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시민의 교양 :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24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채사장
서명 / 저자사항
시민의 교양 :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 채사장 지음
발행사항
서울 :   Whale Books,   2015   (2016 14쇄)  
형태사항
348 p. : 삽화, 도표 ; 21 cm
ISBN
9791195677108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6605
005 20160527130157
007 ta
008 160105s2015 ulkad 000c kor
020 ▼a 9791195677108 ▼g 031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1.09519 ▼2 23
085 ▼a 301.0953 ▼2 DDCK
090 ▼a 301.0953 ▼b 2015z22
100 0 ▼a 채사장 ▼0 AUTH(211009)37269
245 1 0 ▼a 시민의 교양 : ▼b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 ▼d 채사장 지음
260 ▼a 서울 : ▼b Whale Books, ▼c 2015 ▼g (2016 14쇄)
300 ▼a 348 p. : ▼b 삽화, 도표 ; ▼c 21 cm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117488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1175116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7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117512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212352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2123552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4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212367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310503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513295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117488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1175116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7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117512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212352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2123552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212367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310503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1.0953 2015z22 등록번호 1513295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7가지 현실 인문학. 저자 채사장은 전작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에서 인문학의 다양한 분야를 하나로 꿰뚫어냈다. 이번에는 쭉쭉 지나치던 파노라마의 굽이마다 멈춰 서서, 사려 깊게 현실을 들여다보고 그에 맞는 지식들을 풀어내준다.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는 잔잔하게 펼쳐지면서도 우리 삶에 직구로 파고든다. 그 순간 독자는 강렬하게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인문학 지식을 단순히 이론에 그치게 하지 않고 현실적인 문제들과 연결해준다. 경제를 기반으로 사회, 정치, 역사, 철학, 윤리 등 인문학 전반을 자유자재로 엮어내며, 바로 이 순간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살아 숨 쉬는 지식을 전달한다. 당신이 평범한 삶, 저녁이 있는 삶, 먹고살 걱정 없는 삶을 꿈꾸는 보통의 시민이라면 자신 있게 이 책을 권한다.

“세계에 대한 단순한 구분,
이것이 시민이 갖춰야 할 최소한의 교양이다.”

이 시대 가장 보통 사람들이 알아야 할 실전 지식

한 달 다운로드 500만, 아이튠즈 2015 팟캐스트 1위
65만 독자가 열광한 올해의 베스트셀러, 올해의 저자
채사장이 인문학을 끌어안고 현실로 뛰어들었다


당신은 한 국가의 대통령이다. 어느 날 당신에게 빨간 버튼이 하나 배달되었다. 누르면 세금이 올라가고, 누르지 않으면 세금이 내려간다. 대통령이라면 이보다 더 중요한 할 일이 많을 텐데 왜 하필 세금인지 의아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선택으로 국가의 미래가 결정되고, 사회 구성원들의 삶이 결정된다. 세계의 방향은 극단적으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세금이 높아 복지가 확대되는 사회와 세금이 낮아 복지가 축소되는 사회.
《시민의 교양》은 ‘선택’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대통령의 비서실장이 이 선택을 결정할 국가의 주인을 찾아 길을 떠나며 이야기는 뻗어나간다. 그 과정에서 지금 이 시대에 자유란 무엇인지, 자본주의 시대에 직업의 의미는 무엇인지, 정말로 중요한 교육의 문제는 무엇인지, 다양하게 부딪히는 사회 문제들의 본질은 무엇인지 알아나간다. 마지막으로 지금, 여기를 살고 있는 보통의 우리들이 맞이할 미래 모습을 그려본 후, 현재의 선택의 문제로 되돌아온다. 어느덧 독자는 다시 버튼 앞에 설 것이다. 그리고 책을 덮으며 삶의 방향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저자 채사장은 앞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에서 인문학의 다양한 분야를 하나로 꿰뚫어냈다. 마치 20회 장편드라마를 10분짜리 파노라마로 압축해서 보는 것 같았다. 이 책 《시민의 교양》에서 채사장은 쭉쭉 지나치던 파노라마의 굽이마다 멈춰 서서, 사려 깊게 현실을 들여다보고 그에 맞는 지식들을 풀어내준다.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는 잔잔하게 펼쳐지면서도 우리 삶에 직구로 파고든다. 그 순간 독자는 강렬하게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인문학이 삶을 바꿀 수 있다는 명제는 이 책에서 비로소 확인될 것이다.

생생한 현실에 적용하지 못하는 지식은 힘이 없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7가지 현실 인문학
<세금, 국가, 자유, 직업, 교육, 정의, 미래>


누구나 나면서부터 ‘시민’이 된다. 국가에 포함되고, 사회 안에서 자라며, 개인은 시민으로서 국가를 결정짓는다. 시민은 오늘을 살아가는 평범한 ‘권리’다. 저자 채사장은 ‘현실적 인문학’의 대상을 고민하다가 이 ‘시민’이라는 주체와 만났다.
당신은 시민으로서의 삶을 살고 있는가? 시민임을 망각한 채 혹은 외면한 채 현실에 휩쓸려, 제대로 된 선택을 못하면서 살고 있지는 않은가? 이 불안한 시대에서 인문학적 지식이란 알면 좋은 것에 그치지 않는다. 모르고 외면하면 당하기 마련이다. 당신은 지금 이 시대를 제대로 이해하며 살고 있는가?
시민으로서 정당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마땅히 알아야 할 현실적 지식들이 있다.

이 책은 인문학 지식을 단순히 이론에 그치게 하지 않고 현실적인 문제들과 연결해준다. 경제를 기반으로 사회, 정치, 역사, 철학, 윤리 등 인문학 전반을 자유자재로 엮어내며, 바로 이 순간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살아 숨 쉬는 지식을 전달한다. 당신이 평범한 삶, 저녁이 있는 삶, 먹고살 걱정 없는 삶을 꿈꾸는 보통의 시민이라면 자신 있게 이 책을 권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채사장(지은이)

2014년 겨울에 출간한 첫 책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이 밀리언셀러에 오르며 2015년 국내 저자 1위를 기록했다. 차기작으로 현실 인문학을 다룬 《시민의 교양》과 성장의 인문학을 다룬 《열한 계단》, 관계의 인문학을 다룬 《우리는 언젠가 만난다》까지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200만 명이 넘는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책과 동명의 팟캐스트 <지대넓얕>은 장기간 팟캐스트 순위 1위를 기록하며, 정치 내용 판도의 팟캐스트 시장에 돌풍을 일으켰다. 2015년 아이튠즈 팟캐스트 1위를 기록, 현재까지 누적 다운로드 2억 건을 넘어서며, 방송이 끝난 지금도 여전히 지적 대화를 목말라 하는 청취자들의 끝없는 지지를 받는 중이다. 성균관대학에서 공부했으며 학창시절 내내 하루 한 권의 책을 읽을 정도로 지독하게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았다. 문학과 철학, 종교부터 서양미술과 현대물리학을 거쳐 역사, 사회, 경제에 이르는 다양한 지적 편력 그리고 오랜 시간 동안 사회생활을 하며 얻은 경험들은 오늘 그가 책을 쓰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지적 대화를 통해 기쁨을 느끼고, 주변 사람들과 넓고 얕은 지식의 공통분모로 대화하고자 이 책을 썼다. 모두가 자신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고 타인과 대화하는 즐거움을 찾기를 바란다. 현재는 글쓰기와 강연 등을 통해 많은 사람과 만나며 삶과 분리되지 않은 인문학을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살아 있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 

1. 세금 

사회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 
어느 날 대통령에게 버튼이 하나 배달되었다 

한국의 상황 
전문가들의 토론을 들어보자 

누구의 세금을 높일 것인가 
대통령에게 버튼 하나가 추가되었다 

직접세와 간접세의 장단점 
다시 전문가들의 토론을 들어보자 

2. 국가 

야경국가와 복지국가 
대통령은 버튼을 누를 수 없다고 말한다 

누가 국가의 방향을 결정하는가 
역사 속 국가의 주인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네 가지 국가체제 
아시다시피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국가의 체제와 정당의 이름 
이름에는 정체성이 숨어 있다 

3. 자유 

시민의 탄생 
인류는 종착점에 도달했다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자유를 주마, 단 조건이 있다 

구매의 자유 
우리에게는 생산수단을 구매할 자유가 있다 

4. 직업 

직업의 종류 
직업은 단 네 가지뿐이다 

직업군의 관계 
이제 계급 갈등의 양상은 달라졌다 

어떤 직업을 선택할 것인가 
좋아하는 일, 잘하는 일 따위는 없다 

5. 교육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우리는 내용이 아니라 형식으로 교육된다 

우리가 교육받는 것 1-진리에 대한 이념 
고정불변의 진리는 있다, 없다 

우리가 교육받는 것 2-경쟁의 정당성에 대한 믿음 
경쟁은 정당하다, 정당하지 않다 

교육 문제의 근본으로서의 경제체제 
일자리를 늘릴 것인가, 소득격차를 줄일 것인가 

6. 정의 

정의에 대한 두 가지 관점 
다른 것은 다르게 vs 같은 것은 같게 

윤리에서의 정의 
수직적 정의관 vs 수평적 정의관 

경제에서의 정의 
차등적 분배 vs 균등적 분배 

정치에서의 정의 
보수의 선택 vs 진보의 선택 

7. 미래 

미래사회를 판단하는 기준 
시민은 미래를 선택함으로써 오늘을 역사로 바꾼다 

국제사회: 화폐 
세계의 미래를 이해하기 위하여 

국내사회: 인구 
한국의 미래를 이해하기 위하여 

에필로그: 시민이 돌아왔다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