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북한 악기 개량 연구

북한 악기 개량 연구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국립국악원
서명 / 저자사항
북한 악기 개량 연구 / [국립국악원 편]
발행사항
서울 :   국립국악원,   2014  
형태사항
214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국립국악원 한민족음악총서 ;3]
ISBN
9788985952866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7591
005 20230426145247
007 ta
008 160119s2014 ulkad b 000c korOH
020 ▼a 9788985952866 ▼g 936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74 ▼k 11-1371034-000060-01
082 0 4 ▼a 780.9519 ▼2 23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13z1 ▼c 3
110 ▼a 국립국악원 ▼0 AUTH(211009)13266
245 1 0 ▼a 북한 악기 개량 연구 / ▼d [국립국악원 편]
260 ▼a 서울 : ▼b 국립국악원, ▼c 2014
300 ▼a 214 p. : ▼b 삽화, 도표 ; ▼c 26 cm
440 0 0 ▼a [국립국악원 한민족음악총서 ; ▼v 3]
504 ▼a 참고문헌 수록
910 0 ▼a Republic of Korea. ▼b National Gugak Center,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3 등록번호 1117494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3 등록번호 1513283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3 등록번호 1117494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3 등록번호 1513283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I. 북한 악기 개량 배경과 실행에 관한 연구 7


1. 서론 8


2. 북한 민족악기 개량 배경 및 개량 원칙 10


1) 북한 민족악기 개량 배경 10


2) 북한 민족악기의 개량 방향 및 원칙 13


3. 북한악기 개조의 실행과정 및 내용 15


1) 북한악기 개량의 실행 과정 15


2) 북한의 악기제작소 17


3) 북한악기 개량 내용 및 평가 18


4. 나가는 글 19


II. 『조선예술』의 악기 개량 가사 분석 24


1. 머리말 25


2. 기사 분류 및 재구성 27


1) 1960년대 후반 27


2) 1970년대 전반 32


3) 1970년대 후반 40


4) 1980년대 전반 42


5) 1980년대 후반 46


6) 1990년대 전반 49


7) 1990년대 후반 53


8) 2000년대 전반 57


9) 2000년대 후반 60


10) 2010년대 전반 (2010년 1월호 ~ 2014년 6월호) 62


3. 종합 분석 63


1) 이유ㆍ방법ㆍ결과 63


2) 평가 65


3) 편성 66


4. 맺음말 67


III. 중국 악기 개량의 궤적 및 북한 악기 개량과의 관련성 79


1. 머리말 80


2. 근대기 중국의 악기 개량 81


3.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악기 개량 83


1) 중국 내 악기 개량의 논의 과정 83


2) 중국 악기 개량 성과 87


4. 북한의 악기 개량 및 중국 악기 개량의 관련성 94


1) 북한의 악기 개량 94


2) 중국의 악기 개량과의 관련성 98


5. 맺음말 102


IV. 음향학으로 바라본 북한의 악기 개량_단소와 저대를 중심으로 106


1. 머리말 107


2. 관악기 음향학 108


3. 북한 관악기 개량의 음향 이론 110


1) 취구 및 취법 111


2) 지공 113


3) 관 내경 및 형태 117


4) 관의 재료 121


4. 결론 123


V. 배합관현악의 악기 편성 고찰_민족관현악 및 양악관현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127


1. 머리말 128


2. 배합관현악 관련 기존 연구 내용 129


1) 북한측 자료 129


2) 남한측 연구 136


3. 배합관현악의 악기 구성 방법 141


1) 편성 원리 141


2) 편성 방법 143


4. 배합관현악의 악기군별 성부 배치 149


1) 동일 선율 연주 시의 악기 배합 150


2) 옥타브 연주 시의 악기 배합 151


3) 화성 전개 시의 악기 배합 152


5. 맺음말 155


VI. 선군정치의 표상_2000년대 북한의 의식음악과 기념연주 160


1. 들어가며 161


2. 북한의 의식음악, 취주악 163


3. 기념연주회 음악 173


1) 설명절음악회 175


2) 2012년 조선로동당창건 67돐경축기념음악회 184


3) 2013년 ''조선인민공화국 창건65돐'' 경축공연 198


4. 선군정치의 표상 204


판권기 3


III. 중국 악기 개량의 궤적 및 북한 악기 개량과의 관련성 87


[표 1] 중국 쟁(箏) 계통 악기 개량 성과 87


[표 2] 중국 양금(楊琴) 계통 악기 개량 성과 88


[표 3] 중국 이호(二胡) 계통 악기의 개량 성과 89


[표 4] 중국 적(笛) 계통 악기의 개량 성과 91


[표 5] 중국 관자 및 쇄납 계열 악기의 개량 성과 93


[표 6] 중국 타격악기(打擊樂器) 개량 성과 93


[표 7] 북한의 악기 개량 성과 96


[표 8] 북한의 방중 공연 목록 99


VI. 선군정치의 표상_2000년대 북한의 의식음악과 기념연주 164


[표 1] 『조선음악전집』 15권과 16권의 취주악보 목록 164


[표 2] 북한의 축전의식에 사용되는 의식음악 167


[표 3] 『조선문학예술년감』 수록 조선인민군군악단 창작 취주악 170


[표 4] 평양출판사의 2014년 달력에 게시된 월별 기념일 173


[표 5] 북한의 주요 기념일에 거행된 기념연주회의 종류 174


[표 6] 2008년 설명절음악회 프로그램 176


[표 7] 2009년 만수대예술단, 국립교향악단, 공훈국가합창단, 은하수관현악단 합동 설명절음악회 프로그램 177


[표 8] 2010년 은하수관현악단 설명절음악회 프로그램 178


[표 9] 2011년 은하수 〈설명절음악회〉 프로그램 181


[표 10] 2012년 당창건67돐 경축 국립교향악단 연주회 연주목록 185


[표 11] 은하수관현악단의 2012년 〈10월음악회〉 연주목록 190


[표 12] 모란봉악단의 2012년 당창건기념연주회 연주목록 194


[표 13]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 공화국창건 65돐 경축공연 〈선군의 나의 조국〉 198


[표 14] 공화국창건 65돐경축 공훈국가합창단공연 〈번영하라 조국이여〉 200


[그림 1] 북한 단소(소장처: 국립국악원) 108


[그림 2] 북한 저대(소장처: 국립국악원) 108


[그림 3] 양쪽이 열린 관의 파장 109


[그림 4] 원통형 관의 음향 임피던스 예측 (길이 600mm, 내경 16.5mm) 110


[그림 5] 단소 취구로 향하는 날숨의 방향 112


[그림 6] 리코더와 오르간 파이프 형태 악기의 에지톤 발생 모형 113


[그림 7] 지공 크기에 따른 음향 길이의 변화 114


[그림 8] 지공 크기에 따른 음향 임피던스 차이 비교 115


[그림 9] 지공의 형태 116


[그림 10] 두 번째 열린 지공의 크기에 의한 음향 임피던스 차 116


[그림 11] 정악대금 黃, 潢, 淋, 운지에서의 파장 형성 모형도 117


[그림 12] 내경에 의한 음향 임피던스 차이(ㅡ: 16mm, ㅡ:19mm) 118


[그림 13] 원통형과 원추형 내경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ㅡ:원통형, ㅡ:원추형) 119


[그림 14] 원통형 관과 원추형에 원통형이 연결된 관의 치수 120


[그림 15] 원통형 관과 원추형 관에 원통형 관이 부착된 관의 음향 임피던스 비교(ㅡ:원통형 관, ㅡ:원추형 관+원통형 관) 120


[그림 16] 악기에 사용되는 목재의 밀도와 영탄성계수 122


[그림 17] 대나무 관의 내부 칠 유무에 따른 음향 임피던스 측정 비교(길이: 600m, 내경: 16.5mm 칠: 유성페인트) 122


[자료 1] 『조선음악전집 15 (취주악편-1)』 수록 〈묵상곡〉 166


[자료 2] 4호 환영곡 166


[자료 3] 따뜻한 환영의 음악 168


[자료 4] 외국 당국과의 모임을 위한 음악 169


[자료 5] 모임을 위한 음악 169


[자료 6] 2014년 화환과 꽃바구니 진정곡 169


[자료 9] 2010년 은하수악단 편성 180


[자료 10] 색소폰6중주 180


[자료 11] 오향미의 〈꽃노래〉 180


[자료 12] 황은미의 〈밭갈이노래〉 180


[자료 13] 강세혁의 첼로독주 180


[자료 14] 출연자 전원 인사 180


[자료 15] 악기 편성 182


[자료 16] 민족악기-해금류 182


[자료 17] 저대와 플룻 182


[자료 18] 민족기악과 바얀 184


[자료 19] 민족기악과 바얀 184


[자료 20] 바얀연주 184


[자료 21] 〈우리 장군님 제일이야〉 악보 187


[자료 22] 국립교향악단 협연자 허금희 188


[자료 23] 국립교향악단 바이올리니스트 정현희 188


[자료 24] 관악기 연주자의 노래 188


[자료 25] 현악기 연주자의 노래 188


[자료 26] 〈발걸음〉 연주 중 노래 188


[자료 27] 2011년 삼지연악단의 선우향희 193


[자료 28] 2012년 모란봉악단의 선우향희 193


[자료 29] (제목없음) 195


[자료 30] (제목없음) 195


[자료 31] (제목없음) 195


[자료 32] 〈우등불〉 율동 1 196


[자료 33] 〈우등불〉 율동 2 196


[자료 34] 20대의 전혜영 197


[자료 35] 모란봉악단 시범공연 197


[자료 36] 모란봉악단의 전승절 축하공연 197


[자료 37] 배합편성 199


[자료 38] 민족악기편성 199


[자료 39] 퉁소와 하모니카합주 199


[자료 40] 퉁소와 하모니카합주의 퉁소 199


[자료 41] 공훈국가합창단 배합관현악편성 201


[자료 42] 〈오늘의 창성〉 성악가수의 흥겨운 율동 201


[자료 43] 모란봉악단의 〈조국찬가〉 1 203


[자료 44] 모란봉악단의 〈조국찬가〉 2 203


[자료 45] 북한의 삼지연혁명사적지 혁명군상의 나팔수 20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