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63427 | |
005 | 20160302190120 | |
007 | ta | |
008 | 160226s2016 ulka b AR 001c kor | |
020 | ▼a 9791158901523 ▼g 93600 | |
035 | ▼a (KERIS)BIB000013996006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700.105 ▼2 23 |
085 | ▼a 700.105 ▼2 DDCK | |
090 | ▼a 700.105 ▼b 2016 | |
100 | 1 | ▼a 박숙영 ▼g 朴淑英, ▼d 1958- ▼0 AUTH(211009)115118 |
245 | 1 0 | ▼a 디지털미디어와 예술 / ▼d 박숙영 지음 |
246 | 1 1 | ▼a Digital media and art |
260 | ▼a 서울 : ▼b 이화출판 : ▼b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c 2016 | |
300 | ▼a 285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73-281)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105 2016 | 등록번호 1117522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00.105 2016 | 등록번호 1513294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105 2016 | 등록번호 1117522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00.105 2016 | 등록번호 1513294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디지털 환경이 가져온 예술의 변화에 주목하고 디지털 환경과 예술의 관계성을 통해 현대 예술의 한 측면을 이해한다는 목적 아래 쓰여졌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미디어의 특성과 디지털미디어가 지배하는 문화 양상을 개괄하고, 키네틱 아트, 키네틱-라이트 아트, 비디오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등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예술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술적 요소가 어떻게 새로운 미학적 표현을 낳았는지 살펴보고 있다.
아울러 오늘날 새로운 표현 도구로 등장한 디지털 기술이 사진, 영화,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등 대중적인 영상 매체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디지털 영상이 기존의 영상과 미학적·인식론적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밝히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디지털미디어를 대표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 시간적·공간적 제약 없이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사람들과 즉각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미디어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변화시켰으며 새로운 사회적·문화적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디지털 시대를 열었다. 예술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디지털 시대에 사는 사람들은 미술관이나 공연장에 가지 않고도 스마트폰 등으로 미술 작품과 공연을 감상할 수 있으며,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그림을 그리거나 영상을 만들고 그 결과물을 온라인상에 발표할 수도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디지털미디어는 순수 예술과 대중문화의 경계뿐만 아니라 예술가와 비전문가의 경계도 허물면서 예술 작품의 제작 및 수용 방식 등 예술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은 디지털 환경이 가져온 예술의 변화에 주목하고 디지털 환경과 예술의 관계성을 통해 현대 예술의 한 측면을 이해한다는 목적 아래 쓰여졌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미디어의 특성과 디지털미디어가 지배하는 문화 양상을 개괄하고, 키네틱 아트, 키네틱-라이트 아트, 비디오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등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예술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술적 요소가 어떻게 새로운 미학적 표현을 낳았는지 살펴보고 있다. 아울러 오늘날 새로운 표현 도구로 등장한 디지털 기술이 사진, 영화,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등 대중적인 영상 매체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디지털 영상이 기존의 영상과 미학적·인식론적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밝히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디지털 시대에 등장한 새로운 형식의 예술인 가상현실 아트, 넷 아트, 모바일 아트, 텔레마틱 아트, 커뮤니케이션 아트 등의 공통점을 작품과 관람자 사이에 일어나는 ‘인터랙션(interaction)’으로 파악하고 이들을 인터랙티브 아트라는 호칭으로 아우른다. 그리고 인터랙티브 아트가 미술의 지배적인 속성인 재현의 원리에서 벗어나 작품을 단순히 시각적으로만 감상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신체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특성이 있음을 기술하고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네트워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자체가 작품이 되는 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인터랙티브 아트와 기존의 예술의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더불어 모더니즘의 엄격한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 오늘날 다양한 작품들에서 실행되고 있는 예술과 과학의 통합, 음악과 미술, 문학의 통합, 순수 예술과 대중문화의 통합 등이 기술적· 미학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어떤 문화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는지 설명함으로써 디지털 시대 예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속성을 자세히 밝히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숙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파리 제8대학교에서 조형예술학 D.E.A.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소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프랑스 인체조각: 로댕·부르델·마이욜·클로델』, 『현대미술 속으로』(공저), 역서로는 『부드러움과 그 형태들』, 『전자시대의 예술』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주요 논문으로는 「부드러운 마티에르의 형태화에 의한 조각의 변모」, 「‘사실주의’구축주의 조각에 나타난 시간성」 등이 있다. [한국조각 다시 보기: 그 진폭과 진동], [기억과 상상, 그 공간의 흔적] 외 다수의 전시를 기획했다.

목차
머리말 1장 디지털미디어와 디지털 시대 1.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뉴미디어, 멀티미디어, 디지털미디어 |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 디지털 정보 2.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따른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 |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3. 디지털 시대의 문화 양상 미디어 융합 | 매체 의존적 삶 | 가상 공동체 형성 | 이미지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4. 디지털 시대의 예술 디지털 시대의 예술의 변화 양상 | 디지털 시대의 예술 체계의 변화 2장 미술과 과학의 만남 1. 미술과 테크놀로지 기계 미학의 등장 | 예술과 자연과 테크놀로지 | 과학의 인간화 2. 테크놀로지 아트의 출발, 러시아 구축주의 과학적 사고의 구축 | 시공 연속체의 구축 3. 키네틱 아트 ‘예술 기계’ | 눈으로 듣고 귀로 보기 | 오브제에서 과정으로 4. 키네틱-라이트 아트 공간의 가시화 | 오브제에서 환경으로 5. 비디오 아트 반(反)TV | 시간 예술로서의 비디오 | 심리 매체로서의 비디오 | 인터미디어로서의 비디오 3장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예술 1. 인터랙티브 아트의 등장 2. 인터랙티브 아트의 동인: 인터랙션 미술에서 관람자의 참여 | 인터랙션 3. 인터랙티브 아트의 존재 방식 제시(presentation)의 과정 | 시각적 촉각 공간 |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4장 디지털 시대의 영상 매체 1.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 2. 사진: 영상 예술의 출발 카메라에 의한 인간적 재현 | 지표로서의 예술 |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 | 디지털 사진 3. 영화: 움직이는 사진 종합 예술로서의 영화 | 영화의 구성 원리 | 프레임의 예술 | 영화 관람 행위 | 디지털 영화 4. 뮤직비디오: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뮤직비디오와 저항 문화 | N세대와 뮤직비디오 | 서사의 해체와 주체의 탈중심화 5. 애니메이션: 움직이는 그림 애니메이션의 기원과 전개 | 애니메이션의 제작 및 표현 원리 | 상상력의 미학 | 매체에 따른 애니메이션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