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북한의 민족성악

북한의 민족성악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고상미, 저 김난희, 저 배인교, 저 이경분, 저 조인복, 저 천현식, 저 최성룡, 저
서명 / 저자사항
북한의 민족성악 / [고상미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국립국악원,   2015  
형태사항
315 p. : 삽화, 악보 ; 23 cm
총서사항
국립국악원 한민족음악총서 ;4
ISBN
9788985952903
일반주기
공저자: 김난희, 배인교, 이경분, 조인복, 천현식, 최성룡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94-307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7590
005 20160120111157
007 ta
008 160119s2015 ulkag b 000c korOH
020 ▼a 9788985952903 ▼g 936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74 ▼k 11-1371034-000074-01
082 0 4 ▼a 780.9519 ▼2 23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13z1 ▼c 4
245 0 0 ▼a 북한의 민족성악 / ▼d [고상미 외 지음]
260 ▼a 서울 : ▼b 국립국악원, ▼c 2015
300 ▼a 315 p. : ▼b 삽화, 악보 ; ▼c 23 cm
440 0 0 ▼a 국립국악원 한민족음악총서 ; ▼v 4
500 ▼a 공저자: 김난희, 배인교, 이경분, 조인복, 천현식, 최성룡
504 ▼a 참고문헌: p. 294-307
700 1 ▼a 고상미, ▼e▼0 AUTH(211009)27757
700 1 ▼a 김난희, ▼e▼0 AUTH(211009)83005
700 1 ▼a 배인교, ▼e▼0 AUTH(211009)60113
700 1 ▼a 이경분, ▼e▼0 AUTH(211009)79678
700 1 ▼a 조인복, ▼e▼0 AUTH(211009)40804
700 1 ▼a 천현식, ▼e▼0 AUTH(211009)64901
700 1 ▼a 최성룡, ▼e▼0 AUTH(211009)37280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4 등록번호 1117494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4 등록번호 1513283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4 등록번호 1117494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3z1 4 등록번호 1513283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머리글 5


제1장 북한 음악계의 탁성 논쟁사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13


1950~60년대 북한의 창극 작품과 탁성 14


창극에서의 탁성에 대한 문제제기: 1950년대 전반기 18


''문제적'' 요소, 탁성 19


탁성의 개념화 23


탁성 제거 시도 :〈춘향전〉 (1954)과 〈심청전〉 (1955) 25


민요풍 노래에서의 탁성 제거: 창극 〈배뱅이〉(1958) 29


1956년 8월 종파투쟁과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29


창극 〈배뱅이〉 31


탁성과 맑은 소리의 격돌 : ~ 1960년 36


탁성과 맑은 소리 논쟁 36


평양음악대학의 창극 〈심청전〉 (1959)과 〈바다의 랑만〉 (1960) 44


국립민족예술극장 창극〈황해의 노래〉와 〈강 건너 마을에서 새 노래 들려 온다〉 46


탁성 제거 완료 : ~ 1962년 50


맑은 음색으로 우리 노래 부르기 50


민족가극 〈이것은 전설이 아니다〉와 민요극 〈붉게 피는 꽃〉 52


창극 〈홍루몽〉 55


남은 과제들 58


제2장 북한의 민족성악과 합창법 연구 62


북한의 민족성악과 합창 63


민족성악 66


민성(민족성악)발성 67


민성의 발음법, 호흡법 76


민족적 특성을 살리는 표현법 85


북한 합창의 역사와 의미 90


합창교육 95


민족성악의 합창법 115


북한 민족성악과 남한의 성악 120


제3장 남북한 민족성악의 비교연구 : 긴ㆍ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를 중심으로 125


서도민요와 북한의 창작민요 126


사설의 비교 130


서도민요 〈긴ㆍ자진 난봉가〉의 사설 130


창작민요 〈정방산성가 1, 2〉의 가사 134


창법의 비교 139


서도민요 〈긴ㆍ자진 난봉가〉의 창법 139


〈정방산성가 1, 2〉의 창법 156


두 곡의 음악형식 비교 162


〈긴 난봉가〉의 음악형식 162


〈정방산성가 1〉의 음악형식 162


〈자진 난봉가〉의 음악형식 163


〈정방산성가 2〉의 음악형식 164


선율의 비교 165


〈긴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1〉의 선율 비교 165


〈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2〉의 선율 비교 177


장단의 비교 182


〈긴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1〉의 장단 비교 182


〈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2〉의 장단 비교 185


〈난봉가〉와 〈정방산성가〉의 같고 다름 186


제4장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북한 주체적 발성의 실현 양상 200


들어가며 201


주체적 발성의 기원과 전개 202


연주 영상에 나타난 주체적 발성 실현 양상 207


나가며 226


제5장 북한 민족성악곡의 작곡기법 연구 229


작곡기법의 이론적 근거 230


음악사상과 이념 232


민족성악곡의 작곡기법 236


주제 선택 237


조식과 조성 응용 241


구조 선택 244


명곡과 작곡기법 248


제6장 북한 "피바다식 가극"의 성악 252


''우리식 창법'' 253


혁명가극 〈피바다〉의 ''양성(洋聲)'' 259


민족가극 〈춘향전〉의 ''민성(民聲)'' 261


제7장 작품을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 〈모란봉〉과 〈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를 중심으로 265


북한의 고유한 민족성악 스타일 266


민족음악 창출에의 다양한 시도 267


민족음악의 창출 : 기악의 경우 268


민족음악의 창출 : 성악의 경우 270


음악과 가사의 관계로 본 북한의 민족성악 273


〈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 273


〈모란봉〉, 민요에서 예술적 창작민요로 276


북한 민족성악의 한 단면 282


참고자료 285


더 읽어볼 책과 지은이 소개 300


판권기 307


제1장 북한 음악계의 탁성 논쟁사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15


표 1. 1948년~1962년 북한의 창극 공연 15


제2장 북한의 민족성악과 합창법 연구 96


표 1. 영역별 분포 (남한) 96


표 2. 영역별 분포 (북한) 97


표 3. 음악교과서 차례 (소학교 1학년) 98


표 4. 소리표 (소학교 1학년) 100


표 5. 음악교과서 차례 (소학교 1학년) 101


표 6. 음악교과서 차례 (인민학교 1학년) 104


제3장 남북한 민족성악의 비교연구 : 긴ㆍ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를 중심으로 183


표 1./표 10. 〈긴〉의 대표적인 장단유형 183


표 2./표 11. 〈정방 1〉의 대표적인 장단유형 184


표 3./표 12. 〈자진〉과 〈정방 2〉의 대표적인 장단유형 185


제5장 북한 민족성악곡의 작곡기법 연구 239


표 1. 3음렬을 위주로 한 주제동기 분석표 239


표 2. 조식 분석표 241


표 3. 조성 분석표 242


표 4. 창작민요 122수의 구조 분석표 245


제6장 북한 "피바다식 가극"의 성악 254


표 1. 판소리와 서양성악의 발성 비교 254


표 2. ''우리식 창법''과 민성ㆍ양성 257


제7장 작품을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 〈모란봉〉과 〈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를 중심으로 273


표 1. 〈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의 가사 273


표 2. 〈모란봉〉의 가사 276


제4장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북한 주체적 발상의 실현 양상 218


〈그림 1〉 황은미와 서은향 218


제6장 북한 "피바다식 가극"의 성악 255


〈그림 1〉 호흡기관과 공명위치 255


〈사진 1〉 왕수복 70


제1장 북한 음악계의 탁성 논쟁사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56


〈악보 1〉 창극 〈홍루몽〉 중 신민요 스타일의 2중창 56


제2장 북한의 민족성악과 합창법 연구 82


〈악보 1〉 앞에 있는 음이 뒤에 있는 음을 동화시키는 것 82


〈악보 2〉 뒤의 음이 앞의 음을 동화시키는 것 82


〈악보 3〉 단어의 력점과 문장에서의 명확히 살려야 할 문제 83


〈악보 4〉 장식적 굴림 86


〈악보 5〉 선율적 굴림 87


〈악보 6〉 굴림새 연습곡 88


〈악보 7〉 ''환성구에서 음색을 통일하기 위한 훈련 89


〈악보 8〉 숫자 악보 〈손가락 자랑〉 99


〈악보 9〉 시창곡 17번 (소학교 1학년) 101


〈악보 10〉 가창곡 〈우리는 꽃송이 우린 꽃나비〉 102


〈악보 11〉 가창곡 〈어데까지 왔니〉 (단선율) 103


〈악보 12〉 시창곡 (인민학교 2학년)과 가창곡 〈어데까지 왔니〉 105


〈악보 13〉 2성부 시창곡 (인만학교 3학년) 106


〈악보 14〉 2성부 시창곡 19번, 20번 (인민학교 3학년) 107


〈악보 15〉 ''레'' 대조 시창곡 109


〈악보 16〉 〈장산의 꾀꼴새〉 110


〈악보 17〉 〈보람찬 우리나라〉 중에서 110


〈악보 18〉 ''쏠'' 대조 시창곡 112


〈악보 19〉 ''씨b'' 대조 시창곡 113


〈악보 20〉 〈명승가〉 114


〈악보 21〉 떨음 훈련 116


〈악보 22〉 심한 굴림새, 장식음을 잘하기 위한 훈련 117


〈악보 23〉 〈법성포 뱃노래〉 (조선민요, 윤충남 편곡) 118


〈악보 24〉 〈바다의 노래〉 (윤충남 편곡, 김학권 재편곡) 119


제3장 남북한 민족성악의 비교연구 : 긴ㆍ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를 중심으로 142


〈악보 1〉 모음 ''ㅏ''의 선율 〈긴〉 중 제1소절 142


〈악보 2〉 모음 ''ㅔ''의 선율 〈긴〉 중 제1소절 143


〈악보 3〉 모음 ''ㅣ''의 선율 〈긴〉 중 제12소절 143


〈악보 4〉 모음 ''ㅗ''의 선율 〈긴〉 중 제12소절 144


〈악보 5〉 모음 ''ㅜ''의 선율 〈긴〉 중 제8소절 144


〈악보 6〉 모음 ''ㅓ''의 선율 〈긴〉 중 제2소절 145


〈악보 7〉 모음 ''ㅡ''의 선율 〈긴〉 중 제19소절 145


〈악보 8〉 모음 ''ㅐ''의 선율 〈긴〉 중 제8소절 146


〈악보 9〉 모음 ''ㄱ''의 선율 〈긴〉 중 제3소절 146


〈악보 10〉 모음 ''ㄴ''의 선율 〈긴〉 중 제13소절 147


〈악보 11〉 모음 ''ㄷ''의 선율 〈긴〉 중 제8소절 147


〈악보 12〉 모음 ''ㄹ''의 선율 〈긴〉 중 제3소절 148


〈악보 13〉 모음 ''ㅁ''의 선율 〈긴〉 중 제3소절 148


〈악보 14〉 모음 ''ㅂ''의 선율 〈긴〉 중 제7소절 149


〈악보 15〉 모음 ''ㅅ''의 선율 〈긴〉 중 제4소절 149


〈악보 16〉 모음 ''ㅈ''의 선율 〈긴〉 중 제3소절 150


〈악보 17〉 모음 ''ㅊ''의 선율 〈긴〉 중 제12소절 150


〈악보 18〉 모음 ''ㅌ''의 선율 〈긴〉 중 제13소절 151


〈악보 19〉 모음 ''ㅎ''의 선율 〈긴〉 중 제3소절 151


〈악보 20〉 짧은 음에 붙는 받침의 선율 〈자진〉 중 제10소절 152


〈악보 21〉 긴 음에 붙는 받침발음의 선율 〈긴〉 중 제5소절 153


〈악보 22〉 시김새 1 155


〈악보 23〉 시김새 2 155


〈악보 24〉 시김새 3 155


〈악보 25〉 시김새 4 155


〈악보 26〉 주체발성법의 각 성종에 따르는 음역 159


〈악보 27〉 완전4도 아래로 요성 160


〈악보 28〉 장2도 위로 요성 160


〈악보 29〉 장2도 아래로 요성 160


〈악보 30〉 지속하다가 장2도 위로 요성 161


〈악보 31〉 〈긴ㆍ자진〉과 〈정방 1, 2〉 음계 165


〈악보 32〉 〈긴〉 제1소절과 〈정방 1〉의 제1-4소절 166


〈악보 33〉 〈긴〉 제2소절과 〈정방 1〉의 제5-8소절 167


〈악보 34〉 〈긴〉 제3소절과 〈정방 1〉의 제9-12소절 168


〈악보 35〉 〈긴〉 제4소절과 〈정방 1〉의 제13-16소절 168


〈악보 36〉 〈긴〉 제5소절과 〈정방 1〉의 제17-20소절 169


〈악보 37〉 〈긴〉 제6소절과 〈정방 1〉의 제21-24소절 170


〈악보 38〉 〈긴〉 제7소절과 〈정방 1〉의 제25-28소절 171


〈악보 39〉 〈긴〉 제8소절과 〈정방 1〉의 제29-32소절 171


〈악보 40〉 〈긴〉 제9소절과 〈정방 1〉의 제33-36소절 172


〈악보 41〉 〈긴〉 제10소절과 〈정방 1〉의 제37-40소절 173


〈악보 42〉 〈긴〉 제11소절과 〈정방 1〉의 제41-44소절 173


〈악보 43〉 〈긴〉 제12소절과 〈정방 1〉의 제45-48소절 174


〈악보 44〉 〈긴〉 제13소절과 〈정방 1〉의 제49-52소절 175


〈악보 45〉 〈긴〉 제14소절과 〈정방 1〉의 제53-56소절 175


〈악보 46〉 〈긴〉 제15소절과 〈정방 1〉의 제57-60소절 176


〈악보 47〉 〈자진〉과 〈정방 2〉의 제1소절-제4소절 177


〈악보 48〉 〈자진〉과 〈정방 2〉의 제5소절-제8소절 178


〈악보 49〉 〈자진〉과 〈정방 2〉의 제9소절-제12소절 178


〈악보 50〉 〈자진〉과 〈정방 2〉의 제13소절-제16소절 179


〈악보 51〉 〈자진〉과 〈정방 2〉의 제17소절-제20소절 180


〈악보 52〉 〈자진〉과 〈정방 2〉의 제21소절-제24소절 180


〈악보 53〉 〈자진〉과 〈정방 2〉의 제25소절-제29소절 181


〈악보 54〉 중모리 장단 182


〈악보 55〉 세마치 장단 183


〈악보 56〉 굿거리 장단 185


제4장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북한 주체적 발상의 실현 양상 208


〈악보 1〉 〈인성의 봄〉, 가수 : 왕수복, 1933년 10월 발표된 연주 음반 208


〈악보 2〉 〈아리랑〉, 가수 : 왕수복, 1955년 연주 영상 209


〈악보 3〉 〈꽃 피는 처녀〉, 가수 : 최삼숙, 1972년 연주 (영화 삽입곡) 211


〈악보 4〉 〈황금나무 능금나무 산에 심었소〉, 가수 : 김광숙, 2011년 조산중앙방송 녹화 영상 215


〈악보 5〉 〈20세기 추억〉, 가수 : 황은미, 2009년 은하수관현악단 공연 영상 217


〈악보 6〉 〈내 조국 강산이 넘치는 노래〉, 가수 : 모란봉악단 성악조, 2013년 연주 220


〈악보 7〉 〈고지에서의 노래〉, 가창자 : 김광명, 2014년 공훈국가합창단 공연 중에서 222


〈악보 8〉 〈고향의 봄〉, 가수 : 최수연(9세, 고등중학교 학생), 2011년 연주 224


제5장 북한 민족성악곡의 작곡기법 연구 238


〈악보 1〉 〈김일성 장군님은 우리의 태양〉 238


〈악보 2〉 〈백두산 명승가〉 238


〈악보 3〉 〈오직 한마음〉 246


제6장 북한 "피바다식 가극"의 성악 260


〈악보 1〉 〈피바다가〉 260


〈악보 2〉 〈사랑가〉 261


제7장 작품을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 〈모란봉〉과 〈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를 중심으로 275


〈악보 1〉 마디 8~15 275


〈악보 2〉 〈창부타령〉의 시작부분 277


〈악보 3〉 〈모란봉〉 시작부분 277


〈악보 4〉 마디 16~17 278


〈악보 5〉 굴림새 모티브 278


〈악보 6〉 마디 6~9 279


〈악보 7〉 마디 11~12 279


〈악보 8〉 마디 16~17 280


〈악보 9〉 마디 12~13 280


〈악보 10〉 〈모란봉〉 2절의 첫 부분 28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