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외국어 음성 체계

외국어 음성 체계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오은진
Title Statement
외국어 음성 체계 / 오은진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15  
Physical Medium
409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6817303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75-404)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6696
005 20160107135910
007 ta
008 160107s2015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8173035 ▼g 93740
035 ▼a (KERIS)BIB000013938650
040 ▼a 211014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14.8 ▼2 23
085 ▼a 414.8 ▼2 DDCK
090 ▼a 414.8 ▼b 2015
100 1 ▼a 오은진 ▼0 AUTH(211009)76214
245 1 0 ▼a 외국어 음성 체계 / ▼d 오은진 지음
246 1 1 ▼a Phonetic systems of foreign languages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5
300 ▼a 40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75-404)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저술출판지원사업 연구비를 받아서 저술되었음 ▼g (NRF-2011-812-A00096)
900 1 0 ▼a Oh, Eun-jin,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4.8 2015 Accession No. 11174885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외국어 음성 체계와 관련된 주요 연구 결과들을 주제별로 개관하고, 학습자의 음성 자료를 외국어 음성 이론 및 일반 음성 이론으로 모델링하며, 이들 이론들을 발전적으로 재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본서를 통해서 외국어 음성 체계에 대한 연구 분야의 현황을 미시적.거시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질문을 형성하는 시발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음성학이 인간의 말소리에 대한 물리적인 측면을 연구하는 비언어학적인 부문이라는 전통적인 견해에 대비하여, 음성 내용도 음운 체계처럼 개별 언어에 따라 체계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다. 본서는 음성 내용이 언어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다른 방법으로 외국어 학습자의 음성 체계를 살펴보는 것이 있다는 논점에서 출발한다. 학습자가 외국어의 상세한 음성 내용을 점차적으로 학습한다는 연구 결과는 역으로 모국어와 외국어의 음성 체계에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외국어 음성 자료 자체로서의 중요성뿐 아니라, 학습자의 자료가 음성학과 음운론 고유의 이론에 시사하는 결정적인 논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서에서는 외국어 음성 체계와 관련된 주요 연구 결과들을 주제별로 개관하고, 학습자의 음성 자료를 외국어 음성 이론 및 일반 음성 이론으로 모델링하며, 이들 이론들을 발전적으로 재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본서를 통해서 외국어 음성 체계에 대한 연구 분야의 현황을 미시적, 거시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질문을 형성하는 시발점으로 삼을 수 있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오은진(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학사 학위,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Stanford University의 Department of Linguistics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언어 간의 음성 차이, 이중 언어 화자의 음성 체계, 음성 변이형의 사회음성학적인 해석, 음성 이론, 음성학과 음운론의 관계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Journal of Phonetics], [언어], [영어학], [언어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음성과학], [말소리],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등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2권의 공저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저자 서문 
·그림 차례 
·표 차례 

서장 음성 문법과 외국어 음성 체계 

제1장 음성 체계 
1.1. 말소리의 생성 
1.2. 자음의 분류 및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체계 
1.3. 음성 환경에 따른 자음의 변이 현상 
1.3.1. 음소와 이음 
1.3.2. 폐쇄음의 음성 환경과 변이형 
1.3.3. 조음 위치 동화 현상과 음성 환경 
1.3.4. 구개음화 현상과 음성 환경 
1.3.5. 한국어 자음의 변이 현상 
1.3.6. 영어 자음의 변이 현상 
1.4. 모음의 분류 및 한국어와 영어의 모음 체계 
1.4.1. 모음의 분류 
1.4.2. 한국어 서울 방언의 모음 체계와 모음 변화 
1.4.3. 미국 영어의 모음 체계와 모음 변화 
1.5. 초분절음의 요소 및 한국어와 영어의 초분절음 체계 
1.5.1. 음절의 구조 
1.5.2. 영어 낱말 강세의 패턴 
1.5.3. 억양 패턴 
1.6. 말소리 파형 

제2장 음성 체계 연구 방법 
2.1. 음성 실험 방법 
2.1.1. 녹음 자료의 선정 
2.1.2. 실험 참가자 모집 
2.1.3. 녹음 방법 및 분석 
2.2. 길이의 측정 
2.3. 모음의 분석 
2.3.1. 모음의 음향 특성과 분석 방법 
2.3.2. 스펙트로그램 선택 사항 및 모음 분석 예 
2.4. 자음의 분석 
2.4.1. 자음의 음향 특성 
2.4.2. 폐쇄음 조음 위치의 분석 방법 
2.5. 음높이의 분석 

제3장 언어 간의 음성 차이 
3.1. 음성학과 음운론의 관계 
3.1.1. 문법 외 부문으로서의 음성학 
3.1.2. 언어 간의 음성 차이와 음성 문법 
3.1.3. 통합 부문으로서의 음성학과 음운론 
3.2. 언어 특수적인 동시 조음 
3.2.1. 자음 체계와 모음-모음 동시 조음의 정도 
3.2.2. 모음 체계와 모음-모음 동시 조음의 정도 
3.2.3. 음운 체계와 자모음 동시 조음 
3.2.4. 동시 조음 정도의 언어 간 임의적인 차이 
3.3. 폐쇄음의 유무성에 따른 선행 모음의 길이 차이 
3.4. 초분절음 단계에서의 언어 특수적인 음성 실현 
3.5. 음성 현상의 언어 간 반대 패턴 

제4장 모국어 음성 체계의 형성 
4.1. 모국어 지각 체계의 구성 과정 
4.2. 말소리 습득의 단위와 어린이의 동시 조음 
4.2.1. 말소리 습득의 단위 
4.2.2. 어린이의 모국어 특수적인 동시 조음 습득 

제5장 외국어 음성 이론 
5.1. 외국어 음성 학습의 제반 요인들 
5.2. 모국어와 외국어의 통합 음성 체계 
5.3. 음성 학습 모델 
5.3.1. 음성 학습 모델의 기본 가정 
5.3.2. 음성 학습 모델의 가설 및 관련 연구 결과 
5.3.3. 추가의 연구 결과 및 논의 사항 
5.4. 지각 동화 모델 
5.4.1. 지각 동화 모델의 근간 
5.4.2. 외국어 말소리의 지각 동화 패턴 
5.5. 모국어 자석 모델 
5.5.1. 모국어 자석 효과 
5.5.2. 외국어 음성 이론과의 비교 및 문제점 
5.6. 일반 음성 이론과 외국어 음성 현상 
5.6.1. 조음 음운론 
5.6.1.1. 음성 내용과 음운 구조의 관계 
5.6.1.2. 조음 제스처의 구성과 배열 
5.6.1.3. 보편 음성 영역과 모국어 음운 공간 
5.6.2. 사례 기반 모델 
5.6.2.1. 사례 기반 모델의 기본 가정 
5.6.2.2. 사회 음성적인 변이 현상 
5.6.2.3. 외국어 모음의 구별과 사례 기반 모델 
5.6.3. 적응 분산 이론과 이중 언어 모음 체계 

제6장 외국어 음성 현상 
6.1. 외국어 자음의 현상과 이론 
6.1.1. 폐쇄음의 VOT 값 
6.1.1.1. 스페인어 모국어 화자의 영어 폐쇄음 체계 
6.1.1.2. 조음 위치에 따른 영어 유성 폐쇄음의 학습 
6.1.1.3. 범언어적인 연구 결과와 일반화 
6.1.2. 외국어 음성 범주의 형성에 변이형의 중요성 
6.1.3. 설정 폐쇄음의 조음 위치에 대한 다수의 음성 신호 
6.2. 외국어 모음의 현상과 이론 
6.2.1. 유사한 외국어 모음과 음성 학습 모델 
6.2.1.1. 불어의 새로운 모음과 유사한 모음 
6.2.1.2. 새로운 모음과 유사한 모음의 학습 순서 반례 
6.2.2. 일본어 모국어 화자의 영어 축소 모음 조음 
6.2.3. 이중 언어 화자의 통합 모음 체계 
6.2.3.1. 통합 모음 체계의 구성 
6.2.3.2. 모국어 모음의 재형성 
6.2.3.3. 학습 시작 나이에 따른 외국어 모음 값 
6.2.3.4. 동시 학습자와 통합 모음 공간의 세분화 
6.2.4. 캐나다 영어와 캐나다 불어 이중 언어 화자의 고모음 체계 
6.2.5. 학습 나이 효과의 종적인 연구 
6.2.6. 외국어의 이중 모음 
6.3. 외국어 동시 조음의 현상 
6.3.1. 설정 폐쇄음에 인접한 후설 모음의 동시 조음 
6.3.2. 후설 모음에 인접한 설정 폐쇄음의 동시 조음 
6.4. 외국어 초분절음의 현상 
6.4.1. 외국어의 억양 패턴 
6.4.2. 외국어의 낱말 길이 
6.5. 이중 언어의 뇌 과학적 연구 
6.5.1. 외국어 학습 시작 나이와 이중 언어의 뇌 영역 
6.5.2. 음성 단계의 이중 언어 뇌 영역 

제7장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영어 음성 체계 
7.1.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체계 
7.1.1. 어말 폐쇄음 파열의 통계적인 특성 
7.1.2. 한국어와 영어 이중 언어 화자의 폐쇄음 체계 
7.1.3. 영어 어말 폐쇄음 유무성의 선행 모음 길이 및 폐쇄 길이 신호 
7.2. 한국어와 영어의 모음 체계 
7.3. 영어의 초분절음 체계 
7.3.1. 영어 낱말의 강세 패턴 
7.3.2. 영어 무강세 모음의 음성 신호들 
7.3.3. 다수의 초분절음 요소와 학습 시작 나이 
7.3.4. 외국어 초분절음 훈련의 효과 
7.4. 분절음 및 초분절음의 요소와 외국어 악센트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