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65832 | |
005 | 20230214105149 | |
007 | ta | |
008 | 160318s2016 ggkd b 000c kor | |
020 | ▼a 9791155656037 ▼g 9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44002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38.4791 ▼2 23 |
085 | ▼a 338.4791 ▼2 DDCK | |
090 | ▼a 338.4791 ▼b 2016z3 | |
110 | ▼a 한국문화관광연구원 ▼0 AUTH(211009)57699 | |
245 | 1 0 | ▼a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 전략 연구 / ▼d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음 |
260 | ▼a 양평군 : ▼b 생각쉼표 : ▼b 휴먼컬처아리랑, ▼c 2016 | |
300 | ▼a xvii, 148 p. : ▼b 도표 ; ▼c 22 cm | |
500 | ▼a 연구책임: 권태일 | |
500 | ▼a 연구참여: 남은주 | |
500 | ▼a 부록: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를 위한 요인별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 |
504 | ▼a 참고문헌: p. 133-135 | |
700 | 1 | ▼a 권태일, ▼e 연구 |
700 | 1 | ▼a 남은주, ▼e 연구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8.4791 2016z3 | Accession No. 1513296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5 3. 연구 수행절차 6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8 1. 연구 범위 8 2. 연구 방법 8 제3절 연구 기대효과 10 제2장 중저가 관광호텔 개념 정립 13 제1절 중저가 관광호텔 개념 및 분류 15 1. 중저가 관광호텔 기? 개념 15 2. 중저가 관광호텔 개념 및 유형 제안 19 3. 중저가 관광호텔에 대한 개념 및 분류 제안 29 제2절 중저가 관광호텔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선행연구 검토 34 1. 중저가 관광호텔의 문제점 관련 연구 34 2.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 방안 관련 연구 38 3. 본 연구의 차별성 44 제3장 중저가 관광호텔 현황 파악 47 제1절 중저가 관광호텔 공급 현황 49 1. 관광호텔 공급 현황 49 2. 관광호텔 운영 현황 51 제2절 중저가 관광호텔 수요차원 현황 62 1. 외래관광객 수요 현황 62 2. 내국인 관광객 수요 현황 67 제3절 가격대별X국가별 수요공급 매칭 73 제4장 중저가 관광호텔 현장조사 79 제1절 중저가 관광호텔 현장조사 81 1. 조사 개요 및 주요 내용 81 2. 조사 결과 83 제2절 중저가 관광호텔 AHP분석 88 1. 분석목적 88 2. 분석관정 88 3. 분석결과 92 제5장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 방안 95 제1절 중저가 관광호텔의 문제점 파악 97 1. 선행연구 검토 97 2. 중저가 관광호텔 관련 주요 문제점 101 제2절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 방안 109 1.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를 위한 기반 정비 109 2. 수도권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 방안(외래관광객 이용중심) 111 3. 비수도권 중저가 관광호텔 활성화 방안(내국인 관광객 이용 중심) 120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25 제1절 결론 127 제2절 시사점 130 참고문헌 133 ABSTRACT 136 부록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