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53067 | |
005 | 20151209120132 | |
007 | ta | |
008 | 151207s2015 ulkcf 000cp kor | |
020 | ▼a 9791195464074 ▼g 04800 | |
035 | ▼a (KERIS)BIB000013772430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895.715 ▼2 23 |
085 | ▼a 897.17 ▼2 DDCK | |
090 | ▼a 897.17 ▼b 김원명 겨 | |
100 | 1 | ▼a 김원명 ▼g 金元明 ▼0 AUTH(211009)55889 |
245 | 1 0 | ▼a 겨울조각달 : ▼b 김원명 시집 / ▼d 김원명 |
260 | ▼a 서울 : ▼b 새미 : ▼b 국학자료원, ▼c 2015 | |
300 | ▼a 239 p., 도판 [1]장 : ▼b 초상화 ; ▼c 21 cm | |
440 | 0 0 | ▼a 새미현대시선 ; ▼v 20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7 김원명 겨 | 등록번호 1117463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17 김원명 겨 | 등록번호 1513275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7 김원명 겨 | 등록번호 1117463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17 김원명 겨 | 등록번호 1513275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새미 현대 시선 20권. 김원명 시집. 아리스토텔레스는 희망이란 눈뜨고 있는 꿈이라했는가 하면, 잠자고 있지 않은 인간의 꿈이라고도 말했다. 김원명 시인의 시편들은 '희망의 꿈꾸기'를 표현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희망이란 눈뜨고 있는 꿈이라했는가 하면, 잠자고 있지 않은 인간의 꿈이라고도 말했다. 이번에 상재하는 김원명 시인의 시편들은 ‘희망의 꿈꾸기’를 표현하고 있다.
알밤이 저절로 벌어져 떨어지듯 그의 의식 심층에는 아내의 곁으로 수월하게 가지기를 기원하는 희망공간이 내재되어 있다. 그의 시간관념은 늦가을과 한겨울이 맞닿아있다. 그리고 ‘하늘’과 ‘꿈’이
‘아내’의 ‘바늘’과 함께 그러한 바람의 분위기를 돕고 있다. <겨울 조각달>에 나타난 김원명 시인의 시세계는 그리움의 대상과의 상봉을 위한 바람 시의 꿈꾸기로 집약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제1부 붓끝의 숨결 촛불 = 15 탱자나무 = 16 독 = 18 개심사 종 = 20 동강 할미꽃 = 22 그리움의 나이테 = 24 마네킹 = 26 아주머니 = 28 붓끝의 숨결 = 30 배추밭 농장 2 = 32 농우(農牛) = 34 사과의 길 = 36 9월의 정오 = 38 돌탑 = 40 들녘의 배롱나무 = 42 국화차 한 잔 = 44 모과 분재 = 46 거울 = 48 조각달 = 50 뜬소문 = 52 어둠을 사르다 = 54 그 여름밤 = 56 저 노을 어디쯤 = 58 회전문 사람들 = 60 구미초(狗尾草) = 62 가로수 = 64 제2부 겨울 목화송이 복숭아 1 = 67 하늘 = 68 노을에 스러지다 = 70 나상(裸像) = 72 빙하기 고엽(枯葉) = 74 박달나무 주걱 = 76 불통(不通) = 78 징검돌 2 = 80 바늘귀 = 82 칡소 = 84 키 큰 소나무 = 86 퇴화 중 = 88 큰 소나무 = 90 비석 = 92 성탄 전야 = 94 연분 = 96 긴 겨울 호수 = 98 사랑의 크기 = 100 겨울 목화송이 = 102 달맞이 꽃 = 104 꽃무릇 = 106 아버지의 창 = 108 파랑새 = 110 밥의 노예 = 112 제정신 가진 분이 계시거든 = 114 제3부 해와 구름과의 거리 크리스탈 컵 = 121 11월 = 122 늦가을 벤치 = 124 환절기 1 = 126 장죽(長竹) = 128 보름달 = 130 베개 = 132 마른 꽃 = 134 지워지는 중 = 136 황색 배꼽 = 138 심심상인(心心相印) = 140 갈대의 몸짓 = 142 솟대 = 144 휴대폰 = 146 9월이 오면 = 148 객토(客土) = 150 빨간 자전거 = 152 해와 구름과의 거리 = 154 짓무름 = 156 보리밭 밟기 = 158 겨울 뒤편 = 160 무논의 개구리들 = 162 행로(行路) 1 = 164 제4부 아름다운 침묵 노을밭 = 169 옷걸이의 사계 = 170 십일월, 당신 = 172 반짇고리 = 174 반에 반쪽의 힘 = 176 석양 = 178 아름다운 침묵 = 180 꿈 = 182 동행 3 = 184 모란꽃 명상 = 186 집사람 = 188 늦가을에 = 190 시장통 사람들 = 192 허공의 돌멩이 = 194 행로 3 = 196 소양강 처녀 = 198 불면 = 200 실업 = 202 入山 = 204 빗방울의 무게 = 206 낙조 = 208 잉걸불 = 210 못論 = 212 하늘길 = 214 재회 = 216 홍매화 = 218 등대 = 219 작품해설|김원명 시인의 시세계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