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 : 잠에 대한 놀라운 지식 프로젝트 (Loan 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Duff, Kat, 1952- 서자영, 역
Title Statement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 : 잠에 대한 놀라운 지식 프로젝트 / 캣 더프 지음 ; 서자영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처음북스,   2015  
Physical Medium
318 p. ; 23 cm
Varied Title
The secret life of sleep
ISBN
9791185230511
General Note
잠의 과학, 잠의 문화 그리고 잠의 비밀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leep --Physiological aspects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51996
005 20151203110422
007 ta
008 151201s2015 ulk 000c kor
020 ▼a 9791185230511 ▼g 03300
035 ▼a (KERIS)BIB000013761607
040 ▼a 244007 ▼c 244007 ▼d 244007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2.8/21 ▼2 23
085 ▼a 612.821 ▼2 DDCK
090 ▼a 612.821 ▼b 2015
100 1 ▼a Duff, Kat, ▼d 1952-
245 1 0 ▼a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 : ▼b 잠에 대한 놀라운 지식 프로젝트 / ▼d 캣 더프 지음 ; ▼e 서자영 옮김
246 1 9 ▼a The secret life of sleep
246 3 9 ▼a Secret life of sleep
260 ▼a [서울] : ▼b 처음북스, ▼c 2015
300 ▼a 318 p. ; ▼c 23 cm
500 ▼a 잠의 과학, 잠의 문화 그리고 잠의 비밀
650 0 ▼a Sleep ▼x Physiological aspects
650 0 ▼a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700 1 ▼a 서자영, ▼e
900 1 0 ▼a 더프, 캣,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2.821 2015 Accession No. 1117456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좋은 잠, 나쁜 잠, 이상한 잠. 역설적이게도 깨어 있는 시간을 지배하는 것이 잠자는 시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가? 단지 푹 자야 건강한 신체를 유지한다는 이유에서만이 아니다. 우리는 꿈을 통해 객관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할 주관적인 경험을 하며 깨어 있는 삶에 대한 내성을 만든다. 또한 깨어 있는 동안 배웠던 지식과 그에 따라오는 감정을 자는 동안 곱씹으며 나의 것으로 만든다.

현대화된 서구 문명에 큰 영향을 끼친 벤자민 프랭클린이나 에디슨은 잠을 매우 미 효율적인 활동이라 보았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게으름뱅이가 자는 동안 땅을 갈아라, 그러면 팔고도 남을 만큼 많은 양의 옥수수를 얻을 것이다"라는 명언을 남겼고, 에디슨은 "밤에 8시간에서 10시간씩 자는 사람은 완전히 잠을 잘 수도 완전히 잠에서 깰 수도 없다"며 잠을 100퍼센트 채우는 건 비효율적이라 했다.

하지만 최근 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서파 수면 시간 동안 우리는 낮에 새로 배웠던 내용을 반복하며 학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로 찾기 훈련을 하고 나서 잠을 잔 쥐는 같은 훈련을 하고 잠을 자지 않은 쥐보다 길을 떠 빨리 찾는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시험 준비 시간과 상관 없이 잠을 많이 잔 쪽의 성적이 더 좋았다. 잠은 꽤 효율적인 활동이라는 사실이 속속히 밝혀지고 있다.

좋은 잠, 나쁜 잠, 이상한 잠
역설적이게도 깨어 있는 시간을 지배하는 것이 잠자는 시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가?
단지 푹 자야 건강한 신체를 유지한다는 이유에서만이 아니다. 우리는 꿈을 통해 객관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할 주관적인 경험을 하며 깨어 있는 삶에 대한 내성을 만든다. 또한 깨어 있는 동안 배웠던 지식과 그에 따라오는 감정을 자는 동안 곱씹으며 나의 것으로 만든다. 그래서 잠은 좋은 것이고, 가끔은 나쁜 것이고, 또한 이상한 것이다.

우리는 매일 두 가지 세상에서 산다

현대인의 하루를 이야기해보자. 아침에 눈을 뜨고, 각자 일터로 학교로 혹은 집에서의 일을 하러 자리를 옮긴다. 그러고는 삶에서 각자의 드라마를 만들어내다가 어느덧 해가 지고 어두워지면 흔히 우리가 잠자리라 부르는 곳으로 돌아와 눈을 감으며 하루를 끝낸다.
과연 하루는 그렇게 끝날 것인가? 외부와 단절된 채, 깨어 있던 시간에 만났던 세상과는 전혀 다른 내면의 세상과 만나게 되는 새로운 시작이 기다린다. 바로 잠이다.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고, 이상하기도 한 그 순간에 대해 우리는 아직 아무것도 모른다. 잠은 완전히 개인적인 경험이기 때문이다. 잠을 잘 때는 자기 자신을 자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정확한 진술도 할 수 없다. 일부 생생한 꿈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흐릿한 기억에 의존할 뿐이다.
그러나 여기서 이런 질문을 해볼 수 있다. 잠을 자면서 했던 경험은 소용이 없는 것일까? 남들과 공유할 수 없는 경험이지만 우리는 잠자며, 무서운 것에 쫓기고, 나무에서 떨어지며, 하늘을 날고, 성관계도 한다. 그런 경험은 우리 인생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일까? 수많은 훈련을 했던 권투선수는 다운을 당하면서도 주먹을 내뻗는다. 이후에 그 선수는 자기가 주먹을 뻗었다는 것도 기억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그 반대도 작용하지 않을까? 무의식 상태에서 했던 수많은 경험이 일상 생활에서 발현되거나 영향을 주는 것 말이다.
우리는 하루 중 거의 3분의 1일을 보내는 잠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잠을 비효율적인 시간이라 생각해서 잠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는가 하면, 잠을 남들보다 더 자는 것을 게으른 것이라 치부하기도 한다.
그러나 잠은, 저자의 말을 따르자면, 이 행성에서 살아가려면 꼭 필요한 것이고 또 하나의 신비로운 세상을 경험하는 것이다.

잠은 효율적이다

현대화된 서구 문명에 큰 영향을 끼친 벤자민 프랭클린이나 에디슨은 잠을 매우 미 효율적인 활동이라 보았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게으름뱅이가 자는 동안 땅을 갈아라, 그러면 팔고도 남을 만큼 많은 양의 옥수수를 얻을 것이다"라는 명언을 남겼고, 에디슨은 "밤에 8시간에서 10시간씩 자는 사람은 완전히 잠을 잘 수도 완전히 잠에서 깰 수도 없다"며 잠을 100퍼센트 채우는 건 비효율적이라 했다.
하지만 최근 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서파 수면 시간 동안 우리는 낮에 새로 배웠던 내용을 반복하며 학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로 찾기 훈련을 하고 나서 잠을 잔 쥐는 같은 훈련을 하고 잠을 자지 않은 쥐보다 길을 떠 빨리 찾는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시험 준비 시간과 상관 없이 잠을 많이 잔 쪽의 성적이 더 좋았다. 잠은 꽤 효율적인 활동이라는 사실이 속속히 밝혀지고 있다.
게다가 잠은 꽤 창조적인 활동이다. 폴 매카트니가 꿈에서 들었던 음율로 만들었다는 <예스터데이>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잠을 꽤나 창조적이다. 깨어 있을 때는 시간의 축을 따라가는 우리의 인식이 잠이 들면 감정의 축을 따라간다. 잠이 막 들려고 할 때는 예전의 기억과 현재의 기억이 중첩되면서 새로운 퍼즐을 만들고 그것을 풀어나간다. 구체적인 상황을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인식의 지평이 넓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자면, 잠은 매우 위험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잠을 잘 때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으므로) 잠을 버리지 않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다.

잠과 깨어 있음은 서로 소통한다

효율과 과학 측면 외에도 잠은 감성을 공유하는 측면이 있다. 서구의, 특히 미국의 부모는 아이를 따로 재우며 울어도 바로 달래주지 않는 것이 독립심을 키운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또한 이를 적절한 수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양 쪽에서는 아이를 즉시 안아줄 수 있는 공간에서 재우는 것이 일반적이며, 바로 달래주는 것이 아이의 정서 발달에 더 좋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스트레스 호르몬이라 불리는 코르티솔 수치를 측정한 결과 동양적 방식(함께 자는 방식)이 아이의 스트레스를 크게 낮춰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꿈에서 특정 인물이 나에게 해를 끼쳤다면, 실제로 그 사람을 만났을 때 왠지 편한 마음이 들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나도 모르게 행동이 조심스러워진다. 꿈에 어떤 신비한 힘이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듯 꿈에서의 감성과 깨어 있을 때의 감성은 서로 연결되어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꿈에서 나에게 잘못한 사람에게 사과를 요구할 수 있다고도 한다. 수천 년간 많은 문화권에서는 잠과 꿈에 대해 나름의 방식으로 관찰하고 결론을 내렸다. 인도의 '우파니샤드'에는 이미 수천 년 전에 잠과 꿈에 대한 정의를 내려 놨는데 현대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개념과 매우 흡사하다. 잠에 많은 비밀이 있으며 그 신비를 밝히는 방법이 꼭 과학에만 있지 않음을 깨닫는다면 더욱 많은 비밀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잠에 대해, 깨어 있음에 대해, 그리고 잠과 깨어 있음의 그 중간 지대에 대해 선명한 통찰을 가지고 이야기한다. 말 그대로 잠의 과학, 잠의 문화 그리고 잠의 비밀인 것이다.
결국, 잠은 아직 우리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미지의 영역에 있지만 그 안에 수많은 선물이 숨어 있음을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을 읽으며 깨닫게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캣 더프(지은이)

『질병의 연금술(The Alchemy of Illness)』을 저술해 여러 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햄프셔 대학에서 수학했는데, 문학,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뇌신경학 등 다양한 학문을 추구했다. 그녀의 잠에 대한 오랜 호기심과 만성 불면증 환자인 두 친구가 다양한 학문에 관심이 있는 특성을 이용해 잠이라는 분야를 연구하도록 그녀를 이끌었다. 저자는 현재 뉴멕시코 북쪽에 살고 있다.

서자영(옮긴이)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 현재 디자인 회사를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번역 중이다. 번역한 책으로는 『위대한 과학자의 생각법』, 『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 『글쓰기 특강』,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9 

잠의 요정이 올 때 잠들기 
잠 들게 하는 스위치 21 | 잠을 향해 나아갈 때 23 | 세상과의 공조 27 

잠들기 두려운 마음 
정령이 잠든 사람을 숨 막히게 하려고 보냈다 35 | 깨어 있던 의식이 밤마다 소멸된다 38 
잠자는 두려움 42 | 안전하게 잠들기 47 

아이를 재우는 방법, 유아기의 수면조건 
아이들이 따로 잠들게 된 배경 52 | 요람에서 아기 침대로 55 
아이를 편안하게 재우는 방법 58 | 밤에 울면서 깨는 이유 63 
유아기에 개발되는 신경체제 68 
서구 과학과 동양의 철학적 관점으로 본 잠의 단계 
렘 수면 77 | 기억의 깊은 우물 81 | 서파 수면 86 | 동양 철학에서의 관점 88 
깊은 잠을 자는 동안 느끼는 정광명 92 

잠과 잠 사이의 시간 
알을 품고 있는 암탉처럼 100 

잠들지 못하는 고통, 불면증 
쉬지 마라, 잠자지 마라, 일을 마쳐라 112 | 현대 생활과 수면 부족 115 
몰아서 자는 잠 119 | 수면 불안의 역사 122 
깨지기 쉬운 잠 127 

수면제 그리고 수면의 상업화 
수면 보조제의 역사 135 | 수면 산업 143 | 수면 불안 148 

잠자는 세상과 깨어 있는 세상의 분리 
기절 156 | 잠과 의식의 분리에 대한 균형 158 
잠과 의식의 분리에 대한 역사적 개요 164 

반쯤 깨어 있고 반쯤 잠이 든 상태 
깨어 있는 것과 잠들어 있는 상태의 경계 170 
깨어 있는 것도 잠이 든 것도 아닌, 둘 다의 상태 173 | 보이지 않는 협력자 177 

잠의 기능, 기억과 창조 
기억과 학습 184 | 렘 수면과 기억력 186 | 창조적인 해결 190 

잠의 기능, 감정의 회복 
이중 의식 198 | “꿈, 악몽, 광기” 201 | 몽유병 204 
동맹일까, 적일까, 아니면 둘 다일까? 209 

잠에는 주인이 없다 
인간은 꿈을 꾸는 존재다 215 | 어느 누구도 꿈을 빼앗을 수 없다 218 
다양한 꿈의 종류 222 

평범한 꿈,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 
개인적인 꿈?공동의 꿈 234 | 한 손이 다른 손을 씻어주는 것처럼 238 
찾아가거나 여행하는 꿈 242 

특별한 꿈, 또 다른 세상과의 만남 
특별한 문제에 대한 꿈 250 | 환영이 찾아오는 꿈 254 | 예언적인 꿈 257 
깨어 있는 어려움, 생체시계와 사회적 시간 
어떻게 일어나는 것이 좋을까 264 | 생체 시계 266 
저녁형 올빼미와 아침형 종달새 273 | 수면 무력증 276 
두 세계가 만나는 곳 279 

깨어 있는 것에 대한 집착 
황금의 도시 288 | 잠꾸러기, 멍청이, 부끄럼쟁이, 투덜이 291 

잠에서 깨어나기 
우리가 알지 못하는 의식의 창고 302 | 깨어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좋은 천사 306 
수면의 미래 308 

옮긴이의 글 31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