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50728 | |
005 | 20151125151344 | |
007 | ta | |
008 | 151123s2015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56862192 ▼g 94700 | |
020 | 1 | ▼a 9791185530819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01.41 ▼2 23 |
085 | ▼a 401.41 ▼2 DDCK | |
090 | ▼a 401.41 ▼b 2015z1 | |
245 | 0 0 | ▼a 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 = ▼x Language phenomena and linguistic analyses / ▼d 신승용 [외]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15 | |
300 | ▼a 524 p. ; ▼c 24 cm | |
440 | 0 0 | ▼a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 ▼v 03 |
500 | ▼a 공저자: 황화상, 정한데로, 정인기, 전재연, 박종언, M. Barrie, 이정훈, 강병규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700 | 1 | ▼a 신승용, ▼e 저 ▼0 AUTH(211009)33941 |
700 | 1 | ▼a 황화상, ▼e 저 ▼0 AUTH(211009)3794 |
700 | 1 | ▼a 정한데로, ▼e 저 ▼0 AUTH(211009)139142 |
700 | 1 | ▼a 정인기, ▼e 저 |
700 | 1 | ▼a 전재연, ▼e 저 |
700 | 1 | ▼a 박종언, ▼e 저 |
700 | 1 | ▼a Barrie, M., ▼e 저 |
700 | 1 | ▼a 이정훈, ▼e 저 ▼0 AUTH(211009)6304 |
700 | 1 | ▼a 강병규,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41 2015z1 | Accession No. 1117449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황화상(지은이)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현대국어 형태론(개정판)』(2013)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2016) 「접사의 지배적 기능에 대하여」(2018)
전재연(지은이)
서강대학교 유럽문화학과,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강사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서 학사 학위, 동대학원에서 불어학 석사 학위,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며 프랑스어, 프랑스 언어학, 프랑스어 문법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는 「프랑스어의 심성적 여격(le datif éthique) 연구」, 「프랑스 신조어의 유형과 특성에 관하여: 라루스 소사전(Le Petit Larousse illustré) 2015~2019 등재 신조어를 중심으로」, 「프랑스어 한정사구 내 명사 생략」 등이 있고, 공저 『프랑스어학 개론』이 있다.
신승용(지은이)
서강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마치고, 현재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음운론 및 음운사, 문법 교육 및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가 전공 분야이다. 주요 저서로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2003), 『학교문법산책』(2010), 『국어음운론』(2013), 『기저형과 어휘부』(2018) 등이, 주요 논문으로 「중세국어피동 접사 ‘-이-, -히-, -기-, -리-’의 분포적 특성과 성격」(2019), 「복합어의 기저형과 복합어 경계 교체의 공시성 유무」(2020) 등이 있다.
이정훈(지은이)
서강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어 문법 및 언어 이론 연구. ��조사와 어미 그리고 통사구조��(2008), ��한국어 통사론의 현상과 이론��(공저, 2011), ��발견을 위한 한국어 문법론��(2012), ��국어학 개론��(공저, 2013), ��한국어 구문의 문법��(2014), ��한국어 생성통사론��(공저, 2018), 「‘이다’ 구문의 ‘–으시–’ 일치 현상」(2004), 「‘V–어V’ 합성동사 형성 규칙과 범주 통용」(2006), 「한국어 후보충 구문의 구조」(2009), 「보조용언 구문의 구조와 대용 현상」(2010), 「‘V–기’ 반복 구문의 유형과 그 형성 동기 및 과정」(2013), 「통사구조와 시제 해석」(2014), 「어휘 응집성 원리를 넘어」(2017), 「‘–요’ 동반 관형어 조각문: 후치와 복사 그리고 생략」(2018), 「내핵 관계절 구성과 분열문의 ‘것’의 통사론」(2020), 「‘–을 수 있–’ 구문의 어휘항목과 통사구조 그리고 의미」(2020), 「뒤섞기와 후보충의 동질성」(2021), 「한국어 의문사의 어순 제약: 실험 통사론적 접근」(공저, 2022), 「‘주다’ 수여구문과 수혜구문의 의미와 논항구조」(공저, 2022) 외 논저 다수.
정한데로(지은이)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현재까지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제5회 일석 국어학 학위논문상(2014), 제12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논문상(2014)을 수상하였다. 저역서로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단어와 어휘부』(공저), 『형태론의 이해』(공역) 등이 있으며, 「임시어의 형성과 등재」, 「단어의 공인화에 관한 고찰」, 「‘신어의 삶’에 관한 탐색」, 「통사론적 구성과 단어 형성」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단어 형성은 물론, 등재와 변화를 포함한 ‘단어의 삶’ 전반에 관심이 많다.
정인기(지은이)
서강대학교 '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공저)
박종언(지은이)
동국대학교 글로벌어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부교수 대표 논저: Clause Structure and Null Subjects: Referential Dependencies in Korean(2011), Negation in Let Imperatives in English and Key-ha-la Imperatives in Korean(2013), 저서 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공저, 2015)
M. Barrie(지은이)
서강대학교 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공저)
강병규(지은이)
중국 북경대학 전산언어학연구소 이학박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조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중국문화학과 교수

Table of Contents
간행사 책머리에 교체와 기저형, 그리고 어휘부_신승용 통사적 접사 논의의 양상과 쟁점_황화상 임시어와 형태론_정한데로 분산형태론의 문법 모형_정인기 프랑스어의 생략 현상에 대하여_전재연 생성통사론에서의 통제구문과 인상구문_박종언 Generative Approaches to Noun Incorporation_Michael Barrie 한국어 접속문의 통사론_이정훈 구문문법이론과 중국어 문법_강병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