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52932 | |
005 | 20151208140947 | |
007 | ta | |
008 | 151207s2015 ggka 000c kor | |
020 | ▼a 9791158160159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3931521 | |
040 | ▼a 244007 ▼c 244007 ▼d 244007 ▼d 211009 | |
082 | 0 4 | ▼a 895.785 ▼2 23 |
085 | ▼a 897.87 ▼2 DDCK | |
090 | ▼a 897.87 ▼b 김동영 당 | |
100 | 1 | ▼a 김동영 ▼0 AUTH(211009)70704 |
245 | 1 0 | ▼a 당신이라는 안정제 / ▼d 김동영, ▼e 김병수 지음 |
260 | ▼a 파주 : ▼b 달, ▼c 2015 | |
300 | ▼a 334 p. : ▼b 천연색삽화 ; ▼c 21 cm | |
700 | 1 | ▼a 김병수, ▼e 저 ▼0 AUTH(211009)707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117462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117511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117512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안암정신건강의학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931001079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513301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117462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117511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117512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안암정신건강의학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931001079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87 김동영 당 | 등록번호 1513301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수 년 전, 미국 횡단 여행기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라는 책을 출간해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김동영은 갑자기 자신에게 찾아온 불청객 '공황장애' 그리고 함께 따라오는 '불안'과 '우울'의 감정으로 꽤나 오랫동안 아팠다. 건강검진 끝에 우연히 만나게 된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전문의 김병수와의 인연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한 달에 한 번 혹은 이 주에 한 번, 지금까지 그들은 칠 년을 만났다. 그리고 그 만남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그들은 단순한 치료자와 피치료자의 관계를 넘어서 마음을 나누는 사이가 되었다.
이 책 <당신이라는 안정제>는 환자와 그 환자의 주치의가 공동으로 집필했지만 절대 조울증이나 불안장애 그리고 공황장애를 다룬 의학도서로 봐서는 안 된다. 그저 서로 다른 시각으로 그것을 바라보는 일기 정도가 어울릴 것이다. 그들이 진료실에서는 차마 드러내지 못했던 진솔한 속내를 서로 마주하면서 찾아가는, 새로운 치료법이라고 보는 것이 좀더 정확할 것이다.
“누구나 살고 싶어서 아프다”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 작가 김동영과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전문의 김병수,
7년간의 대화를 진료실 밖으로 꺼내다
“지난여름 나는 계속 아팠습니다. 그 아픔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뼈가 부러지거나 살이 찢어져 붉은 피가 보이는 상처가 아니었습니다. 그렇다고 숫자와 그래프로 증명되는 것도 아닌, 보이지 않는 고통이었습니다. 호소할 수 없는 고통만큼 괴로운 것은 그것이 나를 고독하게 만든다는 사실이었습니다. 마치 내가 세상에 홀로 남겨진 기분이 들었습니다.” 김동영
“아픔과 긴장과 공포가 단순히 당신을 괴롭히기만 하려고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당신이 느끼는 고통과 불안은, 당신이 더이상 떠나기만 하는 존재일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내면의 목소리입니다. 당신이 느끼는 고통과 불안은, 당신이 더이상 혼자일 수만은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또다른 목소리입니다. 그리고 당신이 느끼는 고통과 불안은, 당신이 꿈을 좇아 어디론가 떠나더라도 현실을 더 많이 기억해두라고 알려주는 목소리인 겁니다.” 김병수
나는 당신에게 많은 것을 바라지 않습니다
하지만 난 당신에게 절대적으로 의지합니다
요즘 뉴스나 신문 기사에서는 현대인의 건강 문제로 ‘수면장애’니 ‘과민성 장염’이니 ‘우울증’이니 하는 의학적 용어를 심심찮게 인용한다. 좀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노출되기 쉬운 연예인들의 사례를 통해 이제 ‘공황장애’나 ‘불안장애’도 더이상 낯설고 생소하기만 한 단어는 아니다. 그것이 어디가 이상하거나 혹은 나약해서 걸리는 병이 아니라 그저 예고 없이 찾아오는 성가시고 불편한 마음의 감기일 뿐이라는 것을 우리는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런 사회적 분위기도 한몫을 했을까. 예전에는 그런 증상을 자각하더라도 스스로 드러내기를 꺼리고 감추려는 사람들이 많았다면, 이제는 자신의 문제를 겉으로 드러내고 좀더 적극적으로는 정신과 병원을 찾고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수 년 전, 미국 횡단 여행기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를 출간해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김동영은 어느 날 갑자기 자신에게 찾아온 불청객 ‘공황장애’ 그리고 함께 따라오는 ‘불안’과 ‘우울’의 감정으로 꽤나 오랫동안 아팠다. 건강검진 끝에 우연히 만나게 된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전문의 김병수와의 인연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한 달에 한두 번, 지금까지 그들은 꼬박 칠 년을 만났다. 그리고 그 만남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그들은 단순한 치료자와 피치료자의 관계를 넘어서 마음을 나누는 사이가 되었다. 이 책 『당신이라는 안정제』는 환자와 그 환자의 주치의가 공동으로 집필했지만 절대 조울증이나 불면증 그리고 공황장애를 다룬 의학도서로 봐서는 안 된다. 그저 서로 다른 시각으로 그것을 바라보는 일기 정도가 어울릴 것이다. 그들이 진료실에서는 차마 드러내지 못했던 진솔한 속내를 서로 마주하면서 찾아가는, 새로운 치료법이라고 보는 것이 좀더 정확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 책은 김동영과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꼭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함도 아니요, 그렇다고 해서 모든 증상의 민낯을 가감 없이 공개해 절망감을 주겠다는 것은 더욱이 아니다. 그저 두 사람이 담담하게 스스로를 좀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그런 과정이 비단 환자뿐 아니라 의사에게도 유의미한 성찰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마음의 깊은 울림을 준다.
또한, 의사라고 해서 무조건 씩씩한 것만도 아니며, 환자는 아프다고 해서 무조건 도움이 필요한 것만도 아니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김병수 역시 자신을 찾아온 김동영을 통해 일종의 영감을 얻고 적잖은 감동을 받았으며, 그것은 서로의 유대감을 진료실 밖으로 연장시키는 작은 씨앗이 되었다.
불안과 우울, 슬픔과 외로움을 가지고도
‘괜찮게’ 살아갈 수 있을까?
매일매일 다급하게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 현대인들은 항상 크고 작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는 자주 속이 쓰리거나 가슴이 답답해지고, 속마음을 훅 털어놓을 수 있는 나만의 대나무숲을 찾기도 한다. 뾰족한 이유 없이 화가 치밀기도 하고, 가끔은 꼼짝도 하기 싫을 만큼 무기력해지기도 한다. 늘 무언가에 쫓기듯 초조하고 밤에는 숙면을 취하기 쉽지 않다고 호소하는 사람들도 다반수다.
결국 김동영과 김병수가 진료실 밖에서 나누는 이 이야기들은, 병원에서 병명을 진단받은 사람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지점으로 통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우리는 모두 불안하고 우울하며, 슬프고 외롭다. 우리가 이상하고 나약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인간은 원래 태초부터 그렇게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그런 감정들은 살고자 하는 의지와 다름이 아니며, 살아 있음의 반증인 셈이다.
각자 너무도 다른 입장에서 그에 맞는 옷을 입고 살아가지만, 결국 우리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은 불안과 우울, 공황 그 모든 것 너머에 있을 것이다.
★ 김동영
이 책에서 ‘그’라고 부르는 사람은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전문의 김병수다. 그는 내게 정확한 병명과 무엇이 문제인지를 알려준 사람이기도 하다. 우리는 매달 한두 번씩 꼬박 7년을 만났다. 그는 그 어떤 사람보다 나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이 책에는 그와 보낸 7년간의 일들이 담겨 있다. 그렇다고 해서 간병기나 극복기로 보기보다는 불안과 우울 그리고 공황이라는 주제로 각자의 이야기를 나눈, 진료실 밖에서의 진솔한 대화쯤으로 읽어줬으면 좋겠다.
★ 김병수
이 책에서 ‘그’라고 부르는 사람은 작가 김동영이다. 7년 전 어느 날 그가 내게 찾아왔고, 우리는 그렇게 만났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만나고 있다. 그가 내게 바라는 것과 의사로서 내가 해줄 수 있는 것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가 나를 믿고 의지하는 만큼 나도 그에게 감동을 받기도 한다. 불안과 우울 그리고 공황, 그 너머의 어딘가에서 우리는 ‘자주’ 인간적으로 만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동영(지은이)
대부분 ‘생선’이라 불린다. 생선이라는 건 ‘살아가면서 단 한순간도 눈을 감지 않는 생선처럼 그 어떤 순간이 와도 눈을 감지 않고 모든 걸 지켜보며 살아가겠다’는 뜻으로 순수했던 이십대 자신에게 다짐하듯 지어줬다. 델리스파이스의 <항상 엔진을 켜둘게> <별빛 속에>, 불독맨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등의 노래를 공동으로 작사했으며, MBC와 KBS 라디오 <이소라의 오후의 발견> <최강희의 야간비행> <K의 즐거운 사생활> 등의 프로그램에서 음악작가로도 일했다. 그동안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 『나만 위로할 것』『잘 지내라는 말도 없이』 『당신이라는 안정제』(공저) 『무엇이 되지 않더라도』 『천국이 내려오다』 등을 썼다. 현재는 멋진 사람이 되기 위해 와우산로에서 재활용 쓰레기를 정리하며, 싫어증에 걸린 허스키와 그다지 영리하지 않은 고양이와 함께 삶을 견디고 있다.
김병수(지은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학박사 ‘김병수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원장. 직장인의 스트레스, 중년 여성의 우울, 마흔의 사춘기 등 한국적 특성에 기초한 세대별, 상황별 아픔에 주목하며 특히 팬데믹 이후로 변화된 정신건강 패턴을 주의 깊게 살피고 있다. 정신과 의사로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마음가짐과 꾸준한 태도를 선호한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임상교수로 근무했고 같은 병원 건강증진센터의 스트레스 클리닉에서 진료했으며 대한우울조울병학회, 한국정신신체의학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등에서 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서울 교대역 사거리에 있는 작은 의원에서 내담자들의 마음을 치유하며 다섯 번째 해를 보내는 중이다. 저자 블로그 : blog.naver.com/j993601

목차
김동영 지난여름 나는 계속 아팠습니다 김병수 어쩌면 당신의 삶이 부러웠는지 모릅니다 김동영 어느 날 내게 찾아온 그것 김병수 어느 날 그가 찾아왔다 김동영 당신이라는 안정제 김병수 나라는 안정제 김동영 그는 나에게 김동영 이미 나는 그 방법을 알고 있다 김병수 누구나 이미 알고 있다 김동영 농담도 통하지 않는 김병수 가볍고 사소한 농담처럼 김동영 기억이 없는 기억 김병수 기억의 자동조절장치가 있다면 김동영 날 불안하게 만드는 것 김병수 실존과 취향의 경계 김동영 근사한 병 김병수 용기는 두려움으로부터 김동영 내게 너무도 완벽한 날 김병수 항상 완벽할 수만은 없는 날들 김동영 낭트의 자유로운 새 김병수 나시리야의 흔들림 없는 나무 김동영 미안해, 내가 이런 사람이라서 김병수 당신이 필요하다는 고백 김동영 잠자는 남자 김병수 잠이라는 손님을 맞는 우리의 자세 김동영 공황의 첫날 김병수 그날의 의미 김동영 하늘을 날았다 김병수 벗어나기 힘들더라도 끌려가서는 안 돼요 김동영 다시 행복해질 수 있을까 김병수 마음이 이끄는 삶 김동영 불안의 규칙 김병수 불안의 대가 김동영 식어버린 침대 김병수 남자의 물건 김동영 너도 그랬구나 김병수 고통 총량의 법칙 김동영 내 모든 것이 당신을 위한 것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김동영 입원 김병수 입원의 의미 김동영 황홀하고 치명적인 알맹이들 김병수 파르마콘 김동영 정오의 우울 김병수 감정을 믿지 마세요 김동영 그녀와 담배 김병수 마음속의 타임머신 김동영 날 그만 내버려두자 김병수 이만하면 괜찮은가요? 김동영 내 질병의 역사 김병수 아픈 경험의 역사 김동영 나의 어머니 김병수 우리 모두의 어머니 김동영 생각 없는 생각 김병수 코스팅하며 다다를 곳 김동영 당신도 나와 같다면 나를 알게 될 거예요 김병수 자유를 온전히 받아들일 용기 김동영 기도보단 다짐 김병수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김동영 나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지? 김병수 다시, 눈물 앞에 앉았다 김동영 낯선 침입자 김병수 침입자의 실체 김동영 이런 나라서 미안합니다 김병수 미안하다는 말 김동영 나의 글 때문에 김병수 글을 쓴다는 것 김동영 당신의 눈을 쳐다보지 못할 때 김병수 당신 안의 두 사람 김병수 어쩌다 보니 김동영 괜찮다 아니 괜찮지 않다 김병수 절망적이라는 말 김동영 밥은 먹고 사는지 김병수 밥은 잘 먹고 다녀요, 그 너머 김동영 잘 가라 개새끼들아 김병수 도대체 누가 당신을 김동영 우리가 스스로 터득한 것 김병수 누군가가 알려준 그들의 비법 김동영 난 취한 배 그리고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 김동영 혼자보다 좋은 둘이 되기 위하여 김병수 반드시 둘이 함께 가야 하는 길 김동영 우울의 역사 김병수 다시 돌아갈 수 있다면 에필로그 김병수 그간 하지 못했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