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68460 | |
005 | 20160330131801 | |
007 | ta | |
008 | 160329s2015 ulkad 000c kor | |
020 | ▼a 9788994543741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3957557 | |
040 | ▼d 222001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2.6324 ▼2 23 |
085 | ▼a 332.6324 ▼2 DDCK | |
090 | ▼a 332.6324 ▼b 2015z35 | |
100 | 1 | ▼a 이제문 ▼0 AUTH(211009)103209 |
245 | 1 0 | ▼a 2016-2018 대한민국 부동산 대전망 : ▼b 대세상승인가 폭락인가, 16년인가 18년인가? / ▼d 이제문, ▼e 박철 지음 |
246 | 3 0 | ▼a 대한민국 부동산 대전망 |
260 | ▼a 서울 : ▼b 고려원북스, ▼c 2015 ▼g (2016 2쇄) | |
300 | ▼a 391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700 | 1 | ▼a 박철, ▼e 저 ▼0 AUTH(211009)18214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2.6324 2015z35 | Accession No. 1117540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부동산 이슈는 일부 전문가나 자산가의 문제를 넘어섰다. 소유한 자산의 대부분을 부동산에 묶어 두고 있는 대한민국의 특수 상황은 '부동산'을 전 국민의 관심사로, 필수 상식으로 만들었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향후 3년간 부동산 시장에 대처할 든든한 기본기는 물론, 그것을 넘어 자산을 증식할 수 있는 필살기를 가르쳐주고 있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과연 일부 전문가들이 예견한 대로 '부동산 절벽이 임박한 것인가'이다. 이 책은 글로벌 경제상황과 경기흐름, 대한민국의 부채 상황, 전세시장의 변화 메커니즘, 수익형 부동산과 토지시장의 재편 방향 등 거시적 안목에서 그 타이밍과 대처방법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제까지의 많은 부동산 전망서들은 근시안적 단기 처방에 급급하거나 '이렇게 하라'는 일방적 지시사항을 담고 있다. 반면 이 책은 '왜 그럴 수밖에 없는가'에 대한 투자 공식을 알려줌으로써 급변하는 상황에 가변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저마다 다른 상황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부동산 이슈는 일부 전문가나 자산가의 문제를 넘어섰다. 소유한 자산의 대부분을 부동산에 묶어 두고 있는 대한민국의 특수 상황은 ‘부동산’을 전 국민의 관심사로, 필수 상식으로 만들었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향후 3년간 부동산 시장에 대처할 든든한 기본기는 물론, 그것을 넘어 자산을 증식할 수 있는 필살기를 가르쳐주고 있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과연 일부 전문가들이 예견한 대로 ‘부동산 절벽이 임박한 것인가’이다. 이 책은 글로벌 경제상황과 경기흐름, 대한민국의 부채 상황, 전세시장의 변화 메커니즘, 수익형 부동산과 토지시장의 재편 방향 등 거시적 안목에서 그 타이밍과 대처방법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제까지의 많은 부동산 전망서들은 근시안적 단기 처방에 급급하거나 ‘이렇게 하라’는 일방적 지시사항을 담고 있다. 반면 이 책은 ‘왜 그럴 수밖에 없는가’에 대한 투자 공식을 알려줌으로써 급변하는 상황에 가변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저마다 다른 상황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민 갈 수 없다면 이 책을 읽어라!
대한민국 땅에서 살려면 꼭 알아야 할 부동산 재편방향과 투자전략
“부동산시장에 대처할 “기본기”를 넘어
자산증식을 위한 “필살기”를 알려주다!”
대한민국은 지금 부동산 시장의 대전환기를 앞두고 있다.
가계부채는 폭발 직전이다.
오랫동안 대한민국 부동산을 이끌던 전세제도가 붕괴되고 있다.
신규 분양시장의 활황이라는 비정상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또 한 번의 외환위기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이라는 사람들조차도 어떤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실수요자라면 집을 사라, 부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라’가 고작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할 일은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어떤 상황이 벌어지는지 정확히 아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 책은 왜 이런 상황이 벌어지고 있고, 이것은 어떤 현상의 전조증상인지를 정확히 짚어준다.
모두가 알고 싶어 하는 3가지 질문에 답하다!
질문 하나, 우리는 지금 어디쯤에 와 있는가?
일부 전문가들은 오래 전부터 부동산 버블 붕괴를 예견하며 집을 사는 것은 바보짓이라고 했다. 하지만 곧 닥친다던 날벼락은 오지 않았다. 오히려 부동산이 살아나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일으킬 만큼 신규분양 시장이 활기를 띠기도 했다. 과연 우리는 곧 급전직하할 폭포의 코앞에 와 있는 것일까? 아니면 유유히 수영을 즐겨도 될 만큼 폭포는 먼 곳에 있는가? 아니면 폭포는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 걸까? 이 책 속에 우리의 현재 위치를 알려줄 지도가 있다.
질문 둘, 지금은 살 때인가 팔 때인가?
집 없는 설움을 말해서 무엇 하겠는가. 하지만 ‘설움’보다 무서운 것이 ‘불안’이다. 2년마다 득달같이 오르는 전셋값, 월세로 전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주인보다는 ‘이대로 있다가 집값이 오르면 어쩌나, 집을 샀다가 하우스푸어로 전락하면 어쩌나?’ 하는 딜레마가 더 괴롭다. 가계부채의 증가가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수익형 부동산의 재편 방향, 토지시장의 변화 트렌드를 알면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저절로 도출된다. 이 책은 ‘물고기’가 아닌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
질문 셋, 부자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부동산이 폭락한다고 모두 다 손해를 본다면 그래도 덜 억울하다. 하지만 세상일은 그렇지가 않다. 버는 사람들은 벌고,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부자’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그들이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은 세계경제의 종속변수다. 세계경제의 향배가, 내가 가진 부동산의 가치를 결정하는 세상에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은 생각보다 많고, 그 범위는 넓다. 부자들이 하는 것처럼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에게도 기회가 온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을 위한 교과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제문(지은이)
부동산의 ‘빠삭한 현장감’과 ‘거시적 통찰력’을 동시에 갖춘 국내 유일의 전문가다. ‘거시적 통찰력’은 국내는 물론 글로벌 거시경제 동향까지 섭렵, 그 방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경제 및 부동산 흐름을 정확히 읽어내는 탁월함에서 비롯된다. 국내 현장전문가 중 거시경제를 기반으로 부동산을 평가하는 ‘부동산 가치평가’ 능력은, 대학과 은행의 자문과 교육을 맡아왔을 정도로 전문가들도 단연 최고로 꼽는다. 건국대학교 부동산아카데미 경제연구소 부소장으로 토지전문가·수익형 부동산·경매 전문가 과정의 교수 및 전문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외환은행-부동산금융부 산학협력과정 교수 및 자문위원, 저축은행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도시재생사업 및 개발을 전공했으며,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박사과정을 거쳤다. 현재는 ‘창조도시경제연구소’, ‘2030자산포럼’ 대표로서 부동산 입지·적지 분석, 공장 및 창고개발, NPL 투자자문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네이버 블로그 ‘부동산특별시-잘사는 사람들’을 운영하며 방송활동도 겸하고 있다. 저서로는 《2016-2018 대한민국 부동산 대전망》 《토지투자 부동산공법》이 있다.
박철(지은이)
연세대학교에서 교육학과 법학을 전공하고,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건설개발과정을 수료했다. 부동산 투자, 법률, 정책분야를 집중 연구하여 부동산시장과 전망에 탁월한 감을 자랑하며, 풍부한 부동산 관련 인적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최대 부동산 실무교육기관인 ‘LBA경제연구소’ 전무이사와 ‘LBA네트웍스’ 대표이사를 역임하면서 LBA를 12,000여 명의 회원, 전국 15개 도시로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저서로는 《2016-2018 대한민국 부동산 대전망》이 있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광란과 거품의 부동산 시대를 닫으며 1장 뉴 노멀 시대! 무엇으로 부동산의 가치를 판단할 것인가 1 뉴 노멀 시대의 도래 2 금리는 생존의 기본수단이다 3 인구감소와 고령화 문제 4 정부 개발정책은 신뢰할 수 있는가 5 북한의 경제정책을 살펴라 2장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국가들 1 글로벌 경제 속의 한국 2 기준금리의 인상요인, 미국 3 양적완화가 지속되는 유로(EURO) 4 TPP 타결로 재도약을 꿈꾸는 일본 5 뉴노멀로 전환한 중국 6 글로벌 경제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3장 가계부채의 지속적 증가, 이대로 좋은가 1 저성장의 늪에 빠진 한국 2 증가하는 국가채무와 공공부문 부채 3 기업부채를 들여다보자 4 가계부채와 자영업자부채의 문제점 5 가계만이라도 디레버리징(deleveraging)하라! 4장 주택구입이 과연 최선의 결정인가 1 한국 주택시장의 기형구조 2 대한민국의 도시화는 어디까지 왔나 3 한국 주택시장의 현주소 4 주택 공급 및 거래동향을 살펴본다 5 향후 3년, 주택경기의 흐름은 어디로 가는가 5장 집 없는 설움과 딜레마, 차라리 집을 살까 1 도대체 전세가격은 언제까지 상승할까? 2 실종된 서민주택정책 3 주택경기가 나빠지면 요동치는 전세가격 4 정작 서민은 실종된 전세자금대출제도 5 2016~2018년 주택 임대차시장의 흐름 6장 상가, 오피스텔 등 수익형부동산의 미래 1 투자용 부동산의 미래 2 상업용 건축물의 일반 현황 3 오피스텔의 현재와 미래 4 고시원의 현재와 미래 5 향후 3년 대세는 수익형부동산 7장 토지규제의 변화와 향후 토지시장 분석 1 토지 투자를 고민하라 2 성장관리방안에 주목하라 3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이해 4 지구단위계획구역에 대한 이해 5 비도시지역 공장건축규제완화에 대한 이해 6 입지규제최소구역지정에 대한 이해 7 철도 르네상스 시대의 도래를 주목하라 8 2016~2018년 토지시장 투자 포인트 8장 『2016~2018』 한국의 부동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1 불안의 시대가 오고 있다 2 해결된 것 없는 불확실성의 시대 3 불편한 진실, 가계부채에 주목하라 4 청년창업은 결코 청년실업의 대안이 될 수 없다 5 고령화 사회로 가는 늙은 대한민국 6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대한민국 7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희망열차는 어디에? 8 2016~2018년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