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53361 | |
005 | 20151216113712 | |
007 | ta | |
008 | 151211s2015 ulka 000c kor | |
020 | ▼a 9788960605558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3811469 | |
040 | ▼a 211060 ▼c 211060 ▼d 211009 | |
082 | 0 4 | ▼a 659.1 ▼a 658.4012 ▼2 23 |
085 | ▼a 659.1 ▼2 DDCK | |
090 | ▼a 659.1 ▼b 2015z3 | |
100 | 1 | ▼a 탁정원 |
245 | 1 0 | ▼a 기회의 99%는 컨셉으로 만든다 : ▼b 카피라이터 탁정언의 컨셉 특강 / ▼d 탁정언 지음 |
246 | 3 | ▼a 기회의 구십구퍼센트는 컨셉으로 만든다 |
260 | ▼a 서울 : ▼b 원앤원북스, ▼c 2015 | |
300 | ▼a 359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컨셉을 실무에 적용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근본적인 의문점과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지침서! | |
500 | ▼a 이 책은 『기획의 99%는 컨셉이다』의 개정판임 | |
740 | 2 | ▼a 기획의 99%는 컨셉이다 |
940 | ▼a 기획의 구십구퍼센트는 컨셉이다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 2015z3 | Accession No. 1117467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0년간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기획의 99%는 컨셉이다>의 완전 개정판. '컨셉은 기획의 알맹이'라는 기존 도서의 맥락을 그대로 이어가지만 전작과는 다르게 컨셉을 실무에 적용할 때 겪는 어려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다룬다.
사실 "컨셉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이제 진부하다. 컨셉은 이미 광고.마케팅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보편적인 용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잘 활용하고 있는가?"라고 묻는다면 사정은 달라진다. 컨셉을 실무에 적용해본 사람이라면 컨셉이 벽에 부딪히는 경험을 한 번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컨셉 적용의 어려움과 의문점에 대해 저자는 '컨셉의 전제'로 명쾌하게 풀어낸다. 더불어 컨셉 도출법과 사용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 있으니, 이 한 권의 책으로 컨셉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기회를 기다리지 말고, 컨셉으로 기회를 만들어라!
10년간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기획의 99%는 컨셉이다』의 완전 개정판 『기회의 99%는 컨셉으로 만든다』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컨셉은 기획의 알맹이’라는 기존 도서의 맥락을 그대로 이어가지만 전작과는 다르게 컨셉을 실무에 적용할 때 겪는 어려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다룬다. 사실 “컨셉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이제 진부하다. 컨셉은 이미 광고.마케팅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보편적인 용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잘 활용하고 있는가?”라고 묻는다면 사정은 달라진다. 컨셉을 실무에 적용해본 사람이라면 컨셉이 벽에 부딪히는 경험을 한 번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컨셉 적용의 어려움과 의문점에 대해 저자는 ‘컨셉의 전제’로 명쾌하게 풀어낸다. 더불어 컨셉 도출법과 사용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 있으니, 이 한 권의 책으로 컨셉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우리는 다양한 조직문화 안에서 살아간다. 자신이 속한 조직이 목표지향적이며 열린 문화를 가진 곳이라면 컨셉의 활용이 좀더 수월할 것이다. 잘 형성된 컨셉의 전제는 컨셉에 날개를 달아주는 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조직에 속해 있지 않다고 해서 외부 조건만 탓할 수는 없지 않을까? 우리들 대부분은 컨셉의 전제가 제대로 형성된, 이상적인 조직문화를 자랑하는 조직에 속해 있지 않으니 말이다. 불평불만으로는 좋은 컨셉을 도출할 수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자신의 문화적 배경과 환경을 먼저 파악하고 이를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서 컨셉의 기회를 찾아야 한다. 기회는 외부에 있지 않다. 따라서 컨셉의 시작도 밖이 아니라 안에서 있다. 즉 열린 조직문화를 찾아다니느라 다가온 기회를 놓치지 말고 컨셉을 가지고 기회를 만드는 데 집중하자. 준비만 되어 있다면 컨셉으로 기회를 만들고, 다가온 기회도 움켜쥘 수 있다.
컨셉의 전제를 넘는 절대불변의 컨셉을!
이 책은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컨셉의 전제’에서는 통했다, 안 통했다 하는 컨셉의 가변성을 컨셉의 전제로 설명하며 이를 뛰어넘는 절대불변의 컨셉에 대해 이야기한다. 2부 ‘컨셉=기획의 알맹이’에서는 컨셉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을 명료하게 알려주며, 이와 혼동되는 아이디어와의 차이를 명확히 짚어준다. 또한 생생한 사례를 바탕으로 컨셉의 본질에 대해 쉽게 설명한다. 3부 ‘논리 프로세스와 컨셉트리’에서는 컨셉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다양한 구성요소로 성장하는 나무처럼 컨셉 역시 논리 프로세스에 기반한 컨셉트리를 통해 유기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컨셉의 시드(seed)를 어떤 환경과 토양에 심느냐에 따라 건강한 컨셉트리를 키우고 컨셉 도출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리고 그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 SWOT 분석, BCG 매트릭스, FCB 그리드, PEST 분석을 소개한다. 이렇게 파악한 환경에 뿌리내린 시드가 목표로 하는 표적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4부 ‘직관적 발상과 컨셉 인사이트 모델’에서는 논리 프로세스의 맹점을 이야기하며 직관적 발상에 주목하라고 말한다. 특히 컨셉 인사이트가 되기 위한 3가지 조건을 제시하는데, 첫째는 경험, 둘째는 지식, 셋째는 인과구조의 신념체계의 탈피다. 즉 컨셉 인사이트에서는 기존에 믿고 있던 것과는 다른 직관의 세계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덧붙여 의도.비선형.탈분류라는 개념과 패턴인식.의미부여.언어화의 방법을 소개하며 컨셉에 한층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한다. 5부 ‘생각과 언어의 동시성’에서는 점화효과.워딩.은유.조립.생명화.스토리.타화수분 등을 소개하며 머릿속 개념을 언어화해 컨셉으로 끄집어내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방법들을 잘 익혀둔다면 컨셉을 도출하는 일이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6부 ‘컨셉의 조건’에서는 도출된 컨셉을 검증하는 8가지 조건들을 제시한다. 이 책에 나온 컨셉 도출의 전략과 조언들을 마음에 새겨 노력한다면 절대불변의 컨셉을 만나게 될 것이다.
네티즌 평
이 책을 읽고 나니 컨셉 잡기는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었다. 컨셉 잡기는 인생을 살아가는 목표와 삶의 방법을 생각하는 것이며, ‘오늘 하루 어떻게 보낼까?’ 하는 간단한 것일 수도 있다.
네이버 ID myplanup
컨셉을 이보다 자세히 설명한 책은 없다.
네이버 ID marketer_won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컨셉의 중요성과 컨셉을 만들어나가는 방법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특히 컨셉트리는 기획 작업을 할 때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 이상의 가치와 시각을 제시해준다.
네이버 ID codein6
이 책은 과거의 나에게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주었고, 현재의 나에게 실무에 대한 것을 돌아보게 해준다.
네이버 ID t_writer
이 책은 기획의 알맹이인 컨셉, 하지만 알 듯 말 듯 안갯속 같기만 한 컨셉이라는 개념에 대해 집요하게 물고 늘어져 그 실체를 알려주는 컨셉 이론서이자 당장 실전에 써먹을 수 있는 기막힌 지침서다.
네이버 ID terryx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탁정언(지은이)
1987년 소설문학 신인상 수상으로 문단에 등단한 이후 줄곧 글을 써오고 있다. 19년 전 명상을 시작하고, ‘나는 무엇인가?’ ‘나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하는 내면의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탐구의 길을 걸어왔다. 13년 전부터는 기원전부터 지상에 존재했고, 지금 이 순간에도 현존하는 선각자들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면서 알아차림 명상과 글쓰기를 접목하여 명상하는 글쓰기 수행을 해오고 있다. 바쁜 와중에도 일과 수행을 분리하지 않은, 하나의 통합된 흐름으로 길을 만들고 수행을 지속하고 있다. 문단 등단 후 첫 책 『매일 사표 쓰는 남자』가 베스트셀러 대열에 올랐으며, 장편소설 『이름 없는 전쟁』, 에세이 『나쁜 일은 좋은 일이다』, 동화 『얼굴만 예쁘면 단가?』 등 수십여 권의 책을 집필했다. 또한 『기획의 99%는 컨셉이다』 『컨셉의 연금술사』 『죽이는 한마디』 등을 출간하여 기획과 콘셉트, 마케팅 글쓰기의 나침반을 만들었으며, 국내 최초로 『일하면서 책쓰기』를 출간하여 누구나 책을 쓰는 시대를 열었다.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기획의 99%는 컨셉이다』 개정판을 내면서 10년이라는 세월이 가져다준 혜안 1부 컨셉의 전제 미국이 초고속인터넷 경쟁에서 뒤처진 이유 컨셉은 기회와 맞닿아 있다 컨셉이 벽에 부딪치는 이유 소신과 열정 사이 컨셉 불변의 법칙 컨셉 사용법 2부 컨셉=기획의 알맹이 컨셉은 개념이다 아이디어는 아이디어일 뿐이다 컨셉은 도출하고, 추출하고, 찾아내고, 꿰뚫는다 컨셉은 지금까지 없던 ‘무엇’이다 기획은 지금까지 없던 것을 짜내는 일이다 기획의 내용이 전략이다 컨셉은 전략의 알맹이다 컨셉은 주장하지 않는다 3부 논리 프로세스와 컨셉 트리 한 그루 나무가 된 기획서 논리 프로세스의 원형 컨셉의 시드 컨셉의 상황 컨셉트리의 목적과 목표 컨셉의 표적 컨셉, 부정과 비움 컨셉의 발현 컨셉 시나리오 4부 직관적 발상과 컨셉 인사이트 모델 논리 프로세스의 맹점과 직관 직관과 컨셉 인사이트 컨셉 인사이트의 조건 컨셉 인사이트 모델 의도·비선형·탈분류 패턴인식 의미부여 언어화 5부 생각과 언어의 동시성 점화효과 워딩 은유 조립 생명화 스토리 타화수분 6부 컨셉의 조건 나는 신뢰받고 있는가? 유니크한가? 차별화했는가? 연관성이 있는가? 고객지향적인가? 여건을 의식하고 있는가? 즉시 반응이 오는가? 시나리오가 있는가? 에필로그 심야 도박장의 데카르트 『기회의 99%는 컨셉으로 만든다』 저자와의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