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55998 | |
005 | 20151230155419 | |
007 | ta | |
008 | 151230s2015 ulka 000c kor | |
020 | ▼a 9791195046348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3796102 | |
040 | ▼a 221016 ▼c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618.92 ▼2 23 |
085 | ▼a 618.92 ▼2 DDCK | |
090 | ▼a 618.92 ▼b 2015 | |
100 | 1 | ▼a 이상봉 |
245 | 2 0 | ▼a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x Evidence based approach : ▼b 소아편 / ▼d 이상봉 지음 |
260 | ▼a 서울 : ▼b 바른의학연구소(주), ▼c 2015 | |
300 | ▼a 1048 p. : ▼b 삽화 ; ▼c 23 cm | |
653 | ▼a 소아과 ▼a 초보엄마 ▼a 아이진료 ▼a 일차진료 | |
940 | ▼a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8.92 2015 | Accession No. 1310500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의학교육과 지식을 통합하는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청사진에 기초하여 이상봉 대표가 직접 집필한 근거중심의 의료지침서. 권위있는 저널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구성으로 최신 가이드라인과 지견을 충실이 반영하였으며 소아과 일차진료를 위한 주요 토픽을 총 망라하여 실제 진료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학교육과 지식을 통합하는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청사진에 기초하여 이상봉 대표가 직접 집필한 근거중심의 의료지침서입니다. 권위있는 저널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구성으로 최신 가이드라인과 지견을 충실이 반영하였으며 소아과 일차진료를 위한 주요 토픽을 총 망라하여 실제 진료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성인편과 마찬가지로 책의 모든 내용은 메타메딕(www.metamedic.co.kr)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Ⅰ. 바른의학연구소의 일차진료 로드맵
일차진료의 주요 영역을 체계적으로 총망라하기 위해 우선 전체적인 큰 그림을 설계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중심축+supplement 전략'을 마련하였는데, 쉽게 말해 기본적인 뼈대를 세우고 살을 덧붙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이런 것이죠.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성인편)에서는 약물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고 있지만 약처방에 대해 체계적, 포괄적으로 언급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런 부분들은 "약 처방가이드"를 통해서 보충하려 한 것입니다.
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소아편)의 경우에도 다룰 내용이 많지만 본 책에서는 충분히 다루기 힘든 중요 토픽의 경우 향후 다른 책을 통해 보완할 계획입니다. 예컨대 "성장장애", "저신장"과 연관된 내용을 더 확장하여 "성장클리닉" 이라는 책으로 보완하는 식이죠.
Ⅱ. 닥터쌤! 초보맘을 구해줘
소아 진료의 경우 제대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 못지 않게 아이의 부모를 잘 교육하고 육아전반에 대해 상담과 조언을 적절하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육아, 양육의 경험이 없는 초보맘의 경우 이런 니즈는 더욱 커서 책장에 육아서적 몇 권쯤은 꽂아두기 마련이고, 주요 육아관련 카페, 웹사이트에 가입해서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무단히 애를 쓰지요.
근거중심의 지침을 따라 올바른 진료를 제공해 주는 것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 그들의 눈높이에 맞춰 현재 아이의 상태를 잘 설명해주고, 아이의 월령, 상태에 맞춰 맞춤형 조언을 해 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소아편)의 경우 학술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진료지침서이기에 보호자 상담 및 교육을 위한 보조자료로 삼기에는 적당하지 않죠. 이에 근거중심적이면서 일반인들이 보기에도 어렵거나 부담스럽지 않은 소아질병/육아 참고서인 "닥터 쌤! 초보맘을 구해줘"를 따로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상봉(지은이)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가정의학과 전공의 수료 - 바른의학연구소(주) 대표 -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공저, 2011년, 대한의학서적) - 일차진료핫토픽: 최신지견 따라잡기(공저, 2013년, 바른의학콘텐츠연구회/대한의학서적)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2017년,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내과(공저, 2017년, 바른의학연구소) - MASTER KMLE(대표 저자,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2018년,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2019년, 바른의학연구소) - QBOOK: Case based review(2020년, 대표 저자, 바른의학연구소) -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2020년, 바른의학연구소) -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2021년,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내과 2판: Pathophysiology to Practice(2021년, 바른의학연구소) -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2021년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Evidence Based Approach(2022년,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Evidence based & Practical approach(2022년,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응급진료매뉴얼(2022년, 바른의학연구소) -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Basic approach to pain practice(2023년, 바른의학연구소)

Table of Contents
CONTENTS Section I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는 이슈 Part 01 소아청소년의 평가: 성장?발달의 평가 01 소아의 성장 평가 14 02 소아의 발달 평가 21 02-1 소아의 발달양상 21 02-2 발달 평가?발달 검사 30 Part 02 소아청소년의 평가: 식이?영양상태 평가 01 소아 청소년 식이?영양 가이드 34 02 영아기 영양섭취: 모유?분유?이유(보충)식 42 02-1 모유수유 42 02-2 인공영양(분유) 46 02-3 이유(보충)식 55 03 영양 평가 및 영양 상담 59 Part 03 소아청소년 건강문제의 치료?예방 이슈 01 수액요법 68 02 예방접종 72 03 영유아건강검진 78 03-1 영유아건강검진에 대한 이해 78 03-2 영유아건강검진의 실제(검진시기별) 98 Part 04 신생아 01 신생아 황달 108 02 신생아 피부질환 121 Section II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5 감염?전신 증상 01 발열 132 02 발진을 동반한 발열 154 03 림프절 종대 161 질환 04 홍역 171 05 풍진 184 06 볼거리 191 07 손발입병(수족구병) 198 08 수두 211 09 장미진, 돌발진 221 10 성홍열 226 11 백일해 234 12 결핵 243 Part 06 호흡기?알레르기 호흡기 01 기침 254 01-1 만성기침 263 02 천명음(쌕쌕거림) 277 [Special guide] 주요 호흡기 증상, 질환에 대한 처방 가이드 286 03 감기 294 04 급성 인두염 305 05 급성 (비)부비동염 317 06 세기관지염 336 07 크루프 349 08 인플루엔자 365 09 폐렴 376 10 수면무호흡 393 알레르기 11 천식 407 12 알레르기 비염 436 13 식품 알레르기 462 Part 07 귀, 코, 구강, 인후 01 난청 474 02 코피(비출혈) 477 03 중이염 485 03-1 급성 중이염 487 03-2 삼출성 중이염 502 04 외이도염 510 Part 08 심혈관 01 심잡음 518 02 흉통 523 03 실신 535 04 고혈압 543 05 가와사끼병 551 Part 09 소화기 01 복통 566 01-1 급성복통 566 01-2 만성복통 581 02 구역/구토 599 02-1 주기적 구토 증후군 608 03 설사 616 03-1 급성설사 619 03-2 만성설사 642 04 변비 654 [Special guide] 주요 소화기 증상, 질환에 대한 처방 가이드 669 05 급성 위장염 676 06 급성 충수염 695 07 장중첩증 703 Part 10 신장비뇨기 01 혈뇨 712 02 단백뇨 729 03 요로감염 740 04 방광요관역류 750 05 잠복고환증 759 Part 11내분비 01 비만 768 02 성장장애(저신장) 780 03 성조숙증 799 Part 12 혈액종양 01 빈혈 812 02 철결핍 빈혈 820 Part 13 신경?정신 01 열성 경련 838 02 뇌수막염 848 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859 04 자폐스펙트럼 장애 874 05 틱장애 882 Part 14 눈 01 결막염 892 02 다래끼 906 03 근시 및 시력교정 913 04 사시 919 05 약시 926 Part 15 근골격 01 척추측만증 930 02 요골두 아탈구 937 03 방아쇠수지 942 04 성장통 945 05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 949 06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956 07 염전(내족지보형) 964 08 선천성 만곡족 973 Part 18 피부 01 아토피 피부염 980 02 지루 피부염 993 03 기저귀 발진 1000 04 두드러기 1008 05 농가진 1019 06 전염성 연속증(물사마귀) 1027 07 여드름 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