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61164 | |
005 | 20160215183032 | |
007 | ta | |
008 | 160215s2014 ggka 001c kor | |
020 | ▼a 9788960776289 ▼g 94000 | |
020 | 1 | ▼a 9788960772106 (세트) |
035 | ▼a (KERIS)BIB000013615915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6.312 ▼2 23 |
085 | ▼a 006.312 ▼2 DDCK | |
090 | ▼a 006.312 ▼b 2014z7 | |
100 | 1 | ▼a Bumgarner, Vincent |
245 | 1 0 | ▼a Splunk 구현 기술 : ▼b 보안, 관제, 모니터링을 위한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 솔루션 / ▼d 빈센트 범가너 지음 ; ▼e 최창배 옮김 |
246 | 1 9 | ▼a Implementing Splunk : ▼b big data reporting and development for operational intelligence |
260 | ▼a 의왕 : ▼b 에이콘, ▼c 2014 | |
300 | ▼a 524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acorn+PACKT technical book |
500 | ▼a 색인수록 | |
630 | 0 0 | ▼a Splunk |
650 | 0 | ▼a Data mining ▼x Computer programs |
650 | 0 | ▼a Electronic data processing |
650 | 0 | ▼a Big data |
650 | 0 | ▼a Community experience distilled |
700 | 1 | ▼a 최창배, ▼e 역 |
900 | 1 0 | ▼a 범가너, 빈센트,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6.312 2014z7 | Accession No. 1212355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스플렁크(Splunk)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책이다. 처음에는 스플렁크를 간단히 설치하고 검색하는 것으로 시작해, 자신만의 대시보드를 만드는 방법과 스플렁크 확장을 위한 다양한 설정 방법, 그리고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포 방법을 설명한다.
책은 로그 분석과 인덱싱을 위해 스플렁크로 구현하기를 원하거나 이미 스플렁크로 구현한 독자를 대상으로 한다. 데이터의 분석, 성능 모니터링 등을 위한 분석가나 IT 스태프들도 이 책을 통해 실제 예제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또한, IT 인프라와 사업에서의 인프라의 상태, 성능, 실행 이력 등을 요약하는 리포트와 대시보드를 만들고자 하는 독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요약 ★
스플렁크(Splunk)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책이다. 처음에는 스플렁크를 간단히 설치하고 검색하는 것으로 시작해, 자신만의 대시보드를 만드는 방법과 스플렁크 확장을 위한 다양한 설정 방법, 그리고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포 방법을 설명한다.
이 모든 과정은 다양한 예제를 통해 간단히 따라 해보고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책 한 권으로 스플렁크의 모든 것을 알 수는 없겠지만, 스플렁크로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실한 가이드를 얻을 수 있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성능 좋고 간결한 검색을 작성하는 방법
■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에서 필드를 생성하는 방법
■ 룩업과 명령어를 통해 데이터를 풍부하게 만드는 방법
■ 데이터를 유용하고 보기 좋은 리포트로 변경하는 방법
■ 전문적인 화면과 정보를 제공하는 대시보드를 만드는 방법
■ 앱을 만들고 검색과 대시보드를 공유하는 방법
■ 어떤 환경에서든 한 개에서 천 개까지의 인스턴스의 설정을 관리하는 방법
■ 기업용 시스템에 통합하는 방법
■ 스크립트와 향상된 설정을 통해 스플렁크를 확장하는 방법
★ 이 책의 대상 독자 ★
이 책은 로그 분석과 인덱싱을 위해 스플렁크로 구현하기를 원하거나 이미 스플렁크로 구현한 독자를 대상으로 한다. 데이터의 분석, 성능 모니터링 등을 위한 분석가나 IT 스태프들도 이 책을 통해 실제 예제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또한, IT 인프라와 사업에서의 인프라의 상태, 성능, 실행 이력 등을 요약하는 리포트와 대시보드를 만들고자 하는 독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이 책의 구성 ★
1장. ‘스플렁크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살펴본다.
2장. ‘검색의 이해’에서는 검색 언어의 기초를 설명하고 효율적인 질의를 만들기 위해 특별히 주의해야 할 부분을 알아본다.
3장. ‘테이블, 차트, 필드’에서는 보고서를 위해 필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자신만의 필드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한다.
4장. ‘단순 XML 대시보드’에서는 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 스플렁크 웹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폼을 만드는 방법과 더 효율적인
대시보드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본다.
5장. ‘고급 검색 예제’에서는 스플렁크의 강력한 검색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예제를 통해 살펴본다.
6장. ‘검색의 확장’에서는 이벤트를 분류하고 강력한 방법으로 검색 결과에 따라 행동하는 스플렁크의 수많은 기능을 설명한다.
7장. ‘앱 작업’에서는 앱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 인기 있는 몇 가지 앱에 대해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아보며 자신만의 앱을 만들어 본다.
8장. ‘고급 대시보드’는 고급 XML 대시보드의 개념을 설명하고 단순 XML에서 고급 XML 대시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9장. ‘요약 인덱스와 CSV 파일’에서는 요약 인덱스의 개념을 소개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본다. 또한, CSV 파일이 어떻게 흥미로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10장. ‘스플렁크 설정’은 스플렁크에서 일반적인 설정의 구조와 의미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정을 합치는 과정을 매우 자세히 설명한다.
11장. ‘향상된 배포’는 데이터 입력과 시스템 로그, 설정 관리와 확장하는 방법을 비롯해 여러 머신에 스플렁크를 배포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12장. ‘스플렁크 확장’에서는 데이터 입력, 외부 쿼리, 렌더링, 사용자 정의 명령, 사용자 정의 액션을 통해 스플렁크를 확장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코드를 이용해 설명한다.
★ 저자 서문 ★
스플렁크는 머신 데이터의 더미에서 유용한 데이터를 찾아내고 만들어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책은 스플렁크가 이와 같은 작업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명확히 알려준다. 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고 변형하며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으며, 규모에 관계없이 스플렁크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도 익힐 수 있다.
이 책을 처음부터 읽거나 당장 알고 싶은 곳부터 펼쳐 읽게 되더라도 누구든 원하는 작업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스플렁크를 처음 사용하는 독자나 이미 경험이 있는 독자 모두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다양한 예제와 단계별 설명을 제공한다. 이 책을 통해 스플렁크가 제공하는 모든 장점을 취해서 머신 데이터에서 많은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 옮긴이의 말 ★
빅데이터의 유행과 함께 매우 많은 기술이 소개되었고, 이에 맞는 솔루션들이 등장했다. 하지만, 빅데이터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하며, 이를 결과로 리포팅하는 하나의 사이클을 완성하기 위해 수많은 기술과 솔루션을 검토한다. 또한, 이를 서로 엮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스스로 지치기도 한다.
스플렁크는 이런 빅데이터 구현을 위한 전체 싸이클을 한 번에 제공해줄 수 있는 솔루션이다. 스플렁크는 보안/관제/모니터링을 위해 여러 서버에 있는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머신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실시간 인덱싱을 한다. 그리고 내장된 검색 엔진을 통해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해 이를 풍부한 인터페이스로 표현해준다.
스플렁크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플렁크 베이스(https://apps.splunk.com)에서 공유하는
다양한 앱을 통해 힌트를 많이 얻을 수 있다(스플렁크 베이스에서 앱을 다운로드할 때는 자신이 사용하는 스플렁크 버전과 호환이 되는지를 반드시 확인하자).
이 책은 스플렁크 4 버전을 기준으로 한다. 4 버전이 나온 이후 스플렁크는 하둡 지원을 비롯해 클라우드 환경 지원, 모바일 앱으로 사용가능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또한, 내부적으로 인덱스 속도 개선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명령어가 추가되었으며, UI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스플렁크의 향상된 자세한 기능은 스플렁크 도큐먼트의 릴리즈 사이트
http://docs.splunk.com/Documentation/Splunk/
이 책은 기본적인 검색에서 고급 기능까지 스플렁크의 전체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스플렁크 4.0 이후 버전에서도 쉽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 책의 예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빈센트 범가너(지은이)
20년 동안 많은 플랫폼에서 다양한 언어로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해왔다. 2007년 처음 스플렁크(Splunk)를 접한 이후, 몇 년깐 스플렁크가 진화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스스로도 스플렁크로 작업하면서, 많은 기업과 함께 일하며 각 기업당 수십 명가량의 인원을 교육에 참여시켜 확장성과 유연성이 높은 스플렁크 제품을 도입하고 확장하며 관리할 수 있도록 이끌어왔다. 그와 함께 일한 회사들마다 적어도 한 명 이상은 스플렁크 관련 서적을 집필하기를 요청해왔기에, 자신의 노력이 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최창배(옮긴이)
전공 분야는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다. 현재는 EMC에서 하둡과 MPP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빅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고, 이전에는 국내 공용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에 참여했다. 현재는 기업 내 PaaS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Table of Contents
1장 스플렁크 인터페이스 __스플렁크 로그인 __홈 앱 __상단 바 __검색 앱 ____데이터 생성 ____요약 화면 ____검색 ____액션 ____타임라인 ____필드 선택기 ____검색 결과 __시간 선택기 __필드 선택기 __관리자 __정리 2장 검색의 이해 __효율적으로 검색 __불린과 그룹 연산자 __검색 변경을 위한 클릭 ____이벤트 분할 ____필드 위젯 ____시간 __검색에서 필드 사용 ____필드 선택기 사용 __와일드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 ____단어의 끝에만 와일드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____와일드카드는 마지막에 검사된다 ____필드 안에서 와일드카드를 보완한다 __시간에 관한 모든 것 ____스플렁크가 시간을 파싱하는 방법 ____스플렁크가 시간을 저장하는 방법 ____스플렁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 ____시간대가 결정되는 방법과 문제 ____시간에 대해 검색하는 다른 방법 ____검색에서 인라인 시간 설정 _____indextime과 _time __더 빠른 검색 수행 __결과 공유 __재사용을 위한 검색 저장 __검색에서 경고 생성 ____스케쥴 ____액션 __정리 3장 테이블, 차트 및 필드 __파이프 기호 __필드 값 순의를 위한 top 명령 ____top의 출력제어 __값을 종합하는 stats 명령 __데이터 전환을 위한 차트 __시간 경과에 따라 값의 변화를 보여주는 타임차트 ____타임차트 옵션 __필드 작업 ____정규 표현식 입문 ____필드 생성 명령 ____로그레벨 추출 __정리 4장 단순 XML 대시보드 __대시보드의 목적 __대시보드 생성 마법사 __대시보드에서 스케쥴 생성 __XML 직접 편집 __UI 예제 앱 __폼 생성 ____대시보드에서 폼 생성 ____하나의 폼에서 여러 패널 사용 ____검색 결과 후 처리 ____후 처리의 제한 __정리 5장 고급 검색 예제 __느슨하게 연결된 이벤트를 찾기 위한 서브 검색 ____서브 검색 ____서브 검색 절차 ____중첩 서브 검색 __트랜잭션 사용 ____세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트랜잭션 ____트랜잭션 통계 계산 ____트랙잭션과 서브 검색 __동시성 결정 ____동시성을 가진 트랜잭션 ____서버 부하를 추정하기 위한 동시성 ____by 절로 동시성 계산 __시간 간격에 따른 이벤트 계산 ____타임차트 사용 ____분당 평균 요청 수 계단 ____분당/시간당 평균 이벤트 수 계산 __top 재구성 __정리 6장 검색의 확장 __검색을 간단하게 하는 태그 __결과를 정형화하기 위한 이벤트 타입 __데이터를 풍부하게 하는 룩업 ____룩업 테이블 파일 정의 ____룩업 정의 ____자동 룩업 정의 ____룩업 트러블슈팅 __로직 재사용을 위한 매크로 ____간단한 매크로 생성 ____아규먼트를 가진 매크로 생성 ____매크로 생성 시 eval 사용 __워크플로우 액션 생성 ____이벤트에서 값을 사용하여 새로운 검색 실행 ____외부 사이트 링크 ____필드 문맥을 보여주는 워크플로우 액션 __외부 명령 사용 ____XML에서 값 추출 ____구글 결과 생성 __정리 7장 앱 작업 __내부에 포함된 앱 __앱 설치 ____스플렁크베이스에서 앱 설치 ____파일로 앱 설치 __첫 번째 앱 제작 __내비게이션 편집 __앱의 외형 수정 ____실행 아이콘 수정 ____사용자 정의 CSS 사용 ____사용자 설정 HTML __객체 권한 ____권한에 의한 내비게이션의 영향 ____권한에 의한 다른 객체의 영향 ____권한 문제 수정 __앱 디렉토리 구조 __스플렁크베이스에 앱 추가 ____앱 준비 ____앱 패키지 ____앱 업로드 __정리 8장 고급 대시보드 __고급 XML을 사용하는 이유 __고급 XML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__개발 과정 __고급 XML 구조 __단순 XML을 고급 XML로 변환 __모듈 로직 흐름 __레이아웃 패널의 이해 ____패널 위치 __질의의 재사용 __인텐션 사용 ____stringreplace ____addterm __사용자 정의 드릴다운 생성 ____사용자 정의 질의를 이용한 드릴다운 ____다른 패널로 드릴다운 ____HiddenPostProcess를 사용해 여러 패널로 드릴다운 __써드 파티 애드온 ____구글 맵 ____사이드뷰 유틸 __정리 9장 요약 인덱스와 CSV 파일 __요약 인덱스의 이해 ____요약 인덱스 생성 __요약 인덱스가 필요한 경우 __요약 인덱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__저장된 검색에서 요약 인덱스 적용 __질의에서 요약 인덱스 이벤트 사용 __sistats와 sitop, sitimechart __요약 질의에서 지연시간의 영향 __요약 데이터를 채우는 방법과 시기 ____fill_summary_index.py ____사용자 정의 요약 인덱스를 생성하는 collect __요약 인덱스 크기 감소 ____그룹 항목을 정의하기 위한 eval과 rex ____와일드카드를 가진 룩업 ____그룹 결과에 이벤트 타입 사용 __긴 시간 프레임을 위한 탑(top) 계산 __요약 인덱스에 원시 이벤트 저장 __전이 데이터를 CSV 파일로 저장 ____드랍다운 미리 지정 ____하루 동안 실행 계산 생성 __정리 10장 스플렁크 설정 __스플렁크 설정 파일 위치 __스플렁크 설정 파일의 구조 __설정 통합 ____통합 순서 ____설정 통합 로직 ____btool 사용 __스플렁크 .conf 파일의 개요 ____props.conf ____inputs.conf ____transforms.conf ____fields.conf ____outputs.conf ____indexes.conf ____authorize.conf ____savedsearches.conf ____times.conf ____commands.conf ____web.conf __사용자 인터페이스 리소스 ____뷰와 내비게이션 ____앱서버 리소스 ____메타데이터 __정리 11장 향상된 배포 __설치 계획 __스플렁크 인스턴스 타입 ____스플렁크 전달자 ____스플렁크 인덱서 ____스플렁크 검색 __공통 데이터 소스 ____서버 로그 모니터링 ____공유 드라이브에서 로그 모니터링 ____배치에서 로그 사용 ____시스로그 이벤트 ____데이터베이스에 로그 사용 ____데이터 수집을 위한 스크립트 사용 __인덱서 규모 산정 __여분 계획 ____인덱서 로드 밸런싱 ____전형적인 서비스 중단의 이해 __다중 인덱스 작업 ____인덱스의 디렉토리 구조 ____더 많은 인덱스를 생성하는 경우 ____버킷의 생명주기 ____인덱스의 규모 산정 ____여러 개의 인덱스를 다루기 위한 볼륨 __스플렁크 바이너리 배포 ____타르를 이용한 배포 ____msiexec를 이용한 배포 ____기본 설정 추가 ____부팅 시 스플렁크를 시작하도록 설정 __설정을 구성하기 위한 앱 ____목적에 따라 설정 분리 __설정 분산 ____자신의 배포 시스템 사용 ____스플렁크 배포 서버 사용 __인증을 위해 LDAP 사용 __싱글 사인 온 사용 __로드 밸러서와 스플렁크 ____웹 ____splunktcp ____배포 서버 __여러 개의 검색 헤드 __정리 12장 스플렁크 확장 __데이터 수집을 위한 입력 스크립트 작성 __시간이 없는 스크립트 출력을 수집 ____하나의 이벤트로 스크립트 결과를 수집 ____장시간 실행되는 입력 스크립트 생성 __커맨드 라인에서 스플렁크 사용 __REST를 이용한 스플렁크 질의 __명령 작성 ____명령을 작성할 수 없는 경우 ____명령 작성이 필요한 경우 ____명령 설정 ____필드 추가 ____데이터 다루기 ____데이터 변형 ____데이터 생성 __데이터를 풍부하게 하기 위한 룩업 스크립트 작성 __이벤트 랜더러 작성 ____특정 필드 사용 ____필드 값에 기반한 필드 테이블 ____XML 소스 출력 __처리 결과에 경고 액션 스크립트 작성 __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