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9666 | |
005 | 20151116091830 | |
007 | ta | |
008 | 151113s2015 bnka b 000c kor | |
020 | ▼a 9788993989069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878664 | |
040 | ▼a 247017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1.0285 ▼2 23 |
085 | ▼a 351.0285 ▼2 DDCK | |
090 | ▼a 351.0285 ▼b 2015z2 | |
100 | 1 | ▼a 이상윤 ▼g 李相潤 ▼0 AUTH(211009)64701 |
245 | 1 0 | ▼a 행정공간정보화(化) 플랫폼 전자정부론 = ▼x Electronic government as platform for spatial imformatiz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 ▼d 이상윤 지음 |
246 | 3 | ▼a 행정공간정보화 플랫폼 전자정부론 |
246 | 3 0 | ▼a 전자정부론 |
260 | ▼a 부산 : ▼b Nobpensae pub., ▼c 2015 | |
300 | ▼a 582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541-567 | |
900 | 1 0 | ▼a Lee, Sang-yun,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0285 2015z2 | Accession No. 1117445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차세대 전자정부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행정정보와 공간정보의 융합을 통한 플랫폼 전자정부시스템 구현을 제안하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사회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는 행정정보와 더욱 연계 및 융합되고 재창조되면서 이른바 행정공간화된 서비스로서 국민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행정정보 혹은 공간정보로서 새롭게 연계되어 제공되거나 융합되어 가공된 행정공간정보서비스는 관련한 산업과 조직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새로운 시장창출을 가능하게 하며 비즈니스 차원에서 전략적인 구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정보화와 전자정부에 관한 대학교재 및 관련 연구자들의 기본서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그 동안의 각종 관련 공무원 및 고시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자신의 이해도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과학기술정책과 기술혁신 차원의 기반이 되는 과학혁명, 과학철학, 기술철학의 내용을 담아 현재의 정보통신혁명에 따른 정보화 진행과 앞으로의 추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각종 공무원 및 고시준비는 물론이거니와 학부 및 대학원까지 그리고 연구원으로서 종합적인 차원의 기본서와 교재 및 연구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국가정보화와 전자정부 기본서. 행정정보와 공간정보의 융합을 통한 플랫폼 전자정부시스템 구현을 제안한 역저. 최근까지의 관련 공무원 및 고시 기출문제 총 수록. 이 연구서는 우리 한국의 정보화 및 정보정책과 전자정부의 바람직한 미래상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앞으로 스마트사회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는 행정정보와 더욱 연계 및 융합되고 재창조되면서 이른바 행정공간화(化)된 서비스로서 국민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행정정보 혹은 공간정보로서 새롭게 연계되어 제공되거나 융합되어 가공된 행정공간정보서비스는 관련한 산업과 조직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새로운 시장창출을 가능하게 하며 비즈니스 차원에서 전략적인 구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에 있어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빅데이터와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에 기반을 둔 만물지능통신시대 대비 측면에서 보면, 현재의 우리 정부의 대응책 마련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는 그 동안의 이론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전자정부의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차세대 전자정부의 바람직한 미래상에 대해 탐색하고 제안하고 있다.
이 책은 국가정보화와 전자정부에 관한 대학교재 및 관련 연구자들의 기본서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그 동안의 각종 관련 공무원 및 고시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독자들은 매순간 자신의 이해도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정보통신기술과 정보통신기술정책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과학기술정책과 기술혁신 차원의 기반이 되는 과학혁명, 과학철학, 기술철학의 내용을 담아 현재의 정보통신혁명에 따른 정보화 진행과 앞으로의 추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한마디로 이 책은 과학기술정책, 정보통신정책, 국가정보화, 전자정부까지 아우르는 방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근의 핵심화두인 플랫폼 전자정부 및 행정공간정보화에 대한 새로운 내용까지 다루고 있는 이 분야 최고의 역저이다. 독자들은 이 책 한권이면 각종 공무원 및 고시준비는 물론이거니와 학부 및 대학원까지 그리고 연구원으로서 종합적인 차원의 기본서와 교재 및 연구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Contents Who is Sang-Yun Lee ? 3 소개 7 Introduction 9 저자의 서문 13 제1부 정보통신기술과 정보화 29 PART Ⅰ (Administration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제1장 정보통신기술과 인류 31 제1절 과학혁명과 과학기술 31 (1)과학혁명의 의의와 과학기술의 개념 31 1)과학혁명의 의의 31 2)과학기술의 개념 32 (2)기술철학적 접근 36 1)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 36 2)과학철학과 기술철학 41 제2절 정보통신기술과 인류 50 (1)정보통신기술의 본질과 패러다임의 변화 50 1)정보통신기술의 본질 50 2)패러다임의 변화 57 (2)정보통신기술과 시민참여 59 1)전자민주주의와 정보화 59 ①전자거버넌스와 전자민주주의 59 ②정보화와 전자정부 61 2)전자투표와 전자적 시민참여 67 ①전자투표와 정보통신기술 67 ②전자정부와 시민참여 73 (가)전자정부 고도화와 전자적 시민참여 73 (나)전자적 시민참여와 모형 76 ㉠정부시민참여 모형: 참여 수준을 중심으로 76 ㉡정부시민관계 모형(OECD 모형): 참여 수준을 중심으로 77 ㉢참여목적수준 모형(Macintosh 모형): 참여 목적을 중심으로 79 ㉣참여신뢰수준 모형(Kawanatanga 모형): 신뢰수준을 중심으로 80 ㉤참여영향력수준 모형(IEG 모형): 전자민주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81 ㉥참여ICT수준모형: 참여 방식을 중심으로 82 (다)정부정책형성과정과 전자적 시민참여 86 ㉠의제설정단계 88 ㉡분석단계 88 ㉢대안설정단계 88 ㉣정책집행단계 89 ㉤정책평가단계 89 (라)전자적 시민참여 한계와 향후 방향 89 제2장 정보통신기술과 정보화 95 제1절 정보화와 지역균형발전 95 (1)정보화 역기능과 정보격차 95 1)정보화 역기능이론과 발생요인 95 ①탈억제 이론 96 ②좌절공격이론과 일반긴장이론 96 ③차별접촉 및 사회학습이론 96 ④사회유대이론 97 ⑤자기조절이론 97 ⑥사회정체성이론 97 2)다양한 정보화 역기능과 정보격차 101 ①개인정보보호 101 ②사이버범죄 107 ③전자부패 112 ㈎정보통신기술과 부패 112 ㈏전자정부와 부패 115 ④정보격차 116 (2)정보공동활용과 지역균형발전 123 1)정보공동활용과 디지털재난 123 ①전자정부와 디지털재난 123 ②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 126 ③정보공동활용 129 ④개인정보관리 133 2)지역균형발전과 지역정보화서비스 135 ①지역균형발전정책과 지역격차 135 ②지역정보화 추진과 서비스 135 (3)지역혁신체제와 클러스터 140 1)지역혁신체제와 지역격차해소 140 ①지역 간 정보격차와 기술혁신의 두 가지 가설 140 ②지역혁신체제와 지역성장 141 2)창조산업과 지식클러스터 143 ①산업의 정보화와 창조산업 143 ②지식경영과 지식클러스터 144 제2절 행정공간정보화와 유비쿼터스 도시 146 (1)전자정부서비스와 행정공간정보 146 1)정부 3.0과 행정공간정보 146 ①정부 3.0과 전자정부 146 ㈎정부 3.0의 개념 146 ㈏정부 3.0과 추진주체의 분리 148 ㈐정부 3.0과 정보 개념의 혼란 150 ②전자정부서비스와 행정개혁 153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153 ㈏행정조직혁신과 리엔지니어링 156 2)전자정부와 행정공간정보서비스 162 ①정부3.0과 행정공간정보 162 ②행정공간정보정책 164 ㈎유비쿼터스 관련기술로서 공간정보기술 166 ㈏웹2.0과 웹3.0 166 ㈐위치기반기술 167 ③행정공간정보정책 추진근거와 추진체계 172 ④행정공간정보정책의 연혁 173 ⑤행정공간정보와 전자정부서비스 174 3)행정정보화와 행정공간정보시스템 176 ①시도행정정보화와 시군구행정정보화 176 ②행정정보시스템과 행정공간정보시스템 177 ㈎행정정보시스템 177 ㈏행정공간정보시스템 180 4)스마트사회와 행정공간정보서비스 184 ①행정정보와 공간정보서비스 184 ②행정공간정보화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186 (2)도시공간의 정보화와 유비쿼터스 도시 193 1)정보통신기술과 유비쿼터스 도시화 193 2)정보통신기술과 도시공간의 정보화 199 ①정보통신기술과 도시공간의 재구성 199 ②정보화마을과 도시공간의 양극화 202 3)정보통신기술과 디지털컨버전스 209 ①디지털컨버전스와 공간인식변화 209 ②전자정부와 방송통신융합 214 ㈎디지털컨버전스와 IPTV기반 전자정부 추진 214 ㈏전자정부와 방송통신융합 215 제3장 정보통신기술과 행정 220 제1절 전자정부와 고객관계관리 220 (1)전자정부와 행정서비스 220 1)행정서비스와 서비스품질 220 ①전자정부와 행정서비스 220 ②전통적인 서비스 품질과 온라인 서비스 품질 223 2)고객관계관리와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고객관계관리시스템 225 ①고객관계관리의 개요 225 ②공공부문과 고객관계관리 228 ③전자정부와 고객관계관리 231 제2절 전자정부와 재정관리 233 (1)통합재정정보시스템 233 1)통합재정정보시스템 구축경과 233 2)통합재정정보시스템 구성 및 평가모형 235 (2)한국형 통합재정정보시스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237 1)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개요 237 2)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내용 241 ①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기능 241 ②우리나라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특징 244 제3절 전자정부와 성과관리 248 (1)전자정부 사업의 성과관리와 성과평가 248 1)성과관리와 성과평가 248 ①성과관리의 의의 248 ②성과평가의 의의 249 ③정보통신기술과 성과와의 관계 250 2)UN 전자정부 평가모형 255 (2)전자정부사업의 성과평가 이론모형과 주요 내용 258 1)성과평가에 관한 이론모형 258 ①핵심성공요인론(CSF) 258 ②전통적 경제성평가모형(ROI) 260 ③균형성과표모형(BSC) 261 ④가치측정모형(VMM) 262 2)전자정부 성과평가 내용 264 ①전자정부 성과평가의 목적 264 ②전자정부 성과평가의 영역과 대상 264 ③전자정부 성과지표 265 ④전자정부 성과평가 고려사항 267 제4절 전자정부와 정보자원관리 269 (1)정보자원관리의 개념과 특성 269 1)정보자원관리의 개념적 논의 269 ①행정정보자원관리의 의미 및 개념과 발전과정 269 ②전자정부의 구현과 정보자원관리 272 2)정보자원관리의 수단인 전사적 아키텍처 274 ①정보자원관리와 전사적 아키텍처 274 ②우리 정부의 전사적 아키텍처 활용 276 (2)정부정보자원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G-IRMPF) 283 1)정부정보자원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개발 283 ①정부정보자원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개요 283 ②정부정보자원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구성 284 2)정부정보자원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구조 286 ①정부정보자원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상세내용 286 ②정부정보자원관리 두 가지 주요사례와 개선 291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291 ㈏정부통합전산센터(NCIA, National Computing and Information Agency) 293 ㈐데이터통합 및 개방형의 클라우드컴퓨팅 전자정부플랫폼시스템 294 (3)공공부문의 아웃소싱 전략과 정부 CIO제도 298 1)공공부문의 아웃소싱 전략 298 ①개념과 필요성 298 ②정보기술 아웃소싱 특징과 전략 300 2)정부 CIO제도 303 ①정보화책임관(CIO)의 개념과 역할 303 ②정보화책임관(CIO)의 필요성과 자질 305 ③정보화책임관(CIO)의 역할과 위상정립 305 ④조직설계의 이론적 모형 307 ㈎Mintzberg의 조직설계모형 307 ㈏Galbraith의 조직설계모형 310 제5절 전자정부와 인사행정 312 (1)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312 1)인적자원관리 개요 312 ①인적자원관리의 개념과 도입 312 ②인적자원관리의 발전과정과 특징 313 2)디지털혁명과 인적자원관리 314 (2)전자적 인적자원관리시스템에 대한 고찰 316 1)전자적 인적자원관리시스템 316 ①전자적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개요와 발전단계 316 ②전자적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기능과 기대효과 그리고 한계 319 ③중앙인사위원회 인적자원관리시스템 ‘e-사람’ 322 2)공공부문의 스마트워크 324 ①스마트워크 개요 324 ②스마트워크 추진현황 327 ③스마트워크 핵심기술과 솔루션 329 제6절 전자정부와 지식관리 및 위험관리 333 (1)전자정부와 지식관리 333 1)지식관리와 지식관리시스템 333 ①지식관리의 개념과 단계 333 ②우리 정부의 지식정보관리와 범정부지식행정활성화 335 ③지식관리시스템의 개요와 사례 338 2)정보와 지식재산권 341 ①정보와 지식재산권 내용 341 ②지식재산권과 산업기술유출 342 (2)전자정부와 위험관리 345 1)스마트그리드와 위험관리 345 ①스마트그리드와 정보보호 345 ㈎스마트그리드 개요와 특징 345 ㈏스마트그리드와 정보보호 및 보안 346 ②스마트그리드 관련기술과 보안위협 요소 348 2)기술위험관리와 위험관리시스템 350 ①기술위험관리와 위험커뮤니케이션 350 ②관세청 통합위험관리시스템 355 제2부 정보통신기술과 전자정부 발전 359 PART Ⅱ (E-government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제4장 한국 전자정부 발전과 정책 361 4장에 들어가기에 앞서: 한국 전자정부 정책 특성 Ⅰ 361 제1절 전산망이용촉진과 보급 확장에 관한 법률 제정 365 (1)위기의식 365 (2)국정동향 367 (3)정부대응 372 제2절 정보화촉진기본법 제정 374 (1)위기의식 374 (2)국정동향 375 (3)정부대응 378 제3절 전자정부법 제정 383 (1)위기의식 383 1)김대중 정부(1998-2002년) 383 2)노무현 정부(2003-2007년) 384 (2)국정동향 386 1)김대중 정부(1998-2002년) 386 2)노무현 정부(2003-2007년) 389 (3)정부대응 391 1)김대중 정부(1998-2002년) 391 2)노무현 정부(2003-2007년) 393 3)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종합 395 제4절 국가정보화기본법 제정 및 전자정부법 개정 400 (1)위기의식 400 (2)국정동향 402 (3)정부대응 404 제5장 한국 전자정부 단계와 정보통신기술 진화 409 5장에 들어가기에 앞서: 한국 전자정부 정책 특성 Ⅱ 409 제1절 정보통신기술패러다임과 전자정부의 발전과정 416 (1)메인프레임과 pc시기(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 전산화시기 416 1)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 416 2)전자정부의 단계 및 추진내용 420 (2)네트워크와 웹 시기(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행정정보화시기 428 1)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 428 2)전자정부의 단계 및 추진내용 431 (3)웹과 인터넷 시기(2000년대 초반-2000년대 중·후반): 전자정부화시기 437 1)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 437 2)전자정부의 단계 및 추진내용 444 (4)인터넷과 모바일 시기(2000년대 후반-현재): 전자거버넌스 시대 진입 461 1)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 461 2)전자정부의 단계 및 추진내용 466 제2절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플랫폼 전자정부 478 (1)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등장과 발전 480 1)빅데이터 486 2)클라우드 컴퓨팅 499 (2)만물지능통신 시대의 개막(2000년대 후반-): 플랫폼 전자정부 514 제6장 한국 전자정부의 미래 531 제1절 차세대 전자정부 구축방향 531 제2절 의의와 과제 538 참고문헌 541 표 순서 569 그림 순서 573 저자에 대하여 575