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연구의 목적, 방법 및 범위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인권통계의 정의, 목적 및 중요성 4
제3절. 연구방법 6
제4절. 연구내용 및 범위 6
제5절. 인권통계의 활용대상 8
제6절. 인권통계 체계 구축의 원칙 9
제7절. 인권통계 체계 구축 전략 11
제2장. 선행연구검토 및 해외조사 13
제1절. 선행연구 15
1. 국내 인권지표 및 통계 15
2. 국내 사회지표 및 통계 23
3. 해외 인권지표 및 통계 26
제2절. 해외현지조사 35
1. 인권선진국 사례 35
2. 국제기구 사례 63
제3장. 인권통계 프레임워크 85
제1절. 프레임워크의 정당화: 전문가 조사 1차 87
1. 전문가 조사 1차의 목적과 내용 87
2. 인권전문가 POOL의 구축 과정 89
3. 전문가 조사 1차의 결과 및 함의 90
4. 인권통계 체계구축과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102
제2절. 인권통계 프레임워크 103
1. 인권통계 프레임워크의 목적 및 필요성 103
2. 인권통계 프레임워크의 원칙 104
3. 인권위 인권통계의 문제점 105
4. 한국형 인권통계 프레임워크의 구조 106
5. 인권통계 프레임워크 대분류 하의 중분류 및 소분류 110
제4장. 인권통계 지표풀 115
제1절. 지표풀의 정당화: 전문가 조사 2차 117
1. 전문가 조사 2차의 목적과 내용 117
2. 전문가 POOL의 보완 118
3. 전문가 조사 2차의 결과 및 함의 118
제2절. 인권지표풀 구축 133
1. 인권지표풀 구축 전략 133
2. 인권지표풀 활용 자료 134
3. 지표풀의 구성 134
제5장. 인권통계의 활용방안 139
제1절. 인권통계의 국가승인통계 가능성 탐색 141
1. 국가승인통계의 이해 및 절차 141
2.「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의 조사통계로서 국가승인통계 가능성 검토 149
3.「인권통계」의 국가승인통계 승인 가능성 검토 154
제2절. 인권통계 DB 구축 방안 및 연구결과 활용방안 156
1. 인권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필요성 156
2. 인권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의 목표 및 방향성 157
3. 인권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 159
4. 인권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163
제6장. 인권통계 이행 로드맵 165
제1절. 「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의 개선방안 167
1. 조사내용의 다각화 및 체계화 167
2. 조사설계의 체계화 172
제2절. 국가승인통계 생산기관과의 협력 및 국가승인통계의 인권친화적 개선방안 176
1. 국가승인통계의 개선 사례 검토 176
2. 국가승인통계의 인권친화적 개선 방안의 예 180
3. 국가승인통계의 개선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192
제3절. 인권통계의 산출 및 확산방안 197
1. 인권통계의 산출 197
2. 인권통계 발간 198
3. 인권통계의 접근성 강화 199
4. 한국형 인권통계 체계의 국제적 확산 200
참고문헌 203
부록
1. 해외 인권지표 및 통계 사례 207
2. 한국의 주요 인권보고서 제출 현황 222
3. 지표에 활용된 자료생산 기관과 자료명 223
4. 설문지 227
5. 소수자 집단의 핵심 권리 253
6. 소분류별 법적 정당화 255
7. 국가인권통계 지표 풀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