물이다. 이 책을 기획할 당시 집필진들은 두 가지 관심을 염두에 두었다. 첫째, 미래 사회의 교사를 키우기 위한 ‘새로운 접근’의 교육 자료를 개발하자는 것이었다.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직과목이나 교사교육을 위한 양질의 교육학 텍스트와 자료들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지만 그 형식과 접근에 있어서 대동소이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이론적이거나 학문 중심적이어서 현장과 관련된 교사교육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이 공유되었다. 둘째, 교사의 일상적 실천과 관련되고 교사의 관점이 반영된 교육 자료를 만들되, 예비교사들의 교직현장에 대한 ‘고도의 실천적 성찰력’과 ‘교직 소양’의 함양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하자는 것이었다. 이것은 예비교사들을 능동적 학습자로 가정하고 이들의 적극적 참여와 토론을 유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책을 구성할 때 가능한 것이었다. 이 두 가지 관심을 반영하기 위해 결국 학교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부딪힐 수 있는 실제적 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책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소경희(지은이)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박사(교육과정 전공)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관심영역: 교육과정 연구와 개발, 교사교육 이메일: sohee@snu.ac.kr

강대중(지은이)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강원도 원주 출생. 서울대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미국 조지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일보> 기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정책보좌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선임전문원으로 일했다.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교육부 제3기 정책자문위원회 평생직업교육혁신분과위원장,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미래교육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학부모학회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현재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이다. 저서로는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공저, 2020), 『평생교육론』(공저, 2019),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공저, 2016), 『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단독, 2015) 등이 있고, 「학습하는 부모: 평생학습시대의 학부모 담론 재구성」(2020),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곽덕주(지은이)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이자 서울대 교육연구소 소장이다. 2021년부터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기도 하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Teachers college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관심사는 동서양 비교교육철학, 교사교육철학, 예술교육철학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미적체험과 예술교육』(2013, 공저),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 International and Crosscultural Approaches(2020, 공동편저), 『코로나 이후 교육을 말하다』(2021, 공저) 등이 있다.

이선영(지은이)

학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미국 조지아대학교 철학박사(교육심리학과 영재/창의성교육 전공)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관심영역: 영재교육, 창의성교육, 재능계발교육, 영재교육프로그램, 시민의식교육 등 이메일: seonylee@snu.ac.kr

정동욱(지은이)

학력: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석사, 콜롬비아 대학교 철학박사(교육경제학 전공)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부교수 관심영역: 교육행정, 교육경제, 교육재정, 교육정책 이메일: jeongdw@snu.ac.kr

박현정(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교육측정 및 통계를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교육측정평가전공)로 재직 중이며, 주요 관심분야는 국제비교분석, 종단자료의 분석, 다층자료 분석 등이다.

조영환(지은이)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문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석사) ∙ 미국 University of Missouri 대학원 정보과학 및 학습공학(Ph.D.) [경력] 싱가포르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선임연구원 / 한국교육공학회 상임이사 /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 부장교수 / Asia-Pacific Education Review 편집이사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저서] 테크놀로지와 함께하는 유의미학습(공역) / Authentic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Perspectives from Singapore and beyond(편저) /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공저) / 문제해결과 학습 디자인: David H. Jonassen 교수님의 연구를 되돌아보며(편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론: 예비교사들에게 교육학적 지식을 어떻게 소개할 것인가? / 13 
미래 사회, 미래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 13 
교사교육에서 이론과 실천의 문제 / 15 
이 책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 19 

PART Ⅰ 교육적 관계와 교육적 실천 / 23 
들어가는 말 / 23 
CHAPTER_1 교육의 조건 / 27 
1. 교육의 개념에 대한 전형적 비유 / 30 
2. 새로운 교육의 비유: 예술과 만남 / 33 
3. 교사의 권위, 그 교육적 지위와 원천 / 37 
4. 나가며 / 41 

CHAPTER_2 교육적 관계의 특성과 교사 인성 / 43 
1. 교육적 관계의 핵심적 특징 / 46 
2. 교직과 교사 인성 / 51 
3. 교사정체성 / 54 
4. 나가며 / 58 

CHAPTER_ 3 교육의 목적 / 61 
1. 경쟁하는 다양한 교육 목적과 학교교육 / 65 
2. 교육내용의 성격 / 71 
3.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의 이해 / 73 
4. 나가며 / 76 

PART Ⅱ 교육과정, 그리고 교수와 학습 / 79 
들어가는 말 / 79 
CHAPTER_ 4 수업 전문가로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자세 / 85 
1. 수업 실제의 맥락과 특징: “계획한 대로 가르칠 수 있는가?” / 88 
2.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 “교육과정은 수업 이전에 모두 계획될 수 있는가?” / 90 
3. 교사 지식과 교사 학습공동체: “교사도 지식을 생성할 수 있는가?” “어떻게?” / 94 
4. 나가며 / 99 

CHAPTER_ 5 다양한 학습자 유형과 학습전략 / 105 
1. 창의성과 창의적인 학생 / 108 
2. 학습된 무기력과 무기력한 학생 / 114 
3. 나가며 / 120 

CHAPTER_ 6 잘 가르치는 방법 / 125 
1. 잘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 126 
2. 사전지식 수준이 다양한 학생들을 잘 가르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39 
3. 나가며 / 148 

CHAPTER_ 7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업 / 151 
1. 테크놀로지란 무엇인가? / 154 
2. 첨단 테크놀로지는 교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 158 
3. 유의미 학습을 위해서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61 
4. 나가며 / 169 

CHAPTER_ 8 학습에 대한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 / 173 
1. 좋은 평가란 어떤 평가인가? / 176 
2. 학습에 도움이 되는 평가는 어떻게 가능한가? / 186 
3. 나가며 / 194 

PART Ⅲ 학교와 사회 / 197 
들어가는 말 / 197 
CHAPTER_ 9 교육의 공공성 / 201 
1. 교육은 공공재인가? 사적 재화인가? / 204 
2. 교육에 있어서 정부와 시장의 역할은 무엇인가? / 208 
3. 우리는 경쟁과 효율 중심의 시장주의적 교육개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214 
4. 나가며 / 218 

CHAPTER_ 10 학교와 교사의 책무성 / 223 
1. 학교와 교사는 왜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책무성을 요구받고 있는가? / 226 
2. 학교와 교사는 누구에게, 무엇에 대해, 어떻게 책무를 지고 있는가? / 231 
3. 학교 외부로부터 부과되는 책무성 정책은 과연 효과적인가? / 239 
4. 학교와 교사들은 스스로 책무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 / 241 
5. 나가며 / 244 

CHAPTER_ 11 학교의 위기, 학교의 미래 / 249 
1. 학교 위기의 현상 / 252 
2. 진단과 전망 / 258 
3. 나가며 / 272 

PART Ⅳ 추가 현장 사례들 / 279 
들어가는 말 / 279 
CHAPTER_ 12 다문화교육 사례 / 281 
1. 다문화교육 등장 배경과 전개 / 284 
2. 다양한 관점의 다문화교육 / 286 
3. 다문화교육과정을 위한 실천적 문제들 / 292 

CHAPTER_ 13 폭력학생 사례 / 299 
1. 폭력행동이란 무엇인가? / 301 
2. 학교 폭력은 무엇인가? / 306 
3. 학교폭력 학생들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 309 

CHAPTER_ 14 자유학기제의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 / 317 
1. 자유학기제란 무엇인가? / 319 
2. 자유학기제가 의도하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은 어떤 성격의 것인가? / 323 
3.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살린 교육과정 설계와 수업은 어떻게 가능한가? / 327 

CHAPTER_ 15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 333 
1. 교육의 민주화를 주도하다 / 336 
2. 교육의 정치화를 경계하다 / 338 
3. 교사의 이중적 지위 / 341 

찾아보기 / 34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