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개정판]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개정판]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고창수, 1961-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 고창수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지식과교양,   2013  
형태사항
230 p. ; 23 cm
ISBN
9788967640354
서지주기
참고문헌(p. 213-21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64376
005 20160420152548
007 ta
008 160307s2013 ulk b 001c kor
020 ▼a 9788967640354 ▼g 03710
035 ▼a (KERIS)BIB000013328972
040 ▼a 241008 ▼c 211006 ▼d 241008 ▼d 244002
082 0 4 ▼a 495.709 ▼2 23
085 ▼a 497.09 ▼2 DDCK
090 ▼a 497.09 ▼b 2013z1
100 1 ▼a 고창수, ▼d 1961-
245 1 0 ▼a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 ▼d 고창수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지식과교양, ▼c 2013
300 ▼a 230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13-216)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09 2013z1 등록번호 1513289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는 한국어의 역사문화를 통해 한국어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발전을 겪었으며, 그 안에서 언어생활에 관련된 문화들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간단히 설명하려고 했다. 한국어의 역사문화를 두 가지 방면에서 관찰하려고 했다. 하나는 보편언어 개념으로부터 개별 언어인 한국어가 발전해 온 경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 하나는 보편 문자사에서 한글로 이어지는 발전 양상과 그 근대적 성격 및 현대한국어 생활에 미친 영향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의 역사문화를 통해 한국어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발전을 겪었으며, 그 안에서 언어생활에 관련된 문화들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간단히 설명하려고 했다.
특히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한국어의 역사문화를 두 가지 방면에서 관찰하려고 했다. 하나는 보편언어 개념으로부터 개별 언어인 한국어가 발전해 온 경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 하나는 보편 문자사에서 한글로 이어지는 발전 양상과 그 근대적 성격 및 현대한국어 생활에 미친 영향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는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고창수(지은이)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 현 한성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교수 저서: 한국어와 인공지능, 한국어의 접사 체계, 자실연산문법이론,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신라향가의 표기 원리, 인공지능 대화시스템연구(공저),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공저)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5 

1장 언어란 무엇인가??15 
1. 인간 언어의 특성 /17 
2. 언어학과 언어문화 /27 

2장 한국어의 기원과 형성?35 
1. 한국어의 기원 /37 
2. 한국어의 형성 /47 
3. 한국어사의 시대구분 /52 
4. 삼국 언어의 어휘와 문법 /58 

3장 고대인의 문자?67 
1. 향찰 표기의 특징 /69 
2. 서사 향찰 /76 
3. 시가 향찰 /82 
4. 역독 향찰 /88 

4장 훈민정음의 창제?93 
1.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 /95 
2. 훈민정음 예의와 해례의 내용 /104 
3. 세종의 근대정신과 훈민정음의 과학성 /118 

5장 중세한국어?131 
1. 중세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징 /133 
2. 중세한국어의 문법적 특징 /139 

6장 근대한국어?145 
1. 근대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징 /147 
2. 근대한국어의 문법적 특징 /149 

7장 현대한국어?153 
1. 개화기의 한국어 연구 /155 
2. 한국어사전의 편찬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 /159 
3. 현대한국어의 발전 /165 

8장 한글 전용론?169 
1. 한글 전용론과 국한문 혼용론 /171 
2. 한글 기계화 운동 /176 
3. IT 기술과 한국어 /178 

9장 글로벌 시대의 언어 환경?181 
1. 동아시아에서의 영어의 위치 /183 
2. 동아시아 글로벌 커뮤니티의 필요성 /187 

10장 디지털 미디어 사회에서의 한국어?191 
1.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한국어 /193 
2. 한국어공학의 현황과 미래 /206 

참고문헌 /213 
찾아보기 /2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