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가족놀이치료 : 가족을 위한 협력적 접근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owers, Nancy Riedel, 1952-, 편 김유숙, 1953-, 역 최지원, 역 김사라, 역 Bowers, Anna, 저 Trotter, Kristin, 저 McLuckie, Alan, 저 Rowbotham, Melissa, 저 Munns, Evangeline, 저 Fraser, Theresa, 저
Title Statement
가족놀이치료 : 가족을 위한 협력적 접근 / Nancy Riedel Bowers 편저 ; 김유숙, 최지원, 김사라 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5  
Physical Medium
267 p. : 삽화 ; 24 cm
Varied Title
Play therapy with families : a collaborative approach to healing
ISBN
9788999707742
General Note
부록: 가족놀이치료 사례  
저자: Anna Bowers, Kristin Trotter, Alan McLuckie, Melissa Rowbotham, Evangeline Munns, Theresa Fraser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39-257)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Play therapy Family psychotherap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3819
005 20151221092421
007 ta
008 151211s2015 ulka b 001c kor
020 ▼a 9788999707742 ▼g 93180
035 ▼a (KERIS)BIB000013869283
040 ▼a 247009 ▼c 247009 ▼d 247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8.92/891653 ▼2 23
085 ▼a 618.92891653 ▼2 DDCK
090 ▼a 618.92891653 ▼b 2015
245 0 0 ▼a 가족놀이치료 : ▼b 가족을 위한 협력적 접근 / ▼d Nancy Riedel Bowers 편저 ; ▼e 김유숙, ▼e 최지원, ▼e 김사라 공역
246 1 9 ▼a Play therapy with families : ▼b a collaborative approach to healing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300 ▼a 267 p. : ▼b 삽화 ; ▼c 24 cm
500 ▼a 부록: 가족놀이치료 사례
500 ▼a 저자: Anna Bowers, Kristin Trotter, Alan McLuckie, Melissa Rowbotham, Evangeline Munns, Theresa Fraser
504 ▼a 참고문헌(p. 239-257)과 색인수록
650 0 ▼a Play therapy
650 0 ▼a Family psychotherapy
700 1 ▼a Bowers, Nancy Riedel, ▼d 1952-, ▼e
700 1 ▼a 김유숙, ▼d 1953-, ▼e▼0 AUTH(211009)64378
700 1 ▼a 최지원, ▼e
700 1 ▼a 김사라, ▼e
700 1 ▼a Bowers, Anna, ▼e
700 1 ▼a Trotter, Kristin, ▼e
700 1 ▼a McLuckie, Alan, ▼e
700 1 ▼a Rowbotham, Melissa, ▼e
700 1 ▼a Munns, Evangeline, ▼e
700 1 ▼a Fraser, Theresa, ▼e
900 1 0 ▼a Kim, Yoo-sook, ▼e
900 1 0 ▼a Choi, Ji-won, ▼e
900 1 0 ▼a Kim, Sa-rah,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1653 2015 Accession No. 11174695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가족치료 장면에서 가족에 포함된 아동과 청소년이 쉽게 배제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놀이를 가족치료이론에 적용하여, 상담사가 아동과 청소년이 포함된 가족들을 만나 작업할 때 다양하고 협력적인 언어 및 비언어적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역자들은 상담 현장에 보다 나은 기법을 제공하기 위해 그동안 가족놀이치료와 관련된 여러 가지 책을 함께 읽고 토론해 왔다. 이번에 번역한 Nancy Riedel Bowers의『Play Therapy with Families: A Collaborative Approach to Healing』은 그동안 우리들이 읽어 온 책들 중에서도 최근의 저서다. 저자는 이 분야의 선구자인 Dr. Eliana Gil의 제자로서 가족놀이치료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면서, 최근의 경향인 초월적 구조주의(meta-frameworks) 모델을 사용해서 이론과 실천을 탐구하려는 점이 돋보인다. 이것은 급변하는 가정의 변화 속에서 상담사들이 놀이치료와 가족치료를 접목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가지고 내담자와 함께 작업을 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Nancy Riedel Bowers, Ph.d(지은이)

캐나다 온타리오 워털루 소재 월프리드 로리에 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및 신학대학의 교수다. 그녀는 현재 캐나다의 한 공인된 대학교의 사회복지 대학원에서 단 하나뿐인 놀이치료 수업을 강의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놀이치료수련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연구자이자 국제적인 워크숍 발표자로서 그녀는 특히 아동과 놀이치료의 분야에서 심리치료적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그녀의 수많은 저서와 연구 논문에서 놀이치료의 세심한 계획과 개입을 위한 선택적 대안들을 포함한 치료 단계들을 언급하고 있으며 최근‘놀이의 재정의(Redefinition of Play)’에 대한 국제 연구를 완성하였다. 또한 그녀는 APT 교육과정의 훈련자이며, APT와 CACPT의 지도감독자다.

김유숙(옮긴이)

일본 도쿄(東京) 대학교 의학부에서 임상심리를 전공했으며,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깨닫고 일본 국립정신건강연구소 가족치료실에서 훈련을 받았다. 귀국한 후부터 현재까지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에게 가족치료를 가르치는 동시에, 실천 현장에서 도움을 청하는 가족들을 꾸준히 만나고 있다. 한스카운셀링센터에서 수석상담위원직을 맡아 내담자를 만나고 있는데, 최근에는 그들과의 작업을 통해 이야기치료라는 접근이 가진 매력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흔적은 『심리치료이론과 가족치료』 『아동과 청소년 심리치료』 『놀이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등의 저서와 『사회구성주의와 심리치료』 『이야기치료』 『존엄치료』 『가계도』 『가족치료의 기술』 등의 역서에서 찾을 수 있다.

최지원(옮긴이)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초빙교수이자 서울사이버대학교 가족상담학과 겸임교슈이다. 상담심리 전문가이자 부부 및 가족상담 전문가, 이야기치료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아동문제와 가정문제, 이야기치료에 관한 다수의 저서를 집필하고 치료도구를 개발해왔다. 대표 저서로는 ≪아동과 청소년 문제해결 시리즈(공저)≫와 ≪놀이를 활용한 이야기치료(공저)≫가 있다.

김사라(옮긴이)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박사수료(상담 및 임상심리 전공) 현)전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한스카운셀링센터 상임연구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편저자 서문 

제1장 놀이는 우리의 아동들을 위한 목소리 
변화하는 사회의 가족 
이 책의 목적 
치료도구로서의 놀이 
가족치료의 새로운 모델: 협력적인 놀이치료 

제2장 맥락 설정: 놀이와 치료적 적용 
세계적인 맥락에서 놀이는 무엇인가 
놀이의 정의 
관계발달과 선택된 놀이이론들에 대한 검토 
놀이이론의 역사 
놀이의 요약과 관계의 발달에 관한 놀이의 적용 
놀이에서 부모와 형제자매의 영향 
놀이의 치료적인 요인 
놀이치료 과정에서 관계의 발달을 강조하는 역사 
놀이치료의 현대 모델 

제3장 가족치료 
가족치료의 짧은 역사 
가족치료 
초월적 구조주의 모델: 하나의 초월이론 
여섯 가지 초월패턴 또는 초월분야 
교류의 패턴: 연속적인 사건들, 초월구조 
지도력, 균형, 그리고 조화: 조직적인 초월구조 
발달의 초월구조 
문화적 초월구조주의 
성 초월구조주의 
치료를 위한 유연한 청사진 

제4장 가족놀이치료 

제5장 가족과 함께하는 이야기 놀이치료 
가족과 함께하는 이야기 놀이치료를 향한 우리의 여정 
가족과 함께하는 이야기 놀이치료: 핵심적인 이론과 원리 
가족치료를 향한 사회구성주의의 접근 
실재: 언어를 통해 구성되다 
실재: 이야기를 통해 구성되고 유지된다 
포스트모더니즘과 다각도의 실재: 근본적인 진실은 없다 
치료적 위치: 통합, 비계대화, 그리고 탈중심화 하기 
가족과 함께하는 이야기 놀이치료의 과정 
단계에 개입하고 시작하기 
해체-외재화 단계 
재구성 단계 

제6장 부모자녀 놀이치료와 치료놀이 
서 론 
부모가 자녀에게 실시하는 놀이치료 
치료놀이 
종 결 

제7장 모래, 물, 상징물과 모래 상자를 사용해서 입양가족과 작업하기 
최근 생겨난 부모자녀관계: 규칙, 역할, 의사소통, 그리고 문제해결 
미해결된 분리와 상실: 아동 개인을 위한 처치 이슈 
발전적으로 부모화되기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박명화 (2022)
대한신생아스크리닝학회 (2022)
대한유방영상의학회 (2022)
Mellenthin, Clai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