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Ⅰ. 들어가는 말 6
1.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방법 14
Ⅱ. 성과주의의 논리 15
1. 성과주의의 개념 15
2. 은행권 성과주의 확산 배경 19
(1) 금융세계화와 성과주의 : 국제적인 배경 19
(2) 자본ㆍ국가의 은행 부문 구조조정 24
3. 성과주의 전개와 그 특징 31
(1) 성과주의 전개 31
(2) 우리나라 은행권 성과주의 전개 과정의 특징 37
Ⅲ. 은행권 성과주의 현황 44
1. 성과주의를 강제하는 경영평가 제도 44
(1) 금융감독기구의 경영평가 제도 44
(2) 개별 은행의 평가제도 활용 : A 은행의 사례 50
2. 은행권 성과주의 현황 58
(1) 성과급제 도입 58
(2) 성과주의 지향의 고객 분절화 마케팅 60
(3) 성과주의를 뒷받침하는 조직 구조와 작업장 체계의 변화 62
3. 은행권 저성과자 관리 64
(1) 자본의 ''저성과자 관리'' 전략 64
(2) C 은행의 ''저성과자 관리'' 73
Ⅳ. 은행권 성과주의 문제점과 대응 방향 78
1. 문제점 78
(1) 글로벌 추세에 역행 79
(2) 사회적인 비용 : 금융 공공성 파괴에 따른 위기 경향 81
(3) 개별 조직 단위에서 나타나는 성과주의의 역기능 93
(4) 평가와 관련된 기술적인 한계 100
2. 노동조합의 대응 방향 101
(1) 1997년 위기 이후 성과주의 확산에 대한 노조의 대응 경험 101
(2) 성과주의 확산 정책에 대한 노조의 향후 대응 방향 105
Ⅴ. 맺음말 117
참고문헌 120
〈표 1〉 연공주의와 성과주의 16
〈표 2〉 미국 주요 금융 업종별 보유자산 추이 22
〈표 3〉 미국의 금융제도 26
〈표 4〉 미국 비금융기업의 부채 구성(1977~1989) 28
〈표 5〉 후지쯔사의 성과주의 도입 현황 36
〈표 6〉 국내 기업의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도입 추이 37
〈표 7〉 K 금융공기업 성과평가 및 성과급 구축 사례 39
〈표 8〉 경영평가 항목(일반은행 본점에 대한 평가(CAMEL-R) 항목) 48
〈표 9〉 KPI 개발 원칙 53
〈표 10〉 KPI 도출 프로세스 53
〈표 11〉 A 은행 영업점 KPI 배점 현황 55
〈표 12〉 B 은행 영업점 KPI 배점 현황(2015) 56
〈표 13〉 은행 평균 KPI 구성(2014년 상반기 기준, 은행 평균 비중) 57
〈표 14〉 일반은행의 점포당 인원수 변동 추이 64
〈표 15〉 GE 잭 웰치의 잘라내기 방식 인력관리 정책 66
〈표 16〉 미국 기업의 다양한 해고 회피와 충격 완화 노력 69
〈표 17〉 후선발령운영준칙(SA)과 성과향상지원계획(PIP) 비교 74
〈표 18〉 C 은행의 징계 절차 76
〈표 19〉 미국 Z 은행의 실적에 따른 성과급 88
〈표 20〉 보수지급 체계에 따른 대출 승인률 등 비교 89
〈표 21〉 영국 은행산업의 불완전 판매 관련 비용 지출 92
〈표 22〉 S 은행의 KPI 관련 단체 협약(2012년 말 기준) 104
〈표 23〉 E 은행 2014년 상반기 노사협의회 노동조합 요구안 111
〈표 24〉 H 은행 비전 마련 TFT 노동조합 요구안 112
〈그림 1〉 균형 성과표의 네 가지 관점 34
〈그림 2〉 경영환경과 인사관리 변화 방향 38
〈그림 3〉 Human Capital Portfolio 67
〈그림 4〉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양상 72
〈그림 5〉 2008년 위기 직전의 리스크 테이킹 인센티브 84
〈그림 6〉 성과급/고정급 수령자의 평균 대출 금액 변화 90
〈그림 7〉 성과급/고정급 수령자의 대출 승인률 변화 90
2권
Ⅰ. 들어가는 말 4
Ⅱ. 현행 주주가치 우선의 기업 지배구조 7
1. 주주가치 우선의 영미식 기업 지배구조 7
(1) 기업 지배구조의 유형 7
(2) 영미식 기업 지배구조 변화의 특징 11
2. 'OECD 기업 지배구조 원칙'의 정치경제학 14
3. 우리나라의 기업 지배구조 변화 23
Ⅲ. 우리나라 은행 지배구조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7
1. 은행 지배구조의 문제점 27
2. 정부의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 논의 29
(1)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 논의와 법안 마련 29
(2)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의 한계 33
3. 은행 지배구조 개선 방향 34
Ⅳ. 맺음 말 38
참고문헌 39
〈표 1〉 기업 지배구조의 결정 요인 14
〈표 2〉 1997년 위기 직후 기업 지배구조 개편 내용 25
〈표 3〉 사외이사 제도 도입 경과 29
〈표 4〉 정부의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안 30
〈표 5〉 상장회사 임원 보수 공시에 관한 외국 사례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