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장 문제제기 = 1
1. 연구배경 = 1
2. 분석개요 = 2
3. 분석범위 = 4
제Ⅱ장 산업의 발전단계와 투자유형 분석 = 9
1. 발전단계와 특성 = 9
(1) 컴퓨터산업의 발전단계 및 위상 = 9
(2) 컴퓨터산업의 글로벌 포지션 = 13
2. 산업의 투자유형 분석 = 15
(1) 컴퓨터산업의 투자추이와 특성 = 15
(2) 발전단계별 투자유형 및 특성변화 = 20
(3) 생산설비 과잉평가 = 24
(4) 발전단계별 투자유형분석의 요약과 시사점 = 26
제Ⅲ장 산업의 국내외 투자여건 변화 전망 = 29
1. 시장수요 변화와 전망 = 29
(1) 컴퓨터산업의 수요구조 변화와 전망 = 29
(2) 컴퓨터산업의 분야별 시장여건 변화와 전망 = 31
2. 국내외 생산 및 경쟁력수준 및 전망 = 35
(1) 국내외 생산구조의 변화 = 35
(2) 경쟁구조 및 세계시장 점유율의 현황과 전망 = 40
(3) 주요 생산업체 현황 = 43
3. 전후방 연관 산업 구조 = 45
(1) 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 46
(2) 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 47
(3) 전후방 연관산업에 대한 투자유발 = 48
4. 컴퓨터산업의 국내외 투자여건 변화분석의 시사점 = 50
제Ⅳ장 컴퓨터산업의 유망투자분야와 투자결정요인 분석 = 53
1. 유망투자분야 개관 = 53
2. 유망투자분야별 투자유발요인 분석과 전망 = 54
(1) 컴퓨터산업의 투자유망분야 = 57
제Ⅴ장 미래 투자유망분야의 투자프로젝트 및 투자전략 = 73
1. 컴퓨터산업의 중점투자방향 = 73
2. 유망투자분야별 투자프로젝트 개관 = 74
3. 1단계(2007∼2010년 중) 분야별 투자프로젝트 = 75
(1) 일반 PC = 75
(2) 휴대용 PC = 78
(3) 차세대 PC = 80
(4) 1단계 투자포트폴리오 = 83
4. 2단계(2011∼2015년 중) 분야별 투자프로젝트 = 86
(1) 일반 PC = 86
(2) 휴대용 PC = 88
(3) 차세대 PC = 89
(4) 2단계 투자포트폴리오 = 91
5. 중장기 투자프로젝트 추진전략 = 94
(1) 기업규모별 투자프로젝트의 추진전략 = 94
(2) 투자지역 및 특성별 프로젝트 추진전략 = 98
(3) 정부의 재정 및 인프라 투자전략 = 100
제Ⅵ장 컴퓨터산업 투자활성화 정책과제 = 105
1. 업종 전반의 공통적인 투자애로 및 장애요인 분석 = 105
(1) 조세·관세 = 107
(2) 입지 및 규제 = 107
(3) 산업금융 = 108
(4) R&D 및 기술인력 = 108
(5) 인프라 = 109
(6) 기타 = 109
2. 투자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 과제 = 110
(1) 제도개선 과제(비 예산 과제) : 조세, 입지 및 규제 = 110
(2) 예산사업 과제 = 112
(3) 인프라 구축 과제 = 115
〈참고 문헌〉 = 117
〈부록〉 투자프로젝트 기술서 =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