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9783 | |
005 | 20230214140926 | |
007 | ta | |
008 | 151117s2007 ggkd b 000c korJA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8.47629892 ▼2 23 |
085 | ▼a 338.47629892 ▼2 DDCK | |
090 | ▼a 338.47629892 ▼b 2007 | |
110 | ▼a 한국. ▼b 산업자원부 ▼0 AUTH(211009)92687 | |
245 | 2 0 | ▼a (차세대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로봇산업의 투자로드맵 / ▼d [산업자원부, ▼e 산업연구원 편] |
246 | 1 1 | ▼a Investment roadmap of robot industry for the next generation economic growth |
260 | ▼a 과천 : ▼b 산업자원부 ; ▼a 서울 : ▼b 산업연구원, ▼c 2007 | |
300 | ▼a viii, 132 p. : ▼b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투자프로젝트 기술서 | |
500 | ▼a 연구책임: 장석인 ; 연구총괄: 장석인, 강남훈, 서동혁 ; 연구참여: 조철, 홍성인, 정만태, 박광순, 정은미, 황윤진, 박훈, 주대영, 이경숙, 김종기, 유현선, 최윤희 | |
504 | ▼a 참고문헌: p. [105] | |
700 | 1 | ▼a 장석인, ▼e 연구책임 |
700 | 1 | ▼a 강남훈, ▼e 연구 |
700 | 1 | ▼a 서동혁, ▼e 연구 |
700 | 1 | ▼a 조철, ▼e 연구 |
700 | 1 | ▼a 홍성인, ▼e 연구 |
700 | 1 | ▼a 정만태, ▼e 연구 |
700 | 1 | ▼a 박광순, ▼e 연구 |
700 | 1 | ▼a 정은미, ▼e 연구 |
700 | 1 | ▼a 황윤진, ▼e 연구 |
700 | 1 | ▼a 박훈, ▼e 연구 |
700 | 1 | ▼a 주대영, ▼e 연구 |
700 | 1 | ▼a 이경숙, ▼e 연구 |
700 | 1 | ▼a 김종기, ▼e 연구 |
700 | 1 | ▼a 유현선, ▼e 연구 |
700 | 1 | ▼a 최윤희, ▼e 연구 |
710 | ▼a 산업연구원, ▼e 편 ▼0 AUTH(211009)18635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8.47629892 2007 | Accession No. 5110276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제Ⅰ장 문제제기 = 1 1. 연구배경 = 1 2. 분석개요 = 2 3. 분석범위 = 4 제Ⅱ장 산업의 발전단계와 투자유형 분석 = 9 1. 발전단계와 특성 = 9 (1) 컴퓨터산업의 발전단계 및 위상 = 9 (2) 컴퓨터산업의 글로벌 포지션 = 13 2. 산업의 투자유형 분석 = 15 (1) 컴퓨터산업의 투자추이와 특성 = 15 (2) 발전단계별 투자유형 및 특성변화 = 20 (3) 생산설비 과잉평가 = 24 (4) 발전단계별 투자유형분석의 요약과 시사점 = 26 제Ⅲ장 산업의 국내외 투자여건 변화 전망 = 29 1. 시장수요 변화와 전망 = 29 (1) 컴퓨터산업의 수요구조 변화와 전망 = 29 (2) 컴퓨터산업의 분야별 시장여건 변화와 전망 = 31 2. 국내외 생산 및 경쟁력수준 및 전망 = 35 (1) 국내외 생산구조의 변화 = 35 (2) 경쟁구조 및 세계시장 점유율의 현황과 전망 = 40 (3) 주요 생산업체 현황 = 43 3. 전후방 연관 산업 구조 = 45 (1) 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 46 (2) 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 47 (3) 전후방 연관산업에 대한 투자유발 = 48 4. 컴퓨터산업의 국내외 투자여건 변화분석의 시사점 = 50 제Ⅳ장 컴퓨터산업의 유망투자분야와 투자결정요인 분석 = 53 1. 유망투자분야 개관 = 53 2. 유망투자분야별 투자유발요인 분석과 전망 = 54 (1) 컴퓨터산업의 투자유망분야 = 57 제Ⅴ장 미래 투자유망분야의 투자프로젝트 및 투자전략 = 73 1. 컴퓨터산업의 중점투자방향 = 73 2. 유망투자분야별 투자프로젝트 개관 = 74 3. 1단계(2007∼2010년 중) 분야별 투자프로젝트 = 75 (1) 일반 PC = 75 (2) 휴대용 PC = 78 (3) 차세대 PC = 80 (4) 1단계 투자포트폴리오 = 83 4. 2단계(2011∼2015년 중) 분야별 투자프로젝트 = 86 (1) 일반 PC = 86 (2) 휴대용 PC = 88 (3) 차세대 PC = 89 (4) 2단계 투자포트폴리오 = 91 5. 중장기 투자프로젝트 추진전략 = 94 (1) 기업규모별 투자프로젝트의 추진전략 = 94 (2) 투자지역 및 특성별 프로젝트 추진전략 = 98 (3) 정부의 재정 및 인프라 투자전략 = 100 제Ⅵ장 컴퓨터산업 투자활성화 정책과제 = 105 1. 업종 전반의 공통적인 투자애로 및 장애요인 분석 = 105 (1) 조세·관세 = 107 (2) 입지 및 규제 = 107 (3) 산업금융 = 108 (4) R&D 및 기술인력 = 108 (5) 인프라 = 109 (6) 기타 = 109 2. 투자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 과제 = 110 (1) 제도개선 과제(비 예산 과제) : 조세, 입지 및 규제 = 110 (2) 예산사업 과제 = 112 (3) 인프라 구축 과제 = 115 〈참고 문헌〉 = 117 〈부록〉 투자프로젝트 기술서 =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