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 교육과정 개발 : 이론과 실제 (Loan 6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Richards, Jack C. 강승혜, 역 공민정, 역 김정은, 역 민주희, 역 채미나, 역
Title Statement
언어 교육과정 개발 : 이론과 실제 / Jack C. Richards 지음 ; 강승혜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15  
Physical Medium
xiii, 354 p. : 삽화 ; 25 cm
Varied Title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ISBN
9788968172199
General Note
공역자: 공민정, 김정은, 민주희, 채미나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Language and languages --Study and teaching. Curriculum planning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64901
005 20160315172729
007 ta
008 160314s2015 ulka b 001c kor
020 ▼a 9788968172199 ▼g 93370
035 ▼a (KERIS)BIB000013745011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8/.0071 ▼2 23
085 ▼a 418.0071 ▼2 DDCK
090 ▼a 418.0071 ▼b 2015z3
100 1 ▼a Richards, Jack C. ▼0 AUTH(211009)44862
245 1 0 ▼a 언어 교육과정 개발 : ▼b 이론과 실제 / ▼d Jack C. Richards 지음 ; ▼e 강승혜 [외]옮김
246 1 9 ▼a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5
300 ▼a xiii, 354 p. : ▼b 삽화 ; ▼c 25 cm
500 ▼a 공역자: 공민정, 김정은, 민주희, 채미나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Study and teaching.
650 0 ▼a Curriculum planning
700 1 ▼a 강승혜, ▼e▼0 AUTH(211009)73122
700 1 ▼a 공민정, ▼e▼0 AUTH(211009)27631
700 1 ▼a 김정은, ▼e▼0 AUTH(211009)135701
700 1 ▼a 민주희, ▼e▼0 AUTH(211009)105747
700 1 ▼a 채미나, ▼e▼0 AUTH(211009)135702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071 2015z3 Accession No. 11175297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8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071 2015z3 Accession No. 11175437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언어 교육과정 개발 접근법을 조사하고, 개발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며 언어 프로그램 및 언어 교수 자료를 평가한다. 이 책의 목적은 이러한 검토와 재고의 과정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사들은 언어 코스를 계획하고, 교수 자료를 준비하고, 수업하는 데 매우 많은 힘을 들인다. 이러한 활동의 기저에는 어떤 교육적 원리가 있는가? 이 원리들은 어떤 가치를 반영하는가? 또 누구의 이익을 충족시키는가? 우리가 사용한 원리들을 살피고 그 원리로부터 결과적으로 얻은 실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교육적 실제가 향상될 수 있는가?
이 책의 목적은 이러한 검토와 재고의 과정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 교육과정 개발 접근법을 조사하고, 개발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며 언어 프로그램 및 언어 교수 자료를 평가한다. 언어 교육과정 개발은 다음의 질문들을 다루며 이 질문들은 이 책의 틀 frameworks을 제공한다.

- 언어 프로그램 내용을 결정하는 데 어떤 절차가 사용될 수 있는가?
- 학습자 요구는 무엇인가?
- 학습자 요구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 언어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고려해야 할 요인은 무엇인가?
- 교수 teaching에 있어 목적 aims과 목표 objectives의 특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Jack C. Richards(지은이)

(http://www.professorjackrichards.com/) 뉴질랜드 Victoria University 석사(영어학) 캐나다 Laval University 박사(응용언어학) Hawaii University, The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등을 거쳐 현재 Auckland University 명예교수 주요 저서로 ≪Error Analysis≫(Longman, 1974),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공저,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Language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공저, Routledge 2014), ≪Key Issues in Language Teaching≫(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등이 있다.

강승혜(옮긴이)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육학 박사 연세대학교 교육학 석사 연세대학교 교육학 학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수 전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교수 <저서> 한국문화 교육론, 2010, 형설출판사 (공저) Fast & Fun Korean for Short-Term Learners 1, 2009, 다락원 Fast & Fun Korean for Short-Term Learners 2, 2009, 다락원 Passport to Korean Culture, 2009, 박이정 (공저) ‘한국어평가론’ 한국어교육 총서3, 국립국어원ㆍ한국어세계화재단, 2006, 태학사 (공저)

공민정(옮긴이)

현) 가천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 TOPIK 팀장 가천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 객원교수 [역서] • 언어 교육과정 개발: 이론과 실제 (공역, 2015)

김정은(옮긴이)

현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강사 전 홍익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강사

민주희(옮긴이)

현 한양대학교 국제어학원 한국어 강사 전 모로코 모하메드 5세 대학 한국어 강사 전 아랍 에미리트 두바이 한국인 토요학교 교사

채미나(옮긴이)

현 성균관대학교 성균어학원 강사 전 일본 시마네현립대학교 종합정책학부 한국어 강사 전 경기대학교 사회교육원 한국어 강사 전 그리스도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과정 강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 v 
저자 서문 / viii 

1. 언어 교육과정 개발의 기원 The origins of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1.1 역사적 배경 Historical background	2 
1.2 어휘 선정 Vocabulary selection	5 
1.3 문법 선정과 등급화 Grammar selection and gradation	10 
1.4 초기 교수요목 설계 접근법의 가정Assumptions underlying early approaches to syllabus design	16 
1.5 토론 질문 및 활동 18 
참고문헌	26 

2. 교수요목 설계부터 교육과정 개발까지From syllabus design to curriculum development 
2.1 새 방법론에 대한 탐색 The quest for new methods	29 
2.2 유럽에서의 외국어에 대한 요구의 변화 Changing needs for foreign language in Europe	31 
2.3 특수 목적을 위한 영어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33 
2.4 ESP에서의 요구 분석 Needs analysis in ESP	38 
2.5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42 
2.6 언어 교수에서 교육과정 접근의 출현Emergence of a curriculum approach in language teaching	45 
2.7 토론 질문 및 활동	50 
참고문헌	55 

3. 요구 분석 Needs Analysis 
3.1 요구 분석의 목적 The purposes of needs analysis	59 
3.2 요구란 무엇인가 What are needs	62 
3.3 요구 분석 사용자 The users of needs analysis	63 
3.4 대상 모집단 The target population	65 
3.5 요구 분석의 시행 Administering the needs analysis	66 
3.6 요구 분석의 방법 Procedures for conducting needs analysis	67 
3.7 요구 분석의 설계 Designing the needs analysis	71 
3.8 수집된 정보의 활용 Making use of the information obtained	72 
3.9 토론 질문 및 활동	76 
참고문헌	100 

4. 상황 분석 Situation Analysis 
4.1 사회적 요인 Societal factors	105 
4.2 프로젝트 요인 Project factors	108 
4.3 기관 요인 Institutional factors	110 
4.4 교사 요인 Teacher factors	112 
4.5 학습자 요인 Learner factors	115 
4.6 채택 요인 Adoption factors	118 
4.7 상황 분석에서 밝혀진 요인 정리Profiling the factors identified in the situation analysis	120 
4.8 토론 질문 및 활동	121 
참고문헌	125 

5. 목적 설정과 학습 결과 Planning goals and learning outcomes 
5.1 교육과정 이데올로기 The ideology of the curriculum	128 
5.2 교육과정 결과 진술 Stating curriculum outcomes	135 
5.3 비언어적 결과와 과정 목표 Nonlanguage outcomes and process objectives	150 
5.4 토론 질문 및 활동	155 
참고문헌	162 

6. 코스 계획과 교수요목 설계 Course planning and syllabus design 
6.1 코스의 이론적 근거 The course rationale	166 
6.2 입문 단계와 최종 단계의 기술 Describing the entry and exit level	168 
6.3 코스 내용 선정 Choosing course content	169 
6.4 범위와 배열 결정 Determining the scope and sequence	171 
6.5 코스 구조 계획 Planning the course structure	174 
6.6 범위와 배열 계획 Preparing the scope and sequence plan	192 
6.7 토론 질문 및 활동	192 
참고문헌	222 

7. 효과적인 교수 제공 Providing for effective teaching 
7.1 교육기관 The institution	224 
7.2 교사 The teachers	235 
7.3 교수 과정 The teaching process	242 
7.4 학습 과정 The learning process	251 
7.5 토론 질문 및 활동	254 
참고문헌	280 

8 수업 자료의 역할과 설계 The role and design of instructional materials 
8.1 실제 자료와 창작 자료 Authentic versus created materials 283 
8.2 교재 Textbooks	285 
8.3 교재 평가 Evaluating textbooks	287 
8.4 교재 개작 Adapting textbooks	292 
8.5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 자료 준비 Preparing materials for a program	293 
8.6 자료 집필 프로젝트 관리 Managing a materials writing project	300 
8.7 자료 사용에 대한 검토 Monitering the use of materials	303 
8.8 토론 질문 및 활동	304 
참고문헌	319 

9. 평가에 대한 접근 Approaches to evaluation 
9.1 평가의 목적 Purposes of Evaluation	323 
9.2 프로그램 평가의 쟁점 Issues in program evaluation	330 
9.3 평가 시행 절차 Procedures used in conducting evaluations	336 
9.4 토론 질문 및 활동	342 
참고문헌	347 

찾아보기 / 34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