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실행연구

교육과정 실행연구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cKernan, James 이광우, 역 정영근, 역 민용성, 역 이근호, 역 박창언, 역 홍원표, 역 허창수, 역 김사훈, 역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실행연구 / James McKernan 저 ; 이광우 [외]공역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5  
형태사항
367 p. ; 26 cm
원표제
Curriculum action research (2nd ed.)
ISBN
9788925409795
일반주기
공역자: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박창언, 홍원표, 허창수, 김사훈  
서지주기
참고문헌(p. 342-361)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Curriculum planning --Research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68398
005 20160328102029
007 ta
008 160325s2015 ggk b 001c kor
020 ▼a 9788925409795 ▼g 93370
035 ▼a (KERIS)BIB000013906215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001/072 ▼2 23
085 ▼a 375.001 ▼2 DDCK
090 ▼a 375.001 ▼b 2015z2
100 1 ▼a McKernan, James
245 1 0 ▼a 교육과정 실행연구 / ▼d James McKernan 저 ; ▼e 이광우 [외]공역
246 1 9 ▼a Curriculum action research ▼g (2nd ed.)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5
300 ▼a 367 p. ; ▼c 26 cm
500 ▼a 공역자: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박창언, 홍원표, 허창수, 김사훈
504 ▼a 참고문헌(p. 342-361)과 색인수록
650 0 ▼a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650 0 ▼a Curriculum planning ▼x Research
700 1 ▼a 이광우, ▼e▼0 AUTH(211009)80113
700 1 ▼a 정영근, ▼e▼0 AUTH(211009)17946
700 1 ▼a 민용성, ▼e▼0 AUTH(211009)66872
700 1 ▼a 이근호, ▼e▼0 AUTH(211009)118361
700 1 ▼a 박창언, ▼e▼0 AUTH(211009)102994
700 1 ▼a 홍원표, ▼e▼0 AUTH(211009)78823
700 1 ▼a 허창수, ▼e▼0 AUTH(211009)129649
700 1 ▼a 김사훈, ▼e▼0 AUTH(211009)10508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15z2 등록번호 1117540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실제적인 교육과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연구 경험으로부터 학습하기 위하여 자신이 처한 환경 속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실천가들을 위한 안내서. 후속적인 읽기를 안내할 참고문헌과 함께, 실행연구의 본질과 역동에 대해 폭넓은 범위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실천가들을 지원할 이론과 절차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자로 하여금 연구자 및 자기 반성적인 실천가가 되도록 하는 요청이 거듭 제기되어 왔다. 점증하는 국제적인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실행연구를 ‘실제로 행하는’ 일관된 방법론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이 책은 주로 실제적인 교육과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연구 경험으로부터 학습하기 위하여 자신이 처한 환경 속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실천가들을 위한 안내서로 저술되었다. 나는 후속적인 읽기를 안내할 참고문헌과 함께, 실행연구의 본질과 역동에 대해 폭넓은 범위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실천가들을 지원할 이론과 절차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어떤 것이 이해되기 위해서는 실험과 깊은 성찰이 요청된다. 연구를 산출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은 단연코 어떤 전문직종이든 간에 중요한 것이 된다. 나는 실행 연구가 교사들의 현직 교육에 있어서 탁월한 수단이 될 것이라는 점을 확신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감사의 말 / 3 
서문 / 4 
서론 / 6 

Part 1. 교육과정 실행연구-맥락_ 15 
Chapter 1 실행연구-역사적, 철학적 배경_ 17 
실행연구 / 18 
실행연구의 역사적 및 철학적 기초 / 23 
실행연구의 유형과 모델 / 33 
맺음말 / 56 

Chapter 2 연구자와 전문가로서의 교사_ 59 
연구 거점으로서의 학교: 새로운 전문성을 지향하여 / 61 
연구자로서의 교사: 탐구의 자율성 / 63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저해 요인 / 70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 / 71 
반성적 전문가로서의 교사 / 72 
교사의 전문성 촉진 / 74 
전문직으로서의 교육과 교수 / 76 
실행연구와 반성적 교사 전문가 / 81 
맺음말 / 83 


Part 2. 실행연구 방법론_ 85 
Chapter 3 관찰 및 내러티브 연구 방법_ 87 
내러티브 자료 / 88 
참여관찰 / 92 
학교와 교실 관찰: 비망록 / 95 
일화 기록 / 97 
실행연구 사례의 개요 보고서 / 102 
분석 메모 / 104 
사례연구 / 106 
사례 기록/사례 자료 / 115 
일기/일지 / 117 
대화일지 / 124 
행동 흐름 연대기: 그림자 연구의 표본 / 135 
사진 / 138 
비디오테이프 녹화 / 141 
오디오/테이프-슬라이드 기록 / 145 
체크리스트 / 147 
개인 실행 기록 / 151 
상호작용 분석 프로토콜 / 156 
평가척도 / 160 

Chapter 4 비관찰적, 설문, 자기보고 기술들_ 165 
태도 척도 / 165 
질문지 / 168 
면담 / 172 
핵심 정보 제공자 면담 기법 / 175 
투영 기법 / 179 
삶/경력 역사 기법 / 181 
물리적 흔적 / 185 

Chapter 5 담화 분석과 문제해결 연구 방법들_ 189 
딜레마 분석법 / 189 
내용 분석법 / 194 
문헌분석 방법 / 198 
사회관계망 분석 / 202 
에피소드 분석법 / 210 
실행 탐구 세미나 / 214 
브레인스토밍 / 217 
집단 토의 / 221 
문제 조사 / 227 
소집단: 심의 조사 위원회 / 232 
중립적 의장 / 236 

Chapter 6 비판-성찰적 그리고 평가적 연구 방법들_ 245 
삼각검증법 / 245 
사각검증법 / 249 
동료 평가 / 254 
강의 피드백 / 258 
수업 프로파일 / 258 
학생의 강좌 및 교사 평가 / 261 
교육과정 비평 / 266 
담화 평가 / 270 
비판적 실험 / 277 

Part 3. 실행연구의 분석과 쟁점들_ 285 
Chapter 7 실행연구 자료 분석_ 287 
탐구 주기 / 287 
시작하기 / 290 
자료 분석의 단계 / 290 
자료 분석 수행: 지침 사항 / 292 
맺는말 / 298 

Chapter 8 비판적 공동체 형성: 실행연구의 네트워크와 보급 및 윤리_ 301 
협력적 네트워크 / 302 
비판적 담론 공동체 지향 / 306 
보급: 서면보고서 / 310 
윤리적 쟁점과 실행연구 / 317 

Chapter 9 실행연구 교육 동향_ 319 
실행연구의 ‘납치’ / 320 
실행연구 교육의 국제적 선도 사례 / 321 
아일랜드 사례 / 321 
미국 사례 / 324 
호주 사례 / 329 
영국 사례 / 331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쟁점들 / 333 
교육 실행연구 우수 센터(영국) / 335 

맺음말 / 336 
에필로그 / 339 
참고문헌 / 34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