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큐브) 행정학 개정판

(큐브) 행정학 개정판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황윤원
서명 / 저자사항
(큐브) 행정학 / 황윤원 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형설출판사,   2014  
형태사항
462 p. : 삽화 ; 26 cm
ISBN
9788947274586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8044
005 20160218155913
007 ta
008 160120s2014 ulka 001c kor
020 ▼a 9788947274586 ▼g 93350
035 ▼a (KERIS)BIB000013447630
040 ▼a 244004 ▼c 244004 ▼d 244002
082 0 4 ▼a 351 ▼2 23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14z8
100 1 ▼a 황윤원
245 2 0 ▼a (큐브) 행정학 / ▼d 황윤원 저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형설출판사, ▼c 2014
300 ▼a 462 p. : ▼b 삽화 ; ▼c 26 cm
500 ▼a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2014z8 등록번호 1513277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행정학은 재미없다. 행정학은 어렵다. 행정학은 뜬구름 잡는 얘기만 한다.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그래서 책만 펴면 잠이 온다. 이런 게 대체로 행정학에 대한 선입견들이다. 과연 그럴까? 아니다. 행정학은 재미있고, 쉽고, 살아있는 얘기를 하고, 무슨 말인지 또렷하게 알 수 있어서 졸다가도 눈이 확 열리는 유용한 학문이라는 게 이 책의 주장이다.
그래서 이 책은 재미가 나도록 꾸몄다. 재미가 있어야 공부도 신이 나기 때문이다. 아무리 내용이 좋은 책도 재미가 없어서 거들 떠 보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랴! 오늘날 화두는 온통 ‘재미’다. 부자는 돈 버는 재미를 알고, 예술가는 작품활동에 재미를 느끼는 것처럼 말이다. 세상에 재미없이 열심히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학문도 재미를 느끼지 않으면 계속하지 못한다. 행정학은 더 그렇다. 그래서 이 책은 행정학이 재미있도록 다음의 세 가지 모토를 내세웠다.

1. 시각 효과를 노리자.
깨알 같은 글씨만으로 가득 찬 책은 학문이 성숙되거든 나중에 읽고, 초심자는 우선 시각적 효과를 통해 행정학의 뼈대를 먼저 잡아야 한다. 필자가 유학 때 만났던 사이몬 교수의 가르침에서 얻은 교훈이다. 자신의 연구실 칠판 귀퉁이에 어설프게 적힌 한자숙어 “一畵萬字”에서 터득한 지혜다. ‘그림 하나로 만개의 글자를 설명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가능하면 많은 그림과 사진을 넣었다. 한 눈에 바로 알 수 있게 그림과 사진으로 시각효과를 노리면서 행정학을 설명하려 했다.

2. 전체 윤곽을 잡자.
나무를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아무리 내용을 많이 암기해도 전체적 윤곽을 놓치면 사상누각이 된다. 맥락은 놓친 채 내용만 많이 암기해 봤자 그 지식은 오래 가지 못한다. 그래서 “행정학 큐브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은 행정학 알맹이들을 일목요연하게 차곡차곡 쌓아서 오래오래 간직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주석을 읽다가 본문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아예 주석은 모두 없앴다. 오로지 필자의 일관된 논리로 엮었기 때문에 주석 읽느라고 중간에 머뭇거리지 않도록 했다. 초심자는 전체 윤곽을 잡는 게 관건이기 때문이다.

3. 독자 편에 서자.
소비자가 찾지 않은 상품은 시장에서 홀대받는다. 아무리 좋은 내용의 책도 독자가 읽어주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랴. 그래서 어려운 개념도 평범한 용어로 쉽게 설명하여 독자의 눈높이에 맞추려 애썼다. 오늘의 대학생은 어제의 고등학생이었다는 점을 잊지 않으려 했다. 독자가 대학원생이 아니라 대학생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는 말이다. 특히 행정학은 미국에서 발달해서 미국학자들의 주장이 많다. 이를 모두 우리식으로 해석하려 애썼다. 독자는 왕이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황윤원(지은이)

전,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연구원 원장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 중앙대학교 부총장, 대외협력본부장, 산학협력단장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장, 국가정책연구소장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실 정책평가위원회 제도운영위원장 대통령소속 지방이양추진위원회 위원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자문위원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자문위원 감사원 재정.금융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 문화재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및 감사 통일문제연구협의회 공동의장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영국 런던정경대 연구교수 한국행정학회 이사.감사.연구이사.총무이사 한국정책학회 운영이사.연구이사 한국정치학회 이사 한국지방재정학회 국제학술이사 경실련 예산감시위원장 입법고시.행정고시.외무고시 출제 및 채점위원 중앙공무원교육원, 지방행정연수원, 서울시공무원교육원 등 강사 KBS 객원해설위원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위원장 현,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한국조세연구원, 국회예산정책처 자문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관민협력사업>. OECD. 2010. (역서) <재무행정론>. 법문사. 2005. (공저) <정부개혁론>. 박영사. 2003. (공저) <싱크탱크와 국가경쟁력>. 나남출판사. 2003. (공저) <한국과 중국의 공공부문 개혁>. KIPA. 2001. (공저) <지방재정학>. 박영사. 1997. (공저) <재무행정론>. 법문사. 1996. <지방재정론>. 대영문화사. 1994. (공저) <정보화와 정치과정>. 비봉출판사. 1993. (공저) <공공정책의 결정요인분석>. 법문사. 1993. (공저) <정책학의 주요 이론>. 경세원. 1993. (공저) <행정학의 주요 이론>. 법문사. 1993. (공저) 「정책결정과정에서의 민간싱크탱크 역할과 발전방안 연구」(2009), 「우리나라 정당 싱크탱크의 현황과 전망」(2008), 「새 정부의 국정기조와 정책과제 분석」(2007), 「정부부문 싱크탱크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2006), 「21세기 국정운영시스템의 변화방향」(2001), 「Strategies for Implementing Intergovernmental Transfers to Foster local Development in Korea」(2009) 등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정부와 행정

제1장 정부학

1.1 정부는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18
1. 정부는 무엇인가 _18 2. 정부는 왜 필요한가 _23
3. 정부와 시장은 어떤 관계인가 _26
1.2 정부의 역할과 크기·34
1. 정부의 역할 _34 2. 정부의 크기 _38
1.3 정부의 형태·42
1. 정부형태의 다양성 _42 2. 통치주체에 따른 모습 _42
3. 수행목적에 따른 모습 _46 4. 정부수준에 따른 모습 _48
5. 통치자 귀속에 따른 모습 _52
1.4 정부와 시민·53
1. 우리는 누구인가:시민학(The Study of Citizen) _53
2. 정부에 있어서 우리는 누구인가 _55
3. 시민의 집단화:시민단체 _62
■주요 용어·65

제2장 우리나라 정부

2.1 우리나라 정부의 기초·68
1. 우리나라 정부의 개념 _68 2. 우리나라 정부의 형태 _69
2.2 우리나라의 정부변천·73
1. 고대국가시대에서의 정부태동 _73 2. 왕조시대의 정부구축 _74
3. 전환기의 근대정부 _77 4. 현대적 의미의 대한민국정부 _80
2.3 우리나라의 정부모습·88
1. 입법부 _88 2. 사법부 _92
3. 행정부 _96
2.4 우리나라의 정부크기·105
1. 국민조세부담률에 따른 크기 _105 2. 정부업무 종사자 수에 따른 크기 _106
3. 정부재정규모에 따른 크기 _107 4. 규제강도에 따른 크기 _108
5. 우리나라 정부의 실제 크기 _109
■주요 용어·110
■권장도서·111

제3장 행정의 기초

3.1 행정이란 무엇인가·114
1. 행정은 우리 생활 그 자체이다 _114 2. 행정의 학문적 정의 _117
3. 행정의 비교 정의 _119
3.2 행정의 정체성 논란과 그 과정·121
1. 행정은 정치, 경영과 어떤 관계인가 _121
2. 도대체 경영이 무엇이길래 _127
3. 행정과 정책은 무슨 관계인가 _130
3.3 행정은 무엇을 찾아야 하는가·135
1. 개관 _135 2. 행정이념 _136
3. 행정의 규범적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_142
3.4 현대행정에서의 행정국가화란 무엇인가·145
1. 개관 _145 2. 현대행정의 특징 _145
3. 행정국가의 대두 _146 4. 미래의 행정 _149
■주요 용어·154

제4장 행정학의 기초

4.1 행정학의 학문성·156
1. 행정학의 학문적 속성은 무엇인가 _156
2. 행정학의 이론도출방식은 어떠한가 _158
3. 행정학의 연구 접근방법 _159
4.2 행정학 연구의 출발점은 어디인가·165
1. 개관 _165 2. 관방학 _165
3. 슈타인 행정학 _166 4. 실학 _166
4.3 현대적 행정학 발달과정·168
1. 개관 _168 2. 행정학의 태동 _168
3. 행정학의 출현 _169 4. 정치행정이원론의 발전 _172
5. 신정치행정일원론의 발전 _174
6.신정치행정이원론의 부활:행정경영일원론시대 _179
7.행정학 연구초점의 역사적 변화 요약 _183
4.4 우리나라 행정학 발달과정·184
1. 개관 _184 2. 행정학 연구의 출발 _185
3. 행정학의 정착과 발전 _188 4. 행정학의 위기 _191
5. 행정학의 위기극복 _193
■주요 용어·194
■권장도서·195

제2부
행정학의 실체

제5장 행정학 큐브모델과 각론

5.1 왜 행정학 큐브모델인가·200
1. 행정학 큐브모델의 필요성 _200 2. 행정큐브란 무엇인가 _201
3. 행정학 큐브모델의 모습 _206
5.2 행정학 큐브모델의 업무내용에 따른 각론·212
1. 기획론 _212 2. 관리과학론 _217
3. 행정정보론 _221
5.3 행정학 큐브모델의 정부수준에 따른 각론·226
1. 국제행정론 _227 2. 지방행정론 _229
3. 도시행정론 _231
5.4 행정학 큐브모델의 업무분야에 따른 각론·233
1. 환경행정론 _234 2. 복지행정론 _236
3. 입법행정론 _239
5.5 행정학 큐브모델 밖의 각론들·241
1. 개설이유 _241 2. 정책학 _245
3. 발전행정론 _247 4. 비교행정론 _249
5. 지방자치론 _251 6. 행정개혁론 _252
7. 행정사 _253
■주요 용어·255
■권장도서·256

제6장 조직관리:조직관리론

6.1 조직관리의 기초·264
1. 조직관리란 _264 2. 조직이란 무엇인가 _264
3. 조직의 목표 _265 4. 조직과 환경 _269
5. 조직이론의 전개과정 _274
6.2 조직구조론·278
1. 조직구조의 기초 _278 2. 조직의 형태 _282
3. 조직관리의 기술 _287 4. 행정조직의 구조 _290
5. 관료제 _295
6.3 조직행태론·300
1. 조직인으로서의 인간 _301 2. 인간관과 동기부여 _301
3. 리더십 _306 4. 의사결정 _311
5. 의사전달 _316
■주요 용어·325
■권장도서·326

제7장 인적자원관리:인사행정론

7.1 인사행정의 기초·328
1. 인사행정이란 _328 2. 인사행정의 기본시각 _328
3. 공직의 구조 _336
7.2 인사행정의 과정 : 공무원의 일생·342
1. 인사행정은 공무원의 일생이다 _342 2. 임용관리:공직의 출발 _342
3. 직무수행 지원관리:어떤 당근으로 달랠 것인가 _348
4. 직무수행 통제관리:어떤 채찍으로 보챌 것인가 _359
5. 퇴직관리:공직의 마감 _367 6. 퇴직 후 관리:새로운 출발 _369
■주요 용어·374
■권장도서·375

제8장 물적자원관리:재무행정론

8.1 재무행정의 기초·378
1. 재무행정이란 무엇인가 _378 2. 재무행정가와 재무행정조직 _379
3. 재무행정관련법규 _382 4. 예산이란 무엇인가 _387
5. 예산의 기능 _389 6. 예산의 범위 _390
7. 예산의 형식 _393 8. 예산의 원칙 _395
9. 예산의 종류 _400 10.예산의 분류 _404
8.2 예산의 일생·410
1. 예산의 일생 _410 2. 예산편성 _412
3. 예산심의 _415 4. 예산집행 _420
5. 예산종료:결산과 회계검사 _424
8.3 예산제도의 개혁·426
1. 예산개혁이란 무엇인가 _426 2. 품목별 예산제도 _426
3. 성과주의예산제도 _428 4. 계획예산제도 _429
5. 영기준 예산제도 _432
8.4 예산집행의 현장·435
1. 예산집행의 실체는 무엇인가 _435 2. 수입·지출관리 _435
3. 채권·채무관리 _440 4. 현금관리 _442
5. 물품관리 _442
■주요 용어·448
■권장도서·449
찾아보기·45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