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64872 | |
005 | 20160315141156 | |
007 | ta | |
008 | 160314s2014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3546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489580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47023 ▼d 211009 | |
082 | 0 4 | ▼a 379.11 ▼2 23 |
085 | ▼a 379.11 ▼2 DDCK | |
090 | ▼a 379.11 ▼b 2014 | |
245 | 0 0 | ▼a 교육재정학 = ▼x Education finance / ▼d 반상진 [외]공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 |
300 | ▼a 395 p. : ▼b 도표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김민희, 김병주, 나민주, 송기창, 우명숙, 주철안, 천세영, 최준렬, 하봉운, 한유경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반상진, ▼e 저 ▼0 AUTH(211009)66254 |
700 | 1 | ▼a 김민희, ▼e 저 ▼0 AUTH(211009)97031 |
700 | 1 | ▼a 김병주, ▼e 저 ▼0 AUTH(211009)139736 |
700 | 1 | ▼a 나민주, ▼e 저 ▼0 AUTH(211009)51547 |
700 | 1 | ▼a 송기창, ▼e 저 ▼0 AUTH(211009)73713 |
700 | 1 | ▼a 우명숙, ▼e 저 ▼0 AUTH(211009)114752 |
700 | 1 | ▼a 주철안, ▼e 저 ▼0 AUTH(211009)90503 |
700 | 1 | ▼a 천세영, ▼e 저 ▼0 AUTH(211009)140089 |
700 | 1 | ▼a 최준렬, ▼e 저 ▼0 AUTH(211009)29696 |
700 | 1 | ▼a 하봉운, ▼e 저 ▼0 AUTH(211009)72990 |
700 | 1 | ▼a 한유경, ▼e 저 ▼0 AUTH(211009)119209 |
900 | 1 0 | ▼a Ban, Sang-jin, ▼e 저 |
900 | 1 0 | ▼a Kim, Min-hee, ▼e 저 |
900 | 1 0 | ▼a Kim, Byoung-joo, ▼e 저 |
900 | 1 0 | ▼a Rah, Min-joo, ▼e 저 |
900 | 1 0 | ▼a Song, Ki-chang, ▼e 저 |
900 | 1 0 | ▼a Woo, Myung-suk, ▼e 저 |
900 | 1 0 | ▼a Joo, Chul-an, ▼e 저 |
900 | 1 0 | ▼a Chun, Se-yeoung, ▼e 저 |
900 | 1 0 | ▼a Choi, Joon-yul, ▼e 저 |
900 | 1 0 | ▼a Ha, Bong-woon, ▼e 저 |
900 | 1 0 | ▼a Han, You-kyung,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1 2014 | Accession No. 1117529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재정경제학회가 창립된 지 24년이 되었다. 그동안 교육재정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교육재정 및 경제학에 관한 저서와 논문이 다량으로 생산되었다. 학문의 발전과 국가발전의 초석이 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할 수 있다. 교육재정 및 경제 현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새로운 이론과 방법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를 활용하려는 노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여야 학문이 심오하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원들이 뜻을 모아 교육재정학 교재를 발간하였다. 교육재정학의 학문적 발전을 기하고 후학들이 연구하고 참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반상진(지은이)
전 한국교육개발원장,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 동국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육행정, 교육재정, 교육경제학, 교육정치학, 교육정책을 강의하고 있고, 최근 주요 연구주제는 대학 구조 개혁, 대학 재정지원 사업 관련 고등교육 정책, 대학 등록금 정책, 대전환시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교육재정 정책 등이다. (사)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소장, 한국교육정치학회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장, 한국교육행정학회장을 역임했으며, UNESCO 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 교육부 대학구조개혁위원 등으로 일했다. 그리고 제18대 한국교육개발원장을 역임했다. 『동향과 전망』에 기재한 「대학 재정과 대학 등록금 무엇이 문제인가?」는 국내 학술논문 이용에서 상위를 차지한 바 있다. 저서로 『대학평가의 정치학』(2018), 『교육재정학』(2014),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 인력정책 10대 이슈』(2014),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2012),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2011), 『고등교육경제학』(2008)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 교육재정학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교육재정학의 학문적 기반 제2장 교육재정의 정책적 가치 제3장 교육예산제도 제4장 교육재정의 성과 분석 제2부 교육재정정책으 역사적 변천 제5장 교육재정 확보정책의 변천 제6장 교육재정 배분정책의 변천 제3부 교육재정의 확보와 배분 제7장 교육재정의 구조와 현황 제8장 지방교육재정교부금제도와 현황 제9장 교육세제도와 현황 제10장 지방자치단체의 전입금제도와 현황 제11장 교육경비보조금제도와 현황 제12장 학교회계제도와 운영 제13장 대학재정 구조와 현황 제4부 교육재정의 성과평가와 전망 제14장 교육재정의 성과평가체제 및 분석 제15장 미래사회와 교 육재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