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중국인 관광객 소비패턴 분석 및 산업연계 활용방안

중국인 관광객 소비패턴 분석 및 산업연계 활용방안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문수, 저 고대영, 저 구진경, 저 최재영, 저
서명 / 저자사항
중국인 관광객 소비패턴 분석 및 산업연계 활용방안 / 박문수 [외]
발행사항
세종 :   산업연구원,   2014  
형태사항
213 p. : 삽화, 도표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4-712
ISBN
9788959927302
일반주기
공저자: 고대영, 구진경, 최재영  
부록: 1. 산업연관표상 관광산업 분류, 2. 산업연관표상의 산업분류 및 통합, 3. 국적별 관광객 1인당 세부 지출액(개별여행객 기준)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94-19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68448
005 20160330110337
007 ta
008 160329s2014 sjkad b 000c kor
020 ▼a 9788959927302 ▼g 93320
035 ▼a (KERIS)BIB000013740650
040 ▼a 248003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38.4791 ▼2 23
085 ▼a 338.4791 ▼2 DDCK
090 ▼a 338.4791 ▼b 2014z1
245 0 0 ▼a 중국인 관광객 소비패턴 분석 및 산업연계 활용방안 / ▼d 박문수 [외]
246 1 1 ▼a Analysis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hinese tourists in Korea its applicability to related industries
260 ▼a 세종 : ▼b 산업연구원, ▼c 2014
300 ▼a 213 p. : ▼b 삽화, 도표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14-712
500 ▼a 공저자: 고대영, 구진경, 최재영
500 ▼a 부록: 1. 산업연관표상 관광산업 분류, 2. 산업연관표상의 산업분류 및 통합, 3. 국적별 관광객 1인당 세부 지출액(개별여행객 기준) 외
504 ▼a 참고문헌: p. 194-196
700 1 ▼a 박문수, ▼e
700 1 ▼a 고대영, ▼e
700 1 ▼a 구진경, ▼e
700 1 ▼a 최재영, ▼e
830 0 ▼a 연구보고서 (산업연구원) ; ▼v 2014-712
900 1 0 ▼a Park, Moon-soo,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4791 2014z1 등록번호 1117540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머리말 2


요약 12


제1장 서론 33


1. 연구 배경 33


2. 연구 목적 및 구성 36


제2장 중국인 해외관광 현황 및 파급효과 분석 39


1. 중국인 아웃바운드 관광 현황 39


2. 방한 중국인 관광객 현황 43


(1) 방한 중국인 관광객 변화 추이 43


(2) 방한 중국인 관광객 관광 특성 45


3. 방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따른 경제파급효과 50


(1) 분석 개요 50


(2) 주요 방한 외국인 관광객 지출 추계 및 적용 51


(3) 파급효과 분석 결과 57


제3장 방한 중국인 관광객 소비실태 61


1. 연구 개요 61


(1) 연구 배경 61


(2) 분석 자료 62


2. 중국인 관광객 소비지출 실태 분석 66


(1) 방한 중국인 관광객 여행행태 66


(2) 방한 중국인 관광객 제품 구매행태 69


(3) 방한 중국인 관광객 뷰티 관련 서비스 구매행태 77


(4)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순수관광 관련 상품(관광지) 구매행태 80


3. 소결 82


제4장 방한 중국인 관광객 항목별 소비패턴 분석 85


1. 중국인 관광객 대분류 소비항목별 지출구조 분석 86


(1) 분석 개요 86


(2) MDCEV(Multiple Discrete-Continuous Extreme Value) 모형 87


(3) 실증 모형설정 및 기본 통계량 93


(4) 추정 결과 100


(5) 소결 103


2. 중국인 관광객 세부 소비품목별 수요 추정 106


(1) 분석 개요 106


(2) 분석 모형 107


(3) 기본 통계량 및 실증 모형 설정 109


(4) 추정 결과 116


(5) 소결 120


3.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소비행태 분석 125


(1) 분석 개요 125


(2) 세대별 중국인 관광객 소비행태 127


(3) 세대별 중국인 관광객 소비 의사결정과정 분석 131


(4) 분석 결과 135


(5) 소결 150


제5장 산업연계 활용방안 154


1. 연구결과 요약 154


2. 중국인 관광객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159


(1) 기본적인 관광수용태세 개선 161


(2) 중국인 선호 제품 및 서비스 구매여건 개선 163


(3) 세대별 맞춤형 관광상품 개발 165


(4) 융ㆍ복합형 관광상품 개발 167


3. 산업연계를 위한 정책방안 170


(1) 시장 관리(market management) 전략 171


(2) 시장 창출(market management) 전략 176


(3) 시장 확대(market management) 전략 182


참고문헌 190


[부록] 193


Abstract 205


판권기 209


〈표 2-1〉 중국 관광객의 국가별 사치품 구매비중 추이 41


〈표 2-2〉 중국 관광객 쇼핑 선호 경로 41


〈표 2-3〉 연령별 방한 중국인 관광객 현황 45


〈표 2-4〉 방한 중국 관광객 관광 특성 47


〈표 2-5〉 외국인 관광객 입국 및 지출 추이 52


〈표 2-6〉 외국인 관광객 국적별 1인당 지출 경비 53


〈표 2-7〉 관광객 국적별 총지출 추계 54


〈표 2-8〉 산업연관표 관광산업 세부부문과 세부항목별 지출경비 연계 55


〈표 2-9〉 상위 3개국 외국인 세부 관광지출 56


〈표 2-10〉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경제파급효과 종합 59


〈표 2-11〉 2013년 방한 중국인 관광객 지출에 따른 업종별 파급효과 60


〈표 3-1〉 응답자 수 및 조건 64


〈표 3-2〉 응답자 도시 및 성별/연령 특성 64


〈표 3-3〉 응답자 학력 및 직업 특성 65


〈표 3-4〉 응답자 가계소득별 특성 66


〈표 3-5〉 집단별 방문 선호 국가 67


〈표 3-6〉 집단별 여행목적지 선택 요인 68


〈표 3-7〉 유형별 해외여행 경비 68


〈표 3-8〉 응답자군 방문 목적 69


〈표 3-9〉 한국 기방문자들 항목별 소비 비중 70


〈표 3-10〉 집단별 구매 경험, 구매 의향 상품 비중 71


〈표 3-11〉 한국 기방문자 vs. 방문예정자 품목별 소비(예정)금액 74


〈표 3-12〉 품목별 주요 구매경로 76


〈표 3-13〉 중국인 관광객 뷰티 관련 서비스 구매의도 77


〈표 3-14〉 한국 기방문자 vs. 방문예정자 뷰티 관련 서비스 품목별 지출(예정)금액 78


〈표 3-15〉 한국 기방문자 vs. 방문예정자 품목별 소비(예정)금액 81


〈표 4-1〉 중국인 관광객 소비패턴 분석 86


〈표 4-2〉 MDCEV 모형 변수들에 대한 기본통계량 95


〈표 4-3〉 MDCEV 모형 변수 값별 방한 중국관광객 빈도 수 및 비중 97


〈표 4-4〉 분석 모형 내 변수 구성 99


〈표 4-5〉 MDCEV 모형 추정결과 102


〈표 4-6〉 주요 소비항목 분석결과 종합 105


〈표 4-7〉 분석대상 세부 소비품목 선정 107


〈표 4-8〉 정렬 프로빗 모형(Ordered Probit) 내 주요 변수들에 대한 통계요약 110


〈표 4-9〉 기초통계량 빈도 수 및 비중 112


〈표 4-10〉 정렬 프로빗(Ordered Probit) 추정결과 117


〈표 4-11〉 각 세부품목별 유의한 결정요인 및 영향 121


〈표 4-12〉 시기별 소비 품목의 변화 128


〈표 4-13〉 세대별 소비 성향의 변화 129


〈표 4-14〉 중국인 세대별 관광패턴 130


〈표 4-15〉 연령별 방한 중국인 입국자 수 변화 131


〈표 4-16〉 응답자 특성 134


〈표 4-17〉 측정변수 135


〈표 4-18〉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제품 인지빈도 검증 결과 137


〈표 4-19〉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서비스 인지빈도 검증 결과 137


〈표 4-20〉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관광상품 인지빈도 검증 결과 138


〈표 4-21〉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제품 지식 비교 결과 139


〈표 4-22〉 바링허우 대비 타 세대의 화장품 지식 정도 비교 검증 140


〈표 4-23〉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서비스 지식 비교 결과 141


〈표 4-24〉 우링허우 대비 타 세대의 힐링서비스 지식 정도 비교 검증 142


〈표 4-25〉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관광상품 지식 비교 결과 143


〈표 4-26〉 쥬링허우 대비 타 세대의 일반오락 지식 정도 비교 검증 144


〈표 4-27〉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상품 태도 비교 결과 145


〈표 4-28〉 바링허우 대비 타 세대의 화장품 태도 비교 검증 146


〈표 4-29〉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서비스 태도 비교 결과 146


〈표 4-30〉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관광상품 지식 비교 결과 147


〈표 4-31〉 바링허우 대비 타 세대의 사행산업 태도 비교 검증 148


〈표 4-32〉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제품 구매의도 분석결과 요약 149


〈표 4-33〉 중국인 관광객 세대별 주요 관광상품 구매의도 분석결과 요약 150


〈표 5-1〉 방한 중국인 관광시장 SWOT 분석 162


〈표 5-2〉 주요 3개국 한국 관광 만족도 163


〈표 5-3〉 중국인 관광객 산업연계를 위한 전략 및 방안 171


〈표 5-4〉 외래 관광객 및 관광호텔 현황 172


〈그림 1-1〉 연구내용 구성 38


〈그림 2-1〉 중국인 해외 관광객 추이 40


〈그림 2-2〉 중국 면세시장 매출액 추이 42


〈그림 2-3〉 중국 관광객 품목별 구매 비중 비교 43


〈그림 2-4〉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 및 점유율 추이 44


〈그림 2-5〉 방한 중국인 관광객 성별 비중 추이 44


〈그림 2-6〉 방한 중국인 관광객 세부 항목별 지출액(2013) 49


〈그림 3-1〉 한국 기방문자 vs. 방문예정자 구매 품목 비교 73


〈그림 3-2〉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제품별 재구매 및 추천 의도 75


〈그림 3-3〉 방한 중국인 관광객 한국 뷰티 관련 서비스 재구매 및 추천의도 79


〈그림 3-4〉 여가/관광별 인지, 친숙, 선호, 구매 비율(한국 기방문자) 80


〈그림 3-5〉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순수관광 관련 상품 재구매 및 추천의향(한국 기방문자) 82


〈그림 4-1〉 MDCEV 모형 내 무차별곡선상 최적소비량 89


〈그림 4-2〉 세대별 중국인 관광객 소비행태 분석결과 151


〈그림 5-1〉 중국인 관광객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160


〈그림 5-2〉 융합관광의 정책영역 168


〈그림 5-3〉 중국인 관광객 산업연계 활용 방안 170


〈그림 5-4〉 공산품 이력추적 과정 186


〈그림 5-5〉 중국의 유통채널 현황 189


〈부표 1〉 산업연관표상 관광산업 분류 194


〈부표 2〉 산업연관표상의 산업분류 및 통합 195


〈부표 3〉 국적별 관광객 1인당 세부 지출액(개별여행객 기준) 196


〈부표 4〉 국적별 관광객 1인당 세부 지출액 구성비(개별여행객 기준) 198


〈부표 5〉 상위 3개국 외국인 관광객 생산유발효과 추이 199


〈부표 6〉 상위 3개국 외국인 관광객 부가가치유발효과 추이 200


〈부표 7〉 상위 3개국 외국인 관광객 취업유발효과 추이 202


〈부표 8〉 상위 3개국 외국인 관광객 고용유발효과 추이 203

관련분야 신착자료

Potter, Robert B. (2023)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