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激變期의) 한·러 關係史

(激變期의) 한·러 關係史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종효 朴鍾涍
Title Statement
(激變期의) 한·러 關係史 = История Корейско-Российских отношений / 朴鍾涍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선인,   2015  
Physical Medium
684 p. : 삽화 ; 24 cm
ISBN
978895933868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670-684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6901
005 20160111155513
007 ta
008 160108s2015 ulka b 000c kor
020 ▼a 9788959338689 ▼g 93900
035 ▼a (KERIS)BIB000013730641
040 ▼a KYOBO ▼c KYOBO ▼d 242009 ▼d 211009
082 0 4 ▼a 327.519047 ▼2 23
085 ▼a 327.53047 ▼2 DDCK
090 ▼a 327.53047 ▼b 2015
100 1 ▼a 박종효 ▼g 朴鍾涍 ▼0 AUTH(211009)66184
245 2 0 ▼a (激變期의) 한·러 關係史 = ▼x История Корейско-Российских отношений / ▼d 朴鍾涍
246 3 1 ▼a Istorii͡a Koreĭsko-Rossiĭskikh otnosheniĭ
260 ▼a 서울 : ▼b 선인, ▼c 2015
300 ▼a 684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 p. 670-684
900 1 0 ▼a Пак, Чон Хё,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047 2015 Accession No. 1117490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가 10년 넘게 러시아 여러 국립문서 보관소에 출입하면서 우리 근대사에 관련된 많은 1차 사료가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보고 감탄하고 우리도 한국사와 한.러 관계사에 저명한 학자의 논문과 러시아 측의 1차 사료 그리고 출판물을 참고해 옳게 한.러 관계사를 정리해야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출간한 책이다.

우리 근대사에 러시아는 일본과 더불어 큰 영향을 미쳤으나 아직까지 한국인이 쓴 한·러 관계사는 출판되지 않고 있었다. 대부분 서방 학자들이나 일본 학자가 쓴 단편적인 한·러 관계에 관한 글을 인용해 엮어 쓴 논문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사실 양국 관계사는 관련국의 사료를 중심으로 쓰는 것이 전 세계적으로 역사학계의 일반적인 관례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에 그와 같이 제3국에서 쓰인 출판물에 의존해 왔던 현상이 있었던 것은 우리가 보존하고 있는 한·러 관계에 대한 사료와 문헌이 부족하고 또 러시아 쪽은 광복 후 오랫동안 이념 문제로 수교가 없어 사료나 출판물을 볼 수 없었던 것이 그 원인이었다.
하지만 이제 한·러 관계가 원활해지면서 한국에 나와 있는 문헌과 러시아 국립문서 보관소에 소장된 한국에 관련된 풍부한 1차 사료 또 저명한 동포 학자를 비롯한 러시아 학자들이 쓴 한·러 관계사 출판물도 자유롭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10년 넘게 러시아 여러 국립문서 보관소에 출입하면서 우리 근대사에 관련된 많은 1차 사료가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보고 감탄하고 우리도 한국사와 한·러 관계사에 저명한 학자의 논문과 러시아 측의 1차 사료 그리고 출판물을 참고해 옳게 한·러 관계사를 정리해야겠다는 사명감을 갖게 되었다.
이제 이 책이 출판되어 한·러 관계사 연구에 미진했던 분야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큰 기대와 또 앞으로 후학들의 한·러 관계사 연구에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한다. (머리말 中)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종효(지은이)

韓國外國語大學校 러시아語科 졸 延世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석사과정 수료 소련 아카데미 러시아歷史 硏究院 Ph.D 학위 취득 러시아 연방 아카데미 러시아歷史 硏究院 독또르(Доктор) 학위 취득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敎授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한국학센터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연구교수 [저서] Россия и Корея(1895~1898), Москва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и Корея(1904~1905), Москва Книга Памяти, Москва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한국관련문서요약집, 한국국제교류재단 러시아 연방 외무성 대한정책 자료집Ⅰ·Ⅱ, 도서출판 선인 제정 러시아 대외정책 문서 보관소 자료집(한국편), 도서출판 선인 러시아 국립 사진·영상물 보관소/음성물 보관소 자료집(한국·북한편), 도서출판 선인 한반도 分團論의 起源과 러일戰爭(1904~1905), 도서출판 선인 격변기의 한·러關係史, 도서출판 선인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 군사관계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러시아 연방의 高麗人 歷史, 도서출판 선인 [논문] 朝鮮駐在 러시아 初代 대리公使 붸베르 연구 러시아인 사바띤 보고서와 明成皇后 弑害사건 러·일 濟物浦 海戰(1904)과 러·일전쟁 安重根 의사의 하얼빈 義擧와 러시아의 反應 한·러 國境형성과정과 國境條約 高宗皇帝의 헤이그 特使와 러시아의 態度 蘇聯 極東居住 韓人 强制移住에 대한 고찰 최초 官立 러시아어 學校 敎師 비류꼬프 6·25 韓國戰爭과 스딸린의 역할 러시아 측 史料로 본 獨島 領有權 등 수십 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장 조·러 수교(修交) 이전의 관계 
ㆍ 최초 러시아에 대한 인식과 청국(淸國)의 원군 요청 
ㆍ 최초 러시아의 조선지도(地圖)와 러시아의 수교 공한 
ㆍ 최초 북경에서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와 접촉 
ㆍ 러시아 함대 거문도 방문과 거문도, 독도, 최초 동해안 지도 제작 

제2장 러시아 이웃 국가로 출현 
ㆍ 조·러 국경의 성립 
ㆍ 조·러 국경 성립과 경계비 설치건 
ㆍ 조·러 국경과 녹둔도 문제 
ㆍ 조선정부 조·러 국경지대에서 무역 요청 거부 
ㆍ 러시아 최초 조선인 이민 문제와 불법이주자에 대한 조선정부의 대응 
ㆍ 국경 지방에 거주하는 조선인 먼 내륙으로 이주 및 본국 소환 문제 

제3장 조·러 수호통상조약 체결 
ㆍ 러시아 포함(砲艦) 소볼(Соболь)호 사건 
ㆍ 미국의 무력 개항 시도 실패와 러시아 
ㆍ 일본과 구미열강(歐美列强)의 조선 개항과 러시아 
ㆍ 조·러 수교 이전 청·일·러의 관계 
ㆍ 조·러 수교협상에 대한 러시아와 청국 
ㆍ 1882년 군란(임오군란)과 러시아의 관심 
ㆍ 조·러 수호조약 체결 

제4장 청·일(淸日)의 각축과 러시아의 관망정책 
ㆍ 정변 실패의 혼란과 일본과 한성조약 체결 
ㆍ 청·일 천진조약(天津條約)과 러시아의 보호안 대두 
ㆍ 묄렌도르프와 고종의 러시아 접근정책 
ㆍ 조·러 1차 동경 비밀협정설과 쉬뻬이예르의 조선 방문 
ㆍ 묄렌도르프의 제1차 러시아에 보호 제안과 쉬뻬이예르의 재차 방문 
ㆍ 고종과 이홍장의 교신 및 청·일 관계 

제5장 러시아 상주공사관 서울에 개설 
ㆍ 붸베르(К.И. Вебер) 초대 러시아 대리공사 임명과 훈령과 거문도 문제 
ㆍ 청국의 조선 내정간섭과 조·러 관계 
ㆍ 고종이 붸베르에게 보낸 친서(親書) 사건 
ㆍ 거문도(巨文島)와 조·러·영·청 관계 
ㆍ 구두협약과 러시아의 대조선정책 

제6장 청일전쟁 전후의 조·러 관계 
ㆍ 러시아에 상주공사 조신희 파견 문제 
ㆍ 청일전쟁 이전의 조·러 관계 
ㆍ 청·일·러 관계와 동학농민혁명운동 
ㆍ 러시아와 영국에 협조 요청 
ㆍ 청·일평화조약 체결에 즈음한 러시아의 대조선정책 

제7장 일본의 요동반도 반환에 즈음한 조·러 관계 
ㆍ 조선에서 러시아의 위상 상승 
ㆍ 왕후 시해 사건(乙未事變)과 러시아 
ㆍ 붸베르가 주도하여 개최한 서울주재 외교단회의 
ㆍ 고종 구출(救出)기도와 춘생문(春生門)난입 사건 

제8장 고종 러시아공사관에 피신(俄館播遷) 
ㆍ 단발령(斷髮令)과 항일운동 
ㆍ 고종 러시아공사관에 도착 
ㆍ 환궁을 희망한 고종의 러시아공사관에서의 일상생활 
ㆍ 서울 붸베르-고무라 각서 
ㆍ 모스크바 로바노프-로스톱스키-야마가타 의정서 
ㆍ 고종 니꼴라이Ⅱ세의 대관식에 민영환 특사 파견 
ㆍ 러시아 소총 3,000정 원조 건 
ㆍ 러시아 군사교관단 제1진 
ㆍ 교관단 제2진 및 조선군 10개 사단 증설계획 
ㆍ 조선 해군의 창설과 군함 
ㆍ 고종 경운궁(덕수궁)으로 환궁 

제9장 재정고문 초청 문제와 러시아의 경제 확장정책 
ㆍ 러시아에 차관 요청 건 
ㆍ 조·러 통상 관계 
ㆍ 한러은행 설립과 뷔떼의 경제 확장정책 
ㆍ 민영환 뻬쩨르부르그 상주 유럽체약국 겸임공사로 임명 
ㆍ 재정고문 임명과 해관총세무사 겸임 문제 

제10장 러시아 여순항 점령과 재정고문, 군사교관단 소환 
ㆍ 여순항 점령과 대한제국에서 러시아의 정책 전환 
ㆍ 독립협회의 러시아 재정고문, 군사교관단의 철수 요구 
ㆍ 니시(西德)-로젠(Розен)협상의 전후실정 

제11장 관립 러시아어학교 설립과 정교회 선교부 설치 
ㆍ 관립아어(俄語)학교 설립과 교사 비류코프 
ㆍ 고종 황제 정교회(正敎會) 건축부지 기증 문제 
ㆍ 두만강 경유 한·러 전신선 연결 문제(1896~1903) 
ㆍ 주미공사 이범진(李範晉)을 러시아주재 상주공사로 발령 
ㆍ 러시아인 피복 및 유리 제조기사 초청 건 
ㆍ 러시아의 부산-목포-진남포 지역 토지매입과 일본 및 타 열강의 방해 활동 
ㆍ 러시아 해군이 선호하는 마산포에 부영사관 설치 
ㆍ 러시아와 경의선 철도 문제(1897~1903) 
ㆍ 의화단 사건과 영일동맹 이후 대한제국의 중립국화 논의 
ㆍ 고종 제위 40주년 기념행사와 붸베르 특사 

제12장 러시아의 신노선정책과 브리네르 벌목 이권 
ㆍ 브리네르(Ю.И.Бринер)의 벌목 이권과 조선 산림회사 설립 
ㆍ 브리네르(Ю.И.Бринер) 조선산림회사 양도 
ㆍ 러시아 정부 내 양계파의 대립과 압록강 벌목사업권 연장 
ㆍ 울릉도 벌목 이권과 일본의 도벌(盜伐)행위 
ㆍ 러시아 동아시아 산업회사 설립 
ㆍ 대한제국과 만주에 대한 러시아의 “새로운 정책 노선” 
ㆍ 대한제국 문제에 관한 러·일 협상 
ㆍ 대한제국 중립 선언 
ㆍ 러·일 외교 단절과 대한제국에서 러·일개전 
ㆍ 전쟁 초기의 대한제국 
ㆍ 러일전쟁 시기에 뻬쩨르부르그주재 대한제국공사관 

제13장 대한제국 영토에서 러·일 군의 전투와 대마도 해전 
ㆍ 러시아 까자크군 평양에서 일본군과 충돌 
ㆍ 러·일 압록강 전투 
ㆍ 러시아 태평양 제1함대 기지 여순항 함락 
ㆍ 라제스트?스키의 항복과 울릉도에서 돈스코이호의 최후 

제14장 포츠머스 평화회담에서의 대한제국 문제 
ㆍ 루스벨트 평화회담 주선 
ㆍ 평화회담 개최 소식에 니꼴라이Ⅱ세에게 고종 황제 이용익 급파 
ㆍ 포스머스 평화조약 체결 이후 러시아와 대한제국 
ㆍ 서울에 러·일 외교의 수립과 쁠란손 총영사 부임 
ㆍ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의 고종 황제의 특사 
ㆍ 안중근 의사 의거 이전 이토(伊藤) 살해계획 실패 사건 
ㆍ 고종 황제 선위(禪位)와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항일운동 

제15장 안중근 하얼빈 역에서 이토 처형 사건과 한·러 관계 
ㆍ 안중근 의거의 진상 
ㆍ 한일합방조약과 조선총독부 출현 이후의 한·러 관계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和田春樹 (2023)
Kissinger, Henry (2023)
국중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