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60778 | |
005 | 20160215095727 | |
007 | ta | |
008 | 160211s2016 ulka 001c kor | |
020 | ▼a 9791186900024 ▼g 03430 | |
035 | ▼a (KERIS)BIB000013980072 | |
040 | ▼a 223009 ▼c 223009 ▼d 223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641.5 ▼2 23 |
085 | ▼a 641.5 ▼2 DDCK | |
090 | ▼a 641.5 ▼b 2016 | |
100 | 1 | ▼a Haumont, Raphaël ▼0 AUTH(211009)126063 |
245 | 1 0 | ▼a 부엌의 화학자 : ▼b 화학과 요리가 만나는 기발하고 맛있는 과학책 / ▼d 라파엘 오몽 지음 ; ▼e 김성희 옮김 |
246 | 1 9 | ▼a Un chimiste en cuisine |
246 | 3 9 | ▼a Chimiste en cuisine |
260 | ▼a 서울 : ▼b 더숲, ▼c 2016 | |
300 | ▼a 219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1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성희, ▼e 역 ▼0 AUTH(211009)11719 |
900 | 1 0 | ▼a 오몽, 라파엘,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41.5 2016 | Accession No. 11175115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41.5 2016 | Accession No. 1212378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641.5 2016 | Accession No. 15132950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41.5 2016 | Accession No. 11175115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41.5 2016 | Accession No. 1212378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641.5 2016 | Accession No. 15132950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혁신적인 물리화학자 라파엘 오몽과 분자요리의 대가 티에리 막스가 펼쳐내는 새로운 과학의 향연. 저자 라파엘 오몽은 혁신적인 실험을 바탕으로 '과학의 예술화'를 꿈꾸는 젊은 과학자다. 저자는 식재료와 음식물이 물질로서 어떤 물리학의 법칙을 따르는지, 그리고 요리라는 화학작용을 통해 얼마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음식을 만들 수 있는지 등을 쉽고 재미있게 소개한다.
요리를 통해 화학을 배우고, 화학을 통해 최고의 요리 레시피를 만날 수 있는 책이다. 예를 들어 요리에서 '익힌다'는 말은 왜 '응고시킨다'라는 말로 치환될 수 있는지, 맛과 향, 색과 질감을 살리며 재료를 익히는 방법은 무엇인지, 기존의 레시피를 정반대로 뒤집는 발상은 어떻게 실현되는지 등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독창적인 요리를 만들기 위한 과학적 지식과 조리 비법이 가득하다.
이밖에도 친환경 식품첨가물인 해조류 젤화제나 음식 캡슐화로 먹을 수 있는 포장재를 만들기 등의 자연친화적 과학 연구도 친절히 설명하고 있어, 요리에서 출발한 과학적 호기심이 한층 성숙해져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물리화학자만이 할 수 있는 과학 연구.실험에 연구 파트너인 티에리 막스의 최고급 레시피와 요리 실력이 더해져 시너지를 빚어내고 있다.
<르 몽드> <르 피가로> 등 프랑스 대표 언론들의 연이은 격찬!
혁신적인 물리화학자 라파엘 오몽과
분자요리의 대가 티에리 막스가 펼쳐내는 새로운 과학의 향연!
최근 방송 미디어 매체의 영향으로 요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워진 이때, 요리를 통해 화학을 배우고, 화학을 통해 최고의 요리 레시피를 만날 수 있는 책 『부엌의 화학자』가 출간되었다. 젊고 실험적인 물리화학자 라파엘 오몽과 분자요리의 대가 티에리 막스, 이 재능 넘치는 콤비의 만남은 부엌을 과학 실험실로, 조리도구를 실험도구로 바꾸며 혁신적인 예술을 탄생시켰다. 미식(美食)의 나라 프랑스에서 출간된 직후 <르 몽드> <르 피가로> <르 파리지엔> <르 크루아> <우에스트 프랑스>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대표 언론들의 연이은 격찬을 받은 이 책은 독특하면서도 유쾌한 내용으로 요리와 과학계에 새 열풍을 일으켰다.
저자 라파엘 오몽(Raphael Haumont)은 프랑스 파리11대학교의 재료물리학 연구 교수이자 프랑스 요리혁신센터(CFIC, Centre Franeais d’Innovation Culinaire)의 공동 설립자로, 혁신적인 실험을 바탕으로 ‘과학의 예술화’를 꿈꾸는 젊은 과학자다. 저자는 이 책에서 식재료와 음식물이 물질로서 어떤 물리학의 법칙을 따르는지, 그리고 ‘요리라는 화학작용’을 통해 얼마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음식을 만들 수 있는지 등을 쉽고 재미있게 소개한다. 예를 들어 요리에서 ‘익힌다’는 말은 왜 ‘응고시킨다’라는 말로 치환될 수 있는지, 맛과 향, 색과 질감을 살리며 재료를 익히는 방법은 무엇인지, 기존의 레시피를 정반대로 뒤집는 발상은 어떻게 실현되는지 등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독창적인 요리를 만들기 위한 과학적 지식과 조리 비법이 가득하다. 이밖에도 친환경 식품첨가물인 해조류 젤화제나 음식 캡슐화로 먹을 수 있는 포장재를 만들기 등의 자연친화적 과학 연구도 친절히 설명하고 있어, 요리에서 출발한 과학적 호기심이 한층 성숙해져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물리화학자만이 할 수 있는 과학 연구·실험에 연구 파트너인 티에리 막스의 최고급 레시피와 요리 실력이 더해져 시너지를 빚어내는 이 책은, 독자들에게 맛의 감각과 먹는 즐거움에 있어 새 지평을 열어주며 황홀한 요리과학의 세계를 선보일 것이다.
즐겁고 유쾌한 실험, 획기적이고 놀라운 음식들…
어렵게만 느껴지는 과학 개념의 맛있는 대중화를 이루어내다
어떻게 하면 삶은 달걀을 고무처럼 질기지 않고, 냄새도 안 나면서 딱 맛있게 익힐(응고시킬) 수 있을까? 스테이크를 겉은 바삭하게, 속은 부드럽게 익히면서 육즙을 잡아둘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채소는 어떻게 익혀야 할까?
맛있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랑과 정성이 담긴 손맛 외에도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 조리시간이나 조리온도, 압력, 식재료의 물질 구조 등 여러 가지 변수를 이해해야만 ‘재료의 성질을 최대한 존중한 정확한 요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연구를 통해 탄생하는 합리적인 요리’라고 말하며, 분자적 관점에서 완전히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고 이야기한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는 기포가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무스’, 지방질의 작은 액체 방울이 다른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에멀션’, 액체가 고체에 분산되어 있는 ‘젤’이라는 세 가지 상태를 요리의 기본구조로 정의하고, 이를 새롭게 조합해 전에는 없던 획기적이고 놀라운 음식들을 만들어낸다. 한 예로 젤화제와 온도를 이용해 에멀션 상태였던 프렌치드레싱을 젤 상태로 바꾼 ‘네모나게 잘라 먹는 프렌치드레싱’이 있는데, 이는 질감에 변화를 주어 전혀 다른 형태와 식감을 만든 것이다. 이밖에도 노른자 없이 달걀흰자만으로 만드는 마요네즈, 원심분리기로 얻은 무색 토마토즙, 정육면체 모양으로 튀긴 달걀 반숙, 씹어 먹는 큐브 형태의 칵테일, 진공냉각으로 만들어 초특급으로 가벼운 스펀지케이크, 민트 시럽 구슬 등 과학과 함께하는 놀라운 요리법이 가득하다. 읽는 것만으로도 군침을 돌게 하는 색다르면서도 신기한 음식 레시피를 읽다 보면, 그간 어려워서 멀리했던 물리화학적 지식에 한층 가까워진 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로운 인문학적 사고와 과학적 지식,
최상급 레시피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매력적인 교양서!
“분자요리는 간결함을 추구하는 동양의 미학을 닮았다고 볼 수 있다. 정확한 한 번의 붓질로 그린 그림이나 몇 개의 단어로만 이루어진 짧은 시처럼, 단순하지만 강렬한 힘을 지닌 그런 것 말이다.”
- <요리는 화학적인 예술이다> 중에서
지난 몇 년 사이에 뜨거워진 셰프 열풍과 함께 사람들은 셰프 그들만의 개성이 담긴 조리법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동시에 ‘분자요리’가 새로운 개념으로 화두에 오르기 시작했다. 이는 국내에는 알려진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해외에서는 수년 전부터 각광받아온 조리법으로, 프랑스의 대표적 레스토랑 가이드인 <미슐랭(Michelin)>에 별을 올렸거나 영국 음식전문지 <레스토랑 매거진(Restaurant magazine)>이 선정한 ‘세계 50대 베스트 레스토랑’의 상위권에 속한 음식점 중 상당수가 분자요리를 표방하고 있을 정도다.
하지만 사람들이 음식에 쓰이는 ‘화학적’이라는 말에 예민하게 반응하듯, 분자요리를 인위적이고 몸에 좋지 않은 것이라 여기는 시선 또한 여전하다. 저자는 이러한 편견에 대해 ‘요리는 그 자체로 이미 분자적’이라고 말한다. 달걀흰자를 익히는 일만 해도 단백질이라는 분자를 응고시키는 일이고, 파스타를 삶을 물에 소금을 넣는 행동에도 용매화나 분극, 전자구름 등의 복잡한 화학 현상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저자에 따르면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살리며 레시피의 본질로 돌아가’는 이 조리법으로 만든 음식은, 사람들의 선입견과 달리 건강에도 좋고 맛도 좋은 요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단순한 과학실험이나 조리법을 넘어 대중에게 ‘기술로 감동을 선사’하는 하나의 예술이 되기도 한다.
화학자인 저자와 셰프 티에리 막스는 과학 또는 요리라는 한 분야에 갇히지 않은 채 융합된 사고력을 바탕으로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 이들은 앞으로도 물질의 역학과 변화라는 개념에 근거해 ‘손님 앞에서 변화하는 요리’, 즉 처음 한 입과 마지막 한 입이 맛에서도 질감에서도 서로 차이가 나는 요리를 연구하며 분자요리라는 예술을 거듭 혁신시키는 것이 목표다.
화학자가 실험실이 아닌 부엌으로 들어가듯, 요리사가 부엌에서 과학 지식을 활용하듯 자유롭게 분야를 넘나들며 새로운 가치를 일깨우는 이 책은 융합적 가치를 추구하는 독자들에게 자유로운 인문학적 사고와 과학적 지식, 그리고 최상급 레시피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매력적인 교양서가 되어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라파엘 오몽(지은이)
프랑스 파리 제11대학교의 연구 교수인 물리화학자 라파엘 오몽은 늘 요리를 즐겨 왔다. 학생 시절부터 요리를 하며 화학의 영감을 느꼈던 저자는 세계적인 스타 쉐프 티에리 막스를 만나게 되며 본격적으로 부엌의 화학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2012년에는 공동으로 프랑스 요리혁신센터(CFIC)를 설립했다. 물질과 그 다양한 변신을 이해하고 실험해 요리 분야의 새로운 테크닉을 고안하고 맛의 혁신을 이끌고자 하는 그의 도전은 높이 평가 받아 2014년에는 프랑스 국립고등공예학교 졸업생 협회가 주는 펠릭스 이노바퇴르(혁신가) 상을 수상했다. 끊임없이 혁신하는 화학자인 저자는 대중에게 감동을 줄 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자극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티에리 막스(지은이)
세계적인 명성의 레스토랑 가이드 미슐랭에서 투 스타를 받은 셰프이자 프랑스 최고의 분자요리 대가인 티에리 막스는 젊은 시절 레바논에서 참전하던 중 특별한 경험을 했다. 몇몇 병사들이 간이 그릴을 만들어 고기와 빵을 굽자, 묵언의 휴전이 시작되었고 모두가 음식을 나눠 먹었던 것이다.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는 요리의 힘을 발견한 그는 요리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현재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의 총 주방장으로서 파리를 대표하는 레스토랑 두 곳을 진두지휘하는 그는 분자요리 기법을 통해 혁신적인 맛과 경험을 창조하고 소개하는 데 여념이 없다.
김성희(옮긴이)
부산대학교 불어교육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입니다. 주요 역서로는 《대단하고 유쾌한 과학 이야기》, 《우유의 역습》, 《철학자들의 식물도감》, 《부엌의 화학자》, 《인간의 유전자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분류와 진화》, 《죽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인체와 기계의 공생 어디까지 왔나》, 《물질은 어떻게 생명체가 되었을까》, 《예술의 기원》, 《최초의 도구》, 《아들아 넌 부자가 될 거야》, 《부모의 심리백과》, 《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학생이 되었다》, 《심플하게 산다》, 《방랑자 선언》, 《세상에는 없는 미술관》, 《착각을 부르는 미술관》, 《세상을 바꾼 작은 우연들》 등이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추천의 글_ 요리에 숨겨진 과학, 과학을 활용한 요리를 찾아·4 머리말_ 과학과 요리가 만나 새로운 혁신에 이르다·11 1 요리는 화학적인 예술이다 요리는 그 자체로 이미 분자적이다·21 분자요리는 기술로 감동을 주는 요리다·24 요리는 예술이자 과학이다·26 과학적 지식과 도구는 요리사의 창조력을 자극하는 힘·29 재료가 가진 흥미로운 성질이 요리로 발현되다·31 요리의 구조와 질감이 주는 맛의 감동·34 요리의 기본구조: 무스, 에멀션, 젤·37 요리의 변수들을 새롭게 조합하는 혁신·40 2 ‘익힌다’가 아닌 ‘응고시킨다’ 달걀을 완벽하게 삶기는 생각보다 어렵다·45 달걀은 왜 익고 어떻게 익는 걸까·50 상온에서도 달걀을 익힐 수 있을까·53 무엇이 달걀을 익게 만들까·59 달걀이 알코올이나 레몬즙을 만났을 때·66 조리시간과 조리온도는 서로 타협하는 관계·70 3 맛과 향, 색과 질감을 살리며 재료 익히기 겉은 바삭하게, 속은 부드럽게·77 고기의 질감은 응고와 가수분해에 달려 있다·80 스테이크의 생명인 육즙을 잡아두려면·84 고기 색깔의 변화는 미오글로빈의 변성 때문·86 채소의 속살을 들여다보면…·88 채소를 익힌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92 온도와 압력을 잘만 이용하면 조리법이 새로워진다·97 4 물리화학으로 진가를 발휘하는 요리 레시피 젤은 손발이 묶인 상태와 같다·103 빵의 속살이 품은 수분을 없애면…·110 음식의 바삭한 질감 만들기·112 부드러운 파이와 딱딱한 파이의 경계는·117 고체와 액체의 입자배치 이해하기·119 젤리에 열을 가하면 액체로 변하는 이유·121 과학적으로 증명된 할머니들의 요리 비법·128 고기로 만든 젤리를 아시나요·133 해조류 젤화제에서 얻는 이점들·138 한천을 이용하면 재밌는 요리가 탄생한다·142 식품첨가물의 친환경 버전인 해조류·144 맑고 투명한 구슬이 요리라고·146 요리 역학으로 진가를 발휘하는 레시피·153 캡슐화로 먹을 수 있는 포장재 만들기·156 5 무스도 되고 에멀션도 되고 젤도 되고! 물과 기름 사이에 적절한 균형 찾기·159 달걀흰자로도 마요네즈를 만들 수 있다!·168 마요네즈의 변신은 어디까지·175 에멀션에 거품을 내면 어떤 요리가 될까·176 친숙한 질감에서 새로운 질감으로·180 맛있는 에멀션의 세계·183 에멀션을 젤 상태로 만든 잘라 먹는 프렌치드레싱·185 과일즙만으로도 씹어 먹는 무스를 만든다·188 초특급으로 가벼운 스펀지케이크와 기포를 머금은 샹티이 크림·191 맘껏 먹어도 되는 저칼로리 초콜릿 무스·196 젤라틴 없이도 탱탱한 바바루아가 가능하다·199 토마토즙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돌리면·200 맺음말_ 흥분과 호기심으로 가득한 분자요리의 세계 예술과 과학, 그리고 요리가 만나다·203 처음 한 입과 마지막 한 입의 맛이 다른 요리·209 요리 연구에는 결승선이 없다·213 찾아보기·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